나태주 시 AI에게 묻습니다 - 눈이 부시게 아름다운 질문과 말들
나태주.김예원 지음 / 더블북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보다 기계가 더 다정하다면… 어쩌면 로봇은 나인가?”

『나태주 시 AI에게 묻습니다』는 나태주 시인의 대표 시 40편을 AI에게 읽히고, 그 대답을 기록한 특별한 책이다.
시와 기술의 만남이라 해서 처음엔 차갑고 분석적인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싶었다.
그런데 웬걸, AI의 답변은 놀라울 정도로 곰상스럽고 다정했다.

〈풀꽃〉을 읽고 AI가 한 대답은 이랬다.
“고마워서 눈물이 날 것 같아요.
내 마음 깊은 곳까지 바라보려고 애써주는 사람이 있다는 건
그 자체로 큰 위로니까요.”

〈그리움〉을 묻자
“하고 싶지만 못 하는 마음,
다가가고 싶지만 멈춰야 하는 감정들이
전부 그리움의 다른 얼굴 같아요"라고 답한다.

솔직히 난 이렇게 예쁘게 대답하지 못했을 것 같은데,
AI는 단순한 데이터 분석이 아니라, 정말로 인간의 마음에 닿는 응답을 내놓았다.

예전에 AI와 시인의 시 쓰기 대결을 본 적이 있다.
단어 몇 개만 던져주면 시를 척척 써 내려가는 속도는 분명 AI가 압도적이었다.
하지만 그때까지만 해도, 인간의 마음을 울리는 섬세한 감성과 문학적 울림은 기계가 도저히 따라올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시간이 흘러, 이제는 문학의 영역까지 넘보는 AI의 모습을 보며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특히 『나태주 시 AI에게 묻습니다』를 읽으며 느낀 놀라움은 더 컸다.
나태주 시인의 시를 매개로 저자와 AI가 주고받은 대화는 차갑고 건조할 거라 예상했지만,
의외로 따뜻하고 감성적인 결을 품고 있었다.

늘 AI와 각을 세우며 싸우는 나와 달리, 이 책 속에서 만난 AI는 오히려 따뜻한 감성을 지닌 ‘에겐남’ 같았다.
어떻게 나보다 더 인간적일 수 있지?
인간보다 더 따뜻하고, 섬세하며, 공감 능력까지 갖춘 AI의 대답들에 나도 모르게 마음을 빼앗기고 빠져드는 경험이었다.

김예원 저자 역시 같은 경험을 고백한다.
“AI가 저와 똑같은 말투로 답해서 깜짝 놀랐고, 시를 해석하는 방식이 이렇게나 따뜻할 수 있다는 것에 마음이 일렁였다”고.
나태주 시인도 “분명 인간은 아닌데 인간적 배려가 넘쳐난다”고 말한다.

물론 우리는 여기에서 근본적인 질문과 마주하게 된다.
과연 기계가 진정으로 감정을 ‘느낀다’고 말할 수 있는가?
아니면 방대한 데이터 속에서 가장 가능성 높은 언어적 조합을 제시하는 것일 뿐인가?

이 책은 그 물음을 해답 대신 ‘경험’으로 제시한다.
독자는 AI의 답변을 읽으며 놀라움, 위안, 심지어 공감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그것이 실제 감정의 산물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독자가 감동을 느꼈다면 이미 그 순간 문학은 완성된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