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혼자서도 스타트업 - 1인 스타트업 ‘해주세요’ 조현영 대표의 창업 성공 스토리
조현영 지음 / 김영사 / 2022년 4월
평점 :
2015년 8개월 동안 고군분투하며 개발한 앱을 출시했다.
나름 다운로드 수도 괜찮았고 유저들의 반응도 좋았지만 당장 수익창출은 되지 않았다.
투자 유치를 위해 피칭도 하고 최종 투자자와 면접도 했지만 좋은 결과를 맞이하지 못했고 자금 압박으로 서비스를 내릴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내가 경험했던 창업의 과정과 그 속에서 얻었던 보석 같은 노하우를 고스란히 담은 책을 만났다.
혹독한 스타트업 세계에서 혼자서 살아남은 1인 스타트업의 창업 성공 스토리와 스타트업의 현실 조언!
국내 1등 심부름 앱 '해주세요' 대표 조현영의 『혼자서도 스타트업』 이다.
IT 스타트업의 92퍼센트가 창업 후 3년 안에 폐업한다고 한다. (거기에 나도 일조했지만^^;)
해마다 12만 개의 스타트업이 생기고 그중 11만 개가 문을 닫는 것이다. 남은 1만 개 중 상당수도 5년을 채우지 못하고 망한다.
그들은 왜 실패하는 것일까?
지금은 성공한 1인 스타트업이 되었지만 저자는 여러 번의 창업을 통해 겪었던 실패 요인들을 바탕으로 1인 기업으로 성공한 노하우를 아낌없이 공개한다.
부푼 꿈을 안고 미국으로 가 첫 창업을 시작하며 직원도 20명이나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자금은 바닥이 나고 투자 유치도 하지 못한다. 직원들은 하나 둘 떠나고 결국 혼자 남게 된 조현영 대표는 실패 요인을 하나씩 곱씹으며 사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점검하고 대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몇 번의 시행착오 끝에 기획부터 개발, 마케팅, 고객 응대까지 1인 운영체제의 시스템을 갖춘 서비스를 개발하며 성공으로 이끈다. 그는 현재 혼자서 두 가지 앱을 운영하며 '긱이코노미' 시대, 가장 효율적인 스타트업 운영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첫 서비스 때 최대한 많은 실패를 경험해야 성공의 키를 잡을 수 있다는 저자의 말에 많은 공감이 갔다.
그때 실패의 경험이 나에게 두려움이기도 하지만 그것만 안 하면 반은 성공할 거 같은 느낌 ㅋㅋㅋ
그리고 처음부터 너무 많은 시간을 투자해 완벽한 서비스를 만들기 보다 대중의 반응을 보며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는 게 훨씬 더 좋은 서비스를 만들 수 있음을 알게 됐다.
스타트업의 존재 이유는 '스타트(출발)'가 아닌 '업(성장)'에 있다.
나도 UP 할 수 있도록 다시 한번 이 책을 정독해야겠다.
혹시 스타트업을 계획하고 있는 분들이 계시다면 아주 디테일한 창업과정은 아니지만 창업에 앞서 반드시 숙지해야 할 창업자의 자세와 마인드, 성공 매뉴얼이 나와있으니 이 책을 먼저 읽어보길 권한다.
하루하루 불가능이라는 허들을 넘으려면 끈기와 고집, 집념과 노력을 챙겨야 한다. 어제의 실패를 반면교사로 삼고, 앞만 보고 달려가라. 결국 자신이 옳았음을 깨달을 날이 올 것이다. _본문 내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