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어가 빛날 때 (블랙 에디션) - 푸른 행성의 수면 아래에서 만난 경이로운 지적 발견의 세계
율리아 슈네처 지음, 오공훈 옮김 / 푸른숲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의 새끼발가락 위에 코끼리 두 마리가 서있다고 생각해 보라.
새끼발가락에 코끼리 두 마리가 올라서기 힘들겠지만 그만큼의 압력이 새끼발가락에 가해진다고 생각하면 내 발가락은 아마 죽이되고 말았을 것이다. 그만큼의 압력을 가지고 있는 마리아나해구는 세계에서 가장 깊은 수심을 가지고 있다. 특별한 장치 없이 인간이 그곳으로 들어간다면 아마 평평한 오징어처럼 될지 모른다. 감히 인간이 범접할 수 없는 그곳에는 어떤 생명체들이 살고 있을까?

이 책은 해양생물학자인 저자가 그의 모든 삶을 바쳐 연구해 온 해양생물연구기를 과감 없이 담아내고 있다. 늙지 않고 죽지 않는 불사불멸의 홍해파리, 색맹이지만 망막에 있는 간상세포 덕분에 녹색형광빛 만 볼 수 있는 상어 (상어의 눈에서 발견된 색소는 440~540나노미터 범위의 광파만 흡수하는데 이 파장은 청색 형광에서 녹색 형광으로 바뀌는 파장 범위와 정확히 위치한다), 사람의 이름처럼 태어나 한 달 후 자신만의 고유 이름을 만드는 (서명휘파람) 돌고래, 산소 없이도 살아가는 최초의 동물 헤내구야 살미니콜라등 신기한 해양생물들의 이야기가 흥미롭게 펼쳐진다.

하지만 단순히 해양생물에 대한 비밀을 밝히고 앞으로 밝혀질 비밀에 대한 호기심만 담기보다 바다에 사는 동식물을 위협하는 오염, 남획, 소음 공해, 심해 채굴 등의 위험요소와 인간들의 환경파괴에 대한 심각성도 언급하며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는 것이 인간의 막중한 책임임을 강조한다.

실제로 바다는 30억 인구의 생활 기반을 마련해 줄 만큼 인간에게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존재다. 그럼에도 인간은 바다를 없이 여기고 푸대접한다. 바다는 병들어가고 인간은 99퍼센트 의존해 살아가는 그곳을 잃고 나서야 후회하게 될지도 모른다. 밝혀지지 않는 미지의 바닷속 세계의 비밀을 푸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무엇보다 그 바닷속 생물들의 잘 살아갈 수 있도록 환경을 보존하는 것도 인간이 해야 하는 역할임을 잊지 말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