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르면 호구 되는 맞춤법상식 - 교양 있는 한국어 사용자가 되기 위한 최소한의 맞춤법상식 떠먹여드림 모르면 호구 되는 상식 시리즈
이윤영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맞춤법이라는 것은 정말 말 그대로 상식인데 한글을 쓰다보면 참 어려운 경우가 있다. 단순한 맞춤법인 경우에도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은 가장 정확한 뜻을 이해하고 있어야 맞춤법 역시 바르게 쓸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단순 맞춤법 뿐만 아니라 띄어쓰기와 한자어까지 포괄적으로 한번에 정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보고서를 자주 쓰는 사람이던지, 공문작성 내지는 레포트, 자기소개서를 준비하는 학생을 비롯해서 수행평가를 준비하는 학생들도 두루두루 옆에 두고 그때마다 체크해도 좋고 전반적으로 체크하면서 읽어봐도 좋을 듯 하다. 내가 잘 헷갈리는 부분은 표시를 해두고 까먹을때마다 가볍게 읽으면 정확하게 기억할 수 있고 글을 작성할 때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겠다.

저자 이윤영 선생님은 작가이자 문해력 연구가이다. 대학에서는 국어국문학과 독서논술을 전공하고 20년간 방송작가로 활동하며 대중을 향한 말과 글을 썼다. 현재는 작가, 강연가, 문해력,표현력 연구가로 활동중이며 전국 초,중, 고, 대학과 기업, 기관과 교육청같은 오프라인에서도 강연을 활발히 하고 있고 온라인 강의 플랫폼을 통해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불안 대신 인문학을 선택했습니다., 자기표현력, 글쓰기가 만만해지는 하루 10분 메모 글쓰기, 초등 문해력 수업 , 세상 쉬운 그림책 문해력 수업, 10분 초등 완성 메모 글쓰기 등이 있다.

누구나 한번쯤은 그런 경험이 있을 것 같다. 소개팅을 하기 전에 번호를 전달 받아 연락을 하기 시작했는데.. 헷갈릴 수 있는 맞춤법이 아닌 경우 실수하면서 호감이 떨어진 경우...그만큼 말과 글은 전달의 목적만 가진 단순한 도구가 아니다. 나의 첫 인상을 결정지을 수 있는 기준이며 남들이 나를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잘 정돈된 문장은 보기도 좋고 사람에 대한 신뢰도 높아지고 불필요한 오해를 줄이기 때문에 전달력도 좋아진다. 내가 쓰는 언어가 나의 세계를 표현하고 지배한다는 뜻을 말한 철학자 비트겐슈타인의 명언도 있다.

그 사람이 쓰는 언어는 그 사람의 세계다.

5P.

또한 맞춤법은 나의 이미지를 위한 것도 있지만 타인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또 하나의 표시이기도 하다. 요즘은 두꺼운 국어사전을 가정에 구비하는 경우도 드문거 같다. 더욱이 사전을 펴서 훓어보는 일도 드물지 않을까. 그래서 아주 편리하고 간단하게 정리한 맞춤법 상식 책을 통해서 점검해보고 정리해보면 어떨까 추천한다.

책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1장은 잘못쓰면 정말 호구되는, 전혀 없는 말을 소개하고

2장은 비슷하지만 생김이나 쓰임이 다른말

3장은 둘 다 쓰지만 자주 헷갈리는 말

4장은 둘 다 인정되는 복수 표준어

5장은 직장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한자어

6장은 한 뼘 더 나아가는 우리말 상식이 소개되어 있다.

제목에 쓰여진 두 표현은 옳지 않은 표현이다. 옳은 표현은 내일까지 제출해야 하는데 어떻게? 이것이 맞는 표현이다.

책에 보면 '어떻게'는 어떠하다라는 형용사의 활용형 중 하나로 '어떤 방식으로' 또는 '어떤 상태로' 라는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방법이나 상태, 정도를 묻거나 설명할 때 사용된다고 말한다. 반면 '어떡해'는 '어떻게 해'의 줄임마로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다'라는 의미를 지니기 때문에 당황이나 안타까움이나 걱정등의 감정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책에서는 단어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게 의미나 기능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예시를 제시해주기 때문에 쉽게 체크해 볼 수 있고 적용할 수 있다.

여러 내용을 가볍게 휙휙 읽기 보다는 하나를 읽더라도 꼼꼼하게 보는 것을 추천한다. 가볍게 휙휙 읽다가는 정확하게 어떤 표현을 써야하는지 헷갈릴 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는 가르치는과 가리키는 표현을 명확하게 알아서 아주 개운한 기분이 들었다. 사실 설명을 읽으면 따라가다보니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하면 어렵지 않은 내용이었는데 실제적으로 사용할 때는 혼용해서 쓰는 경우가 많았다. '가르치다'는 지식, 기술, 도덕적 가치를 누군가에게 전수하거나 알려주는 행위이고 '가리키다'는 손가락이나 어떤 도구를 사용하여 특정 대상을 지목하거나 방향을 알려주는 행위를 말한다. 이렇게 의미만 확실하게 이해해도 올바른 표현을 사용하는데 도움이 되고 자신감있게 말할 수 있기 때문에 전달력도 향상한다.

가정에 한글을 배우는 어린 자녀들이 있다면 더더욱 바른 표현을 통해서 처음부터 헷갈리지 않게 배우는 것이 중요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