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가 바꾸는 메타버스의 미래 - 정지훈 교수의 메타 사피엔스 안내서 굿모닝 굿나잇 (Good morning Good night)
정지훈 지음 / 김영사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래서 메타버스가 뭔데?"


우리 집 가는 뻐스bus 아니죠.

'다음'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를 의미하는 '버스verse' 의 합성어로 가상의 집단적 공유 공간을 의미한다. 내 몸은 여기 있지만 또 다른 '디지털미'는 저기에 있는...


현실과 상상이 공존하는 새로운 세상의 문이 열린다.


한동안 메타버스에 대한 사람들의 궁금증이 폭발했었다. 특히 거리 두기를 해야 할 코로나 시대에 메타버스의 역할은 상당했다. 대학 입학을 메타버스에서 했으며 수업뿐만 아니라 동아리 활동도 메타버스에서 이뤄졌다. 가수들은 메타버스에서 콘서트를 열고 전 세계 팬들은 공간의 제약 없이 메타버스라는 거대 디지털 공간에 모여 열광했다.


그러다 코로나가 잠잠해지고 사람들이 일상으로 복귀하면서 메타버스의 인기 또한 시들해지기 시작했다. 잠깐의 재미로는 좋지만 영원히 지속되지 않는 디지털 콘텐츠, 메타버스도 그와 다를 바 없는 유행에 그칠까? 저자 정지훈 교수는 단호하게 말한다. 생성형 인공지능이 탄생시킬 메타버스의 미래는 분명 우리의 일상을 바꿀 거라고...


세계적인 언론사 <포브스>는 매년 연말이면 다음 해에 가장 중요한 기술 트렌드를 발표하는데, 2023년 5대 기술 트렌드로 '메타버스'를 언급했다. 그런데 그냥 메타버스가 아니다. 미래의 인터넷, 메타버스 the future internet(Metaverse)라 명칭하며 미래의 인터넷이 곧 메타버스가 될 것이라 말한다. 


일방적인 보여주기식 인터넷에서 읽기와 쓰기가 가능하며 참여와 공유, 확산이 가능한 디지털 세계에 살고 있는 지금, 앞으로는 기업이 플랫폼을 독점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플랫폼을 생성하는 진정한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시대가 온다는 것이다. 챗GPT와 스테이블 디퓨전(이미지 생성 AI)을 사용하며 충분히 그런 시대가 가능할 거라 생각이 들었다.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순식간에 우리 일상이 바뀌었듯이 아직 해결되지 않은 하드웨어의 기술적 발전 속도가 빨라진다면 앞으로 5~10년 뒤 우리의 세계는 또 한 번 다음 세계의 문을 열지도 모른다. 


나는 요즘 생각이 많다. 분명 2,3년 전만 해도 확신했던 나의 생각과 비전들이 하루가 다르게 변하기 때문이다. 우리 아이들에게도 나름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그리며 조언했었는데, 내가 생각했던 미래의 기술들은 오히려 창작의 영역을 침범하고 AI가 대신할 줄 알았던 직업군은 그들만의 강력한 결집력으로 뚫릴 가능성이 희박해 보인다. 제일 먼저 서민들의 일자리와 문화 예술인의 자리가 위태로워지는 미래, 우린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