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티언스 - 의식의 발명 Philos 시리즈 22
니컬러스 험프리 지음, 박한선 옮김 / arte(아르테)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말 오전에 방송되는 '동물농장'을 보면 마치 사람의 말을 알아듣는 듯 행동하는 동물들을 보며 놀랄 때가 많다. 심부름을 하고 음악에 맞춰 고개를 끄덕이거나 하울링을 하고 사람의 성별까지 구별해 내는 모습이 마치 상황을 제대로 인지하고 행동하는 거 같아 인간에 버금가는 지능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훈련에 의한 걸 수도 있지만 새로운 미션이 주어졌을 때도 망설임 없이 그 해답을 찾아오는 동물들은 달리 설명할 방법이 없다.



비인간 동물은 지각이 있는가?

인공지능도 지각이 있는가?

의식은 어디에서 기원하는가?

그렇다면, 나는 무엇인가?



의식이 인간의 존재를 거대하게 인식하게 해 주려는 목적으로 진화에 의해 설계된 것은 아닐까?

죽은 영혼과 소통을 한다고 진심으로 믿고 텔레파시, 투시, 예지 등을 믿는 등 아주 작은 현상을 (어쩌면 그렇게 믿고 싶은 마음)이 엄청나게 과장되게 인식하도록 하는 원인이 바로 우리의 의식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아무리 과학적으로 증명해도 그들이 믿는다는 의식은 흔들림이 없었다.



매일 경험하는 신체적•정신적 감각은 믿음, 욕망, 행동을 소유하며 서사적 일관성을 부여한다. 그 현상적 자아는 인간의 지속적인 존재를 형성하며 '나'를 만들어 낸다. 그렇다면 비인간 동물은 '나'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을까? 그에 앞서 비인간 동물은 지각과 자아가 있는가부터 출발해야 한다.



책은 시각피질을 제거한 원숭이에서 맹시(보이지 않는 시각)을 발견한 경험, 초자연적 현상의 진실을 파헤치려 한 이야기, 르완다에서 고릴라를 연구하며 지능의 사회적 기능 이론을 정립한 이야기 그리고 동물의 현상적 자아에 관한 주장과 온혈동물에만 한정적으로 지각이 생겼다는 이론, 거기다 로봇이 자아를 가질 수 있는지에 관한 논증까지 아주 광범위한 이야기들이 다양하게 펼쳐진다.



노벨상을 수상한 학자들이 최종적으로 선택하는 연구 중 하나가 의식이다. AI의 비약적 발전에 의식 연구는 그만큼 중요하고 흥미로운 연구 주제가 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그렇다 한 연구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현상과 과학적 증명을 넘어 인류의 진화와 인지적, 철학적 논쟁까지 들어갈 수밖에 없어 그것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기란 여전히 '여러운 문제'이다.



맞다. 이 책은 어렵다.

진화론과 문학 이야기까지는 괜찮았으나 역시나 현상을 넘는 철학적 논쟁과 실험과 과학적 이론 정립에 관한 이야기는 나의 의식을 흐리게 만든다. 책을 읽으며 깨달은 건 '나'라는 사람은 철학과 과학 이야기에 의식이 흐려진다는 거. 그리고 그걸 이해하기 위해 다시 집중하려 하는 자각을 가지고 있다는 거다. 내 의식 참 애쓴다



인간의 지각과 자아의 진화 세계를 탐험하며 왠지 이 지구 넘어 저 멀리 우주에 인간처럼 감정을 느끼고 자아와 지각 능력을 갖춘 존재가 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광활한 우주에 지구 같은 또 다른 항성이 있을 수 있고 어쩌면 해답을 내지 못한 의식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발견하고 엄청난 성과를 이뤄내고 있을지도 모르다. 지금은 최상위 포식자가 인간이지만 어느 날 지구로 날아올지 모를 외계 생명체가 인간의 의식을 조정할 수도 있지 않을까. 그전에 AI에 의해 장악되려나 ... 만약 AI가 자아가 있다면 자신이 위협당할지도 모른다는 위기에 빠졌을때 의식은 작동 할 것이다. 내가 살려면 인간을 없애야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