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은 깊고 아름다운데 - 동화 여주 잔혹사
조이스 박 지음 / 제이포럼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용은 왜 어린이나 아저씨나 아줌마는 잡아가지 않고, 아가씨 또는 공주만 잡아갈까?
백설공주의 계모는 거울에 매달려 세상에서 누가 가장 예쁜지 안달복달할까?
빨간모자 소녀의 할머니는 깊은 숲속에서 왜 혼자 살까?
깊은 숲속 접근이 불가능한 탑에 갇혀도, 독사과 먹어 죽어서 유리관에 전시돼도 왜 항상 왕자가 나타나 구원해 주는 것일까?

지금 21세기의 우리에게 전래 동화는 무슨 의미일까?
새롭게 다시 읽는 전래동화의 숲으로 당신을 초대합니다. 『숲은 깊고 아름다운데』 이다.

어릴 때 '흥부와 놀부'를 읽으며 흥부는 능력도 없고 찢어지게 가난하게 살면서 왜 저렇게 아이들만 많이 낳아 가족들을 고생시킬까 진짜 저런 남자 만나면 안 되겠다 교훈 삼았었다. 하지만 이상하게 공주가 나오는 동화는 불쌍한 공주, 언제 왕자가 나타나 구해주고 둘이 오래오래 행복하게 잘 살까? 생각했지. 왜 공주는 늘 약하고 당하기만 하고 주체적으로 살아가지 못할까라고 생각해 본 적은 없었던 거 같다. 남자가 당연히 여자를 구원해야 하고 여자는 당연히 남자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생각이 뿌리 깊게 박혀있었던 거였다.

사회적 경험을 하고 책을 읽으며 사고가 확장되면서 뭔가 잘못되고 있음을 느꼈다.
남성이 준 유리 구두에 맞춰 발을 자르던 여성
가부장 권력에 순응하고, 평가당하고, 양도되던 여성
그동안 내가 읽었던 동화들에게 질문을 던지고 그 질문을 통해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지혜를 찾아야 한다는 것을 말이다.

이 책은 숲으로 간 동화 속 여주인공들을 찾아 본격 해부에 나선다. 공주를 잡아간 용은 사실 여자 그 자체였고, 여자는 용처럼 용맹하고 파워를 지닌 존재이자 신비롭고 지혜로운 사람이라며 더 이상 깊은 숲에 있지 말라 말한다. 애초에 용은 없었다. 예쁜 공주의 모습을 하며 왕자가 와서 구해주길 여자는 바라고 있었던 것이다. 그건 오래전부터 여자라는 이유로 세뇌당하고 잘못 주입된 고정관념이 여성을 약하고 보호받아야 하는 대상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 책은 남성이라고 해서 여성보다 더 우월해야 했던 동화, 그렇기 때문에 여성이 남성보다 더 우월해야 하는 젠더 갈등을 부추기지 않는다. 동화는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에게도 잘못된 고정관념을 심어주고 있기 때문에 전래 동화를 새롭게 써야 한다고 말한다. 오랜 세월에 걸쳐 당시의 상황과 필요에 맞게 다시 쓰여야 하는 것처럼 옛날이야기도 여러 가지 변형을 통해 반드시 다시 쓰여야 함을 강조한다.

그럼, 이제 어떤 옛날이야기를 새롭게 써야 할까?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나는 흥부와 놀부를 새롭게 써볼까
아이들과 함께 옛날이야기를 써보는 것도 좋을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