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크 씨, 도파민 과잉입니다 - 안철우 교수의 미술관 옆 호르몬 진료실
안철우 지음 / 김영사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술을 좋아하는 나로서 무척 흥미로운 책을 만났다.

예술과 건강서라니?!

저자는 내분비내과 교수로 '호르몬 도슨트' 역할을 자처하며 초상화를 보고 호르몬 문제를 진단하고, 풍경화가 불러일으키는 느낌을 호르몬의 특징과 관련지어 이야기한다.


모나리자의 얼굴에서 '갑상선기능저하증'을 발견하고, 노란색에 집착했던 고흐에게서 도파민 과잉 분비를 의심한다. 그리고 기쁨 호르몬이 흘러나오는 클림트의 <키스>, 분노 호르몬의 폭발이 느껴지는 뭉크의 <절규>, 슬픔 호르몬을 위로하는 모딜리아니의 <소녀의 초상>, 즐거움 호르몬을 깨우는 마그리트의 <마술사>등 명화에서 만난 14가지 호르몬 이야기와 처방전이 무척 흥미롭다.



미술 작품은 늘 아름답다, 멋지다, 감각적이다 등 오로지 작품에서 느껴지는 감정에 빠져 감상했던 거 같다. 그런데 저자는 명화 속에서 질병을 찾아내고 진단하는 독특한 감상법을 제시한다.


명화에 의학적으로 접근한 것이 다소 어려울 거라 생각하지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호르몬들과 질병들의 연관이라 더욱 재미있게 다가온다.

호르몬은 우리 몸의 생체신호를 전달하는 화학물질인데, 이 신호가 잘 전달되어야 감각과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사랑과 열정의 호르몬 엔도르핀은 특히 클림트의 작품에서 많이 읽히는데, 슬픔과 통증을 잊게 하고 쾌락과 오르가슴을 느끼게 하는 엔도르핀이 그의 작품 속에서 화려하고 신비롭고 황홀하게 표현된다.


충동과 집착의 호르몬 도파민은 뭉크의 대표적인 작품 <절규>에서 특히 드러나는데, 인간 내면의 두려움과 공포가 소름 끼치는 비명으로 표현된다. 적당한 도파민의 분비는 쾌감과 즐거움, 행복함을 주지만 과잉일 경우 집착과 절망감을 안겨준다. 고흐는 결국 그 절망감에 스스로 생을 마감하기도 한다.


그 외에도 천경자 화백의 <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에서 멜라토닌의 부족으로 수면장애에 시달리는 여인을 진단하고, 프리다 칼로의 <테후아나 여인으로서의 자화상>에서 원망스럽지만 여전히 사랑하는 남편을 그저 인내심으로 견디고 기다리는 모습에 인내 호르몬 '가바'에 대해 설명한다. 저자는 작품 속 인물과 풍경 속 진단뿐 아니라 작품을 그렸을 당시 화가의 호르몬 상태도 함께 진단한다.


저자는 명작 속 옥시토신, 세로토닌, 레닌, 성장호르몬, 인슐린, 테스토스테론과 에스트로겐 등 우리의 삶을 때로는 황홀하게 때로는 절망스럽게 만드는 호르몬 이야기뿐만 아니라 의사라는 직업답게 호르몬 불균형을 해결하고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는 식습관과 생활습관 등의 처방전을 각 챕터마다 덧붙인다. 왠지 나도 명화를 감상할 때 호르몬을 떠올릴 거 같다.


이 책을 의학 코너, 미술 코너... 어디에 꽂아놓을까 고민이 되지만, 클림트, 빈센트 반 고흐, 르네 마그리트, 피카소, 앙리 마티스, 레오나르도 다빈치, 뭉크, 살바도르 달리 등 세계적인 화가들의 대표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는 책이니 당당히 미술 코너에 꽂아놓아본다.


* 김영사 서포터즈 15기 /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