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몸들을 위한 디자인 - 장애, 세상을 재설계하다
사라 헨드렌 지음, 조은영 옮김 / 김영사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고는 예측할 수 없고 인간은 늙기 마련이다. 내가 가장 두려워하는 치매에서도 자유로울 수 없다. 내 의지와 달리 몸이 움직여지지 않을 때 우린 절망하게 될지도 모른다. 그 절망의 가장 큰 이유는 비장애인에 맞춰져있는 공간에서 비롯된다. '표준'과 '정상'이라는 범주에서 만들어진 공간과 도구는 대부분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도저히 이동할 수 없고 사용할 수 없게 만들어져 있다. 도시설계가 예전보다 많이 개선되고 발전됐다 하지만 여전히 제한적이고 불편한 게 현실이다. 이에 책은 전체 시스템을 당장 바꿀 수 없는 현실에서 몸과 세상이 만나는 지점에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을 제안한다. 저신장 장애인 어맨다에게 탄소섬유탄으로 제작한 휴대용 강연대를, 발달장애로 스스로 앉지 못하는 니코에게 맞춤형 골판지 의자를, 양손을 잃은 신디에게는 케이블 타이가 그녀의 손을 대신하고 있다.

이 책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건 복잡하고 값비싼 보조 기구가 아닌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제품으로 신체 맞춤형 기구를 제작한 것이었다. 특히 재활용 쓰레기인 골판지로 가구를 만드는 적응형디자인협회의 디자이너들의 아이디어는 놀라울 정도였다. 가볍고 쉽게 재활용할 수 있는 흔하고 보잘것없는 재료인 골판지를 겹치고 심지를 만들어 끼워 1제곱 센티미터다 약 77킬로그램이라는 엄청난 무게를 견디는 가구를 만들어낸다.

몸이 테크놀로지의 도움으로 환경에 적응하는 여러 사례를 보며 저자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장애와 디자인에 대한 필요성은 공감이 간다. 하지만 무엇보다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가 없는 환경이 오길 바라는 마음이 더 크다. 우린 결국 끝에는 혼자서는 할 수 없는 장애의 몸이 될 수밖에 없으니깐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