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천의 공부 - 어떻게 배우며 살 것인가
최재천.안희경 지음 / 김영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모두 이 순간부터 우리 아이들을 입시학원에 보내지 맙시다."

"우리 모두 이 순간부터 우리 아이들에게 삶을 즐길 권리를 되찾아줍시다."

"우리 모두 이 순간부터 정상적인 가족생활을 누립시다."


도대체 무엇을 성취하기 위해 아이들이 학교와 학원을 돌며 쉼없이 경쟁하고 배워야할까?

이제라도 정말 필요한 게 무엇이지 고민하고, 우리가 왜 교육하고 공부해야 하는지 숙고해야 할 때이다.


최재천 교수가 들려주는 우리를 살게 하는 앎에 관하여, 『최재천의 공부』 이다.


학교 수업이 끝나고 교문 밖으로 나온 아이들이 하나둘 학원차에 오르고 근처 학원 건물들로 들어간다. 딱히 극성스럽게 교육에 열을 붙이는 건 아니지만 나 또한 주변의 그런 모습에 조급해진다. 내 아이만은 학업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즐겁고 행복한 학창 시절의 추억을 남겨줘야지 했는데... 어느 순간 놀이터에 아이 혼자 덩그러니 있는 모습을 보니 마음이 복잡해졌다. 그리고 아이도 그 무리의 일부가 돼갔다.


최재천 교수는 교육이란, 먼저 살아본 사람들이 다음 세대에게 '살아보니깐 이런 게 필요하더라' 하고, 조금은 준비하고 사회에 들어왔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가르치는 거라 말한다. 그런데 그 모든 가르침이 아이들이 살아갈 사회에 과연 다 필요한가에 대한 의문을 던지며 삶의 중요한 시기에 어른들이 아이들의 시간을 빼앗고 그들의 삶을 유린하고 있는 건 아닌지 근심스러워한다. 나도 어른들이 무턱대고 '공부해라' 하는 잔소리가 그렇게 싫었는데, 어른이 된 나도 아이들에게 '공부해라'라는 소리를 하고 있다.


모든 가르침이 필요했던 거 아니었지만 경쟁 사회에서 학벌이 차별을 만들어내고 인맥이 안전장치가 되어있었다. 그나마 비집고 들어갈 수 있는 건 여전히 공부밖에 없으니 시대가 변해도 아이들에게 '공부해서 남주냐'라는 소리를 하게 되는 거 같아 씁쓸한 마음이 든다.


그렇기 때문에 최재천 교수는 공부와 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교육의 내용이 사실을 분별할 수 있도록 채워져야 한다며, 지식을 쌓고자 공부하는 것만이 아니라 남과 소통하고 내가 잘 살기 위한 교육이 만들어져야 사회의 갈등이 잦아들 거라 말한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교육의 가장 약한 지점인 토론을 꼬집으며 학생들이 자기의 생각을 정리하고 이야기할 기회를 갖지 못하고 교육과정을 마치는 것에 대한 많은 아쉬움을 표했다. 그리고 수동적 학습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으로 토론을 다시 한번 거론하며 토론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자기주도학습을 할 수 있게 된다며 교육의 변화를 바랐다.


책은 '배움과 앎'의 주제로 안희경 저널리스트와 최재천 교수가 묻고 답하는 대담집으로 구성되어 공부가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주고 왜 중요한지 살펴보고, 지금 대한민국의 교육 현실에 대해서도 톺아본다. 그리고 최재천 교수가 하버드대학교 기숙사 사감 시절과 서울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교수 생활을 하며 겪었던 여러 일화를 통해 우리가 어떻게 배우고 살아야 가야 할지에 대한 깊이 있는 생각을 고민을 담고 있다.


책을 통해 최재천 교수의 교육에 대한 바람과 열정이 많이 느껴졌지만 현실과 이상의 괴리감이 참 컸다. 그렇기에 교육부와 정치권력을 향해 서두에 썼던 구호를 함께 선창하자 말씀하신 건 아닐까?


우리는 각자 찾고자 하는 길이 있었고, 그 길을 찾기 위해 배우고 알아갔다. 그럼에도 아직 무엇이 옳고 그른지조차 분별하기 어렵고 여전히 헤매고 있다. 배움에는 끝이 없고 우린 죽을 때까지 배우고 알아갈 것이다. 다만 그 배움이 고통이 아니라 즐거운 깨달음이 되길 바라본다.


앞으로 제가 또 어떤 일을 하고 싶을지 저도 모릅니다. 그러니 아이들의 내일도 우리의 내일도 무한히 열어둬야 해요 마음 가는 대로 해도 됩니다. _책 속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