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우리말 어원의 일본어 단어
한창화 지음 / 좋은땅 / 2023년 1월
평점 :
판매중지




학습의 즐거움과 흥미를 유발하는 방법이 있을까?

특히 가장 유용하면서도 지루한 단어 암기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법이라면 어떤 게 좋을까?

아이를 교육하면서 느끼는 가장 간절한 바람은 내가 가진 재능이 언어에 있다면 재미를 배가시켜줄 흥미로운 교재를 만들고 싶다는 것입니다.


우리말과 일본어는 우랄알타이어족에 속하지요. 어순이 같고 한자를 사용한다는 공통점이 언어를 습득하는데 있어서 큰 메리트를 주지요. 역사적으로도 한반도는 일본과 가까워서 교류가 있었고, 3세기~7세기경에 대륙(한반도, 중국 등)에서 일본으로 이주한 사람을 가리키는 '도래인'이라는 용어도 있습니다. 사람의 이동은 곧 '언어'와 문물의 이동을 암시하지요.



저자는 우리말과 일본어의 유사성을 찾기 위해 일본 포털사이트에서 단어의 어원을 조사하고 일본어 고어사전을 참고하면서 우리말의 방언에서 모음변화, 발음변화를 일으킨 단어까지 찾아냅니다. 이 결과 우리의 많은 한 음절 말이 일본에 건너가 어원이 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합니다. 

명사, 동사, 형용사는 물론 부사, 의태어, 의성어까지 폭넓은 유사성을 조사하여 집대성한 책이 바로 이 책이랍니다. 


일본어에 녹아있는 재밌는 표현들을 공부하면서 쉽게 암기하는 표현법들이 녹아있어서 좋네요. 

일본어 히라가나를 읽을 정도의 실력이면 바로 공부할 수 있고, 한자까지 수록되어 있는데 한자의 음, 훈도 실려 있어서 한자 공부 먼저하고, 일본어 단어를 학습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 같네요.


한 단어를 예를 들면

쇠, 금속, 돈을 지칭하는 쇠金금은 어원이 강하다의 강.

강하다의 강은 순우리말이라네요.

강>간>가네>카네.

따라서 쇠, 금속, 돈은 카네가 됩니다.


이 책을 보면서 순우리말을 만나게 되는데요.

버리다의 쓰테루는 숱하다라는 우리말에서 왔으며

숱은 셀 수 없을 정도로 매우 많다는 뜻입니다.

숱하게 흘려보낸 많은 날들....이라는 문장에서 보듯이 숱하다는 우리말 뜻도 익히게 되는 장점이 있네요.^^


<쉬어가는 곳>에서 어원 산책이나 연관성을 들어 설명해주는 부분도 재미가 있는데, 부록에 실린 의성어와 의태어는 일본어 그림책에서 많이 보던 것들이라 더 재밌네요.


언어를 공부하는 많은 방법들이 있는데...

일본어에서 우리말 어원을 찾는다니 신기할 따름입니다.

저자의 노력과 수고가 결실을 맺도록 신나게 익히고 활용해보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