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 있는 것은 모두 게임을 한다 - 게임이론이 알려주는 인간 행동 설명서
모시 호프먼.에레즈 요엘리 지음, 김태훈 옮김 / 김영사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게 돈이되?"
"아니, 그냥 하는 건데."
"돈도 안되는데 시간을 들여서 책 읽고 글을 쓴다고? 왜?"
"그냥, 내가 좋아하니깐."


책스타그램을 하는 나를 도통 이해 못 하겠다고 고개를 가로 젖는다.
아마 많은 인친분들도 이와 비슷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돈도 안되는 이 일에 왜 이리 다들 열정적인지...


돈벌이가 아닌 취미에 열정을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적자생존의 세계에서 인간은 왜 이타심을 발휘할까?
왜 차별과 혐오, 편향에 빠질까?


취향과 신념, 협력과 배신, 과시와 겸손까지 모든 인간 행동에는 게임이론이 숨어 있다.
제로섬 게임에서 죄수의 딜레마까지, 인간 행동을 둘러싼 게임이론의 비밀을 이 책이 소개한다.


정말 오랜만에 책을 읽으며 머리를 쥐어뜯었다.
검은건 글씨고 흰건 종이라. 책을 며칠 잡고 있어도 머릿속에 들어오질 않는다. 분명 흥미로울 거라 생각했는데, 책장 한 장 넘기기도 쉽지 않았다. 전혀 이익이란 없을 것 같은 인간의 비합리적인 행동이 사실 '합리적으로' 설계된 것이라며 여러 사례들을 들어 각종 게임이론을 설명한다.


게임은 원래 재미있는 거 아니었나?
그런데 왜 미적분보다 어려운지, 이해하는 걸 조금씩 포기하게 만들었다.
어쨌든, 일관성 없고 비합리적인 행동을 하는 인간의 행동은 결론적으로 살아남기 위해 설계된 시스템이라는 것이다. 배신을 계속 선택할 경우 장기적으로 관계를 망쳐버릴 수 있기 때문에 협력과 배신을 적절히 선택한다는 '반복된 죄수의 딜레마 게임', 상대를 설득하기 위해 아예 없는 사실을 진실인 것처럼 증거로 내는 '편향적 증거 왜곡', 다른 사람에게 잘 보이고 싶고 공정하게 보이고 싶은 마음에 눈치를 보는 '독재자 게임', 이 외에도 인간행동에는 생존을 위한 전략적 게임의 법칙들이 숨어있었다.


그래서 돈도 안되는 책을 읽고 글을 쓰는 나는 무슨 생존전략인 거지?
내가 이 책을 읽고 제대로 이해한 거라면, 나중에 물질적, 사회적으로 보상을 받는다는 거다. 사례로 나온 이들의 열정 후 보상은 막대한 재산, 존경과 명성을 얻었다. 그럼 나를 비롯한 책스타 인친들도 엄청난 재산과 존경 명성을 얻을 수 있는 거겠지. 뭐 그런 생각만으로도 기분 좋긴 하다만 ㅋ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