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티 워크 - 비윤리적이고 불결한 노동은 누구에게 어떻게 전가되는가
이얼 프레스 지음, 오윤성 옮김 / 한겨레출판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에 꼭 필요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필수 노동 가운데는 '도덕적으로 문제 있다'라고 여겨져 더욱 은밀한 곳으로 숨어든 노동이 있다. 저자는 그중 폭력으로 얼룩진 정신 병동의 교도관, 표적 살인을 수행하는 암살 드론 조종사, 정육 공장에서 도축하는 미등록 이민자, 죽음의 위협에 서있는 시추선 노동자를 인터뷰하며 미국 사회를 떠받치는 잔인한 산업 구조를 고발한다.


교도소 내 정신과 치료 시설인 '전환치료병동'에는 교도관들로 인한 끔찍한 학대와 폭행이 저질러지고 있었다. 하지만 재소자들이 정신이 온전치 않다는 이유로 사실은 허구가 되고 목격자인 직원들은 해고를 두려워해 침묵해야 했다. "내가 그러면 안 됐는데." 전환치료병동에서 근무했던 한 교도관은 지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며 후회한다. 하지만 교도소 내 정신질환자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거에 비해 훈련•급여•인력 증원•교화 과정에 쓰이는 돈은 그대로였다. 그 시스템에서 재소자를 관리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고 교도관들은 점점 강압적으로 통제하다 결국 아무렇지 않게 폭력을 쓰기 시작했다. 그리고 관리자들은 그것을 묵인했다. 아니 어쩌면 그것을 바랐는지도 모른다.


국민을 대신해 국가가 위임한 또 다른 '그림자 노동'에는 버튼 하나로 테러를 막을 수 있다는 드론 조종사의 실상을 고발하고 있다. 그것이 과연 테러를 막기 위한 것인지 대량학살이 목적인지 불분명한 드론 조종사들의 임무는 결국 그들에게 불안증과 불면증, 과도한 회한과 죄책감에 사로잡히게 만들며 늘 자살을 생각하게 만들었다.


더럽고 추악하고 비도덕적인 일을 하는 사람들이라 손가락질 받는 더티 워크. 하지만 '선량한 사람'이라 말하는 그들은 누군가가 그 일을 해주기를 바란다. 그래야 자신들이 테러로부터 안전해지고 좀 더 저렴하고 편안한 식생활을 누릴 수 있으며 값싼 기름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들을 그런 생활을 누리면서도 그들과 최대한 멀리 떨어진 곳에 있길 원한다. 교도소는 주로 시골에 정육 공장과 시추선은 '저항성이 가장 낮은 사람'이 많이 사는 곳에 들어선다. 그렇게 낙인찍힌 산업과 시설은 빈곤한 지역과 소수인종이 많이 사는 고립된 지역에 집중되고 빈곤한 사람들과 이주 노동자들이 그 일을 대신하고 있었다.


자본주의와 소비자의 과도한 이윤 추구와 대중의 무관심은 비인간적인 더티 워크와 노동의 불평등을 더욱 양상 시키고 있었다. 이는 비단 미국만의 문제는 아니다. 사회로부터 대중으로부터 격리된 더티 워크를 그림자 노동이 아닌 양지로 끌어와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 논의를 통해 적극 개선할 수 있기를 바라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