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쿨투라 CULTURA 2024.11 - Vol.125, 한강 작가
작가 편집부 지음 / 작가 / 2024년 10월
평점 :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 생의 연약함을 드러낸 강렬한 시적 산문"
스웨덴학술원은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발표하며 한강 작가를 이렇게 표현했다.
문화잡지 《쿨투라》 11월은 한강 작가의 작품을 전체적으로 조명해 보는 테마로 꾸며졌다.
한국문학의 시간은 세계문학의 시간과 거의 동시간대에서 흐르게 되었다는 이광호 평론가
한강의 시적 산문을 '혀 없는 말'로 풀어낸 함돈균 평론가
원작 <채식주의자>,<흉터>의 영화를 신랄하게 평한 김시무 평론가
<소년이 온다>의 연극 무대 <휴먼 푸가>의 해석과 기대평
그리고 나도 잘 몰랐던 한강 작가의 그림책 <천둥 꼬마 선녀 번개 꼬마 선녀>, 동화책 <눈물 상자>에 대한 칼럼은 엄마가 된 후 한강 작가의 아이를 향한 사랑과 애틋함을 느낄 수 있어 무척 인상적이었다.
특히 한강의 시언어처럼, 한강의 소설 역시 죽은 자의 시선-목소리로 발화된다. 산 자의 세계에서 목소리를 내지 못한 목소리를 붙잡는 것, 그것을 현전시키는 언어를 써야 한다는 것이 작가 한강의 각성이라는 함돈균 문화평론가의 문장에 격한 공감이 갔다.
"채식주의자는 쓴 지 10년 넘었는데 갑자기 해외에서 호평을 받는다고 그 책이 변한 것도 아니고 제가 변한 것도 아니어서 담담한 편입니다. 소년이 온다는 그 삶의 시기 동안 저의 시간과 감각과 몸은 죽은 소년에게 빌려드려 제가 썼다기보다는 소년이 쓴 거나 마찬가지여서 먹먹합니다." _맨부커 인터내셔널상 후보작으로 선정된 후 인터뷰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한강 작가의 소설을 접하며 그들의 목소리를 들었고, 함께 아팠고, 울었다. 그 매개의 역할을 한강 작자가 수많은 독자들에게 이어주고 있었고 독자들은 이제 또 다른 이들에게 전해주는 듯하다.
예전에는 잡지를 자주 접했던 거 같은데, 어느 순간 많이 사라져버렸다.
특히 문화 예술잡지는 더욱 만나기 쉽지 않은데, 쿨투라가 그 자리를 잘 지켜내주고 있는 거 같아 응원해 주고 싶다.
11월 호는 한강 작가 테마로 꾸며졌지만 드라마, 영화, 미술 등 다양한 문화 예술의 정보를 한 권의 책으로 접할 수 있으니 문화 예술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매달 반가운 책이 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