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무 늦은 시간
클레어 키건 지음, 허진 옮김 / 다산책방 / 2025년 7월
평점 :
행복한 결혼 생활을 하던 여자는 집을 떠날 때마다 다른 남자와 자면 어떤 기분일까 궁금했다. 그래서 다음 주말에 그 답을 알아내기로 결심했다. p.84
2024년 독자들이 올해의 책으로 뽑은 『이처럼 사소한 것들』의 작가, 클레어 키건의 신작 소설집
『너무 늦은 시간』이 세 편의 이야기로 돌아왔다.
결혼을 앞둔 남성 ‘카헐’과 연인 ‘사빈’ 사이의 감정 균열을 따라가는 이야기 <너무 늦은 시간>
언뜻 보면 감정을 표현하는 데 서툰 남자 같지만 '빌어먹을 씹년들'이라며 무의식중에 여성에 대한 경멸을 드러낸다.
그럼 너는 '이런 개나리 씹장생'이냐!!
결국 결혼을 앞둔 연인과의 사이의 균열은 남성 중심의 사고에서 ‘침묵과 수용’만 강요하며 그 바닥을 드러낸다.
레지던스에 머무는 여성 작가와 난데없이 찾아온 독문학 교수의 이야기 <길고 고통스러운 죽음>
맛있게 케이크를 쳐묵쳐묵하던 독일교수는
“작가라더니 케이크나 만들고 있군요”라며 비난하며 뜬금없이 미친놈 날뛰듯 분노한다.
지적 권위라는 가면 아래 감춰진 우월감과 여성에 대한 조롱이 카카오100%의 케이크를 뒤집어쓴 듯 쓰디쓴 불쾌함을 준다.
첫 문장부터 파격적이었던 <남극>
여주인공의 욕망과 일탈, 후회의 이야기.
그 감정의 흐름은 평온한 문장에 감춰져 있지만, 놀랍도록 충동적이고 마주한 현실은 혹독한다. 결국 그 마지막은 변태적이고 절망적이라고 해야 할까. 아니면 오히려 스릴 있고 짜릿하다고 해야 할까.
그 충동의 몫은 결국 스스로가 책임져야 함을....
세 편의 이야기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은 하나같이 ‘불편한 존재’들이었다. 그렇다고 또 낯설지만은 않다.
아마도 그들은 우리 사회 곳곳에서 마주하게 되는 ‘무례함’과 ‘무감각’의 파편들이기 때문일 것이다.
클레어 키건은 말한다. “작가는 세상을 묘사하는 사람이다. 그것이 얼마나 불편하든 간에.”
그래서 이 책은 불편하다. 하지만 우리가 지나쳐 온 ‘사소한 장면’ 속에 얼마나 많은 권력의 기울기가 숨겨져 있었는지를, 제대로 바라보게 만든다.
그동안 따스한 인간애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던 키건의 새로운 문장을 만난 건 또 다른 신선함이었다.
<너무 늦은 시간>으로 얼음처럼 단단하고, 잿빛처럼 차분했던 키건의 문장들.
짧은 단편임에도 날카롭게 심장에 꽂힌듯하다.
너무 늦기 전에 키건의 문장에 꽂혀보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