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소해서 물어보지 못했지만 궁금했던 이야기 2 - 일상에서 발견하는 호기심 과학 사소해서 물어보지 못했지만 궁금했던 이야기 2
사물궁이 잡학지식 지음 / arte(아르테)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튜브 과학 채널 '사물궁이 잡학지식'은 일상에서 발견한 궁금증과 호기심을 과학적 원리로 흥미롭게 풀어내 특히 청소년들에게 인기가 많은 채널이다.

나도 가끔 호기심으로 과학 채널을 볼 때가 있는데, 자신의 몸으로 직접 실험하는 '1분과학'과 과학커뮤니케이터 엑소의 영상을 종종 찾아보고 있다.


가끔 일상에서 '이건 왜 이럴까?' 궁금했던 것들이 많지만 차마 물어볼 수가 없었던 사소한 것들.

하지만 세상에 중요하지 않은 궁금증은 없다.

대한민국 청소년이 추천하는 베스트유튜브채널 3년 연속 선정. 국내 최대 과학 채널 '사물궁이 잡학지식' 시리즈

『사소해서 물어보지 못했지만 궁금했던 이야기 2』 이다.


책은 신비로운 뇌 이야기, 엉뚱하고 흥미진진한 실험실, 생활 궁금증, 몸에 관한 궁금증, 잡학 상식 등 총 다섯 파트와 40개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 뇌과학 책을 몇 권 읽어서 더 이상 뇌에 관한 궁금증이 있을까 했는데, 데자뷔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 유체이탈, 어릴 때 일들을 기억 못 하는 이유 등의 뇌 이야기는 또 다른 재미와 신기함에 다시 한번 빠져들게 만든다.


특히 생활 궁금증 중 가위바위보 게임에서 승부의 순간 사람들은 대부분 긴장 상태에 바위를 낼 확률이 높기 때문에 보자기를 내는 게 이길 확률을 높일 수 있다는 이야기가 무척 흥미로웠다. 실제 여러 실험과 통계에서 나온 결과이니 앞으로 가위바위보 게임에서 결정적인 순간에는 보자기를 내봐야겠다.


그리고 내가 일상에서 궁금했었던 가끔 날 찝찝하게 만들었던 우산의 손잡이가 끈적이는 이유, 한 번쯤 도전하고 싶게 만드는 그네 타기로 360도 회전을 할 수 있는지, 수저 밑에 휴지를 까는 것이 정말 위생적인지 등의 궁금증도 과학적 원리로 아주 재미있게 풀어낸다.


분명 처음 오는 곳인데 꼭 와 본거 같은 느낌.

분명 처음 경험하는데 이미 해 본거 같은 느낌.

나만 그런 게 아니었다.

전 세계 인구 60퍼센트가 이런 기시감을 느낀다고 하니 아마 많은 사람들이 데자뷔를 경험해 봤을 것이다.


하지만 수많은 노력에도 이 데자뷔 현상은 명확하게 밝혀내지 못했다.

오직 가설로만 존재할 뿐.

뉴런의 정보 전달에 혼선이 생겨 기억에 없어도 마치 있는 것처럼 생각하게 만들거나 기억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착각을 일으켜 데자뷔 현상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요즘 '심야괴담회'에 너무 빠져들어서 그런지

과학적 근거는 없지만 난 사람들의 예감과 촉, 무의식의 '예지능력'이 발현되지 않았을까라고 생각을 해본다.


안 궁금하던 것도 궁금하게 만드는 이 책의 매력

나보다 아이들이 더 재미있게 본 거 같다.


* 아르테 책수집가8기 / 출판사로 부터 지원받은 도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