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다 위의 과학자 - 망망대해의 바람과 물결 위에서 전하는 해양과학자의 일과 삶
남성현 지음 / 흐름출판 / 2025년 2월
평점 :

저자 남성현 교수님은 해양과학자이다. 육지에서의 일상이 너무 너무 바빠서 쉬고 싶을 때는 바다로 나가서 고요하게 연구한다고 한다. 그래서 이 책도 광활한 인도양 위에서 쓰여졌다고 하니 책이 다시한번 달라 보인다. 서문에 이 세상에 해양 과학자는 꼭 저자처럼 배를 타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책에서 언급되어지는 삶과 모습이 모든 해양과학자들의 일반적인 모습이라고 여겨지지 않길 바란다고 밝힌다. 저자는 아직까지 미지의 세계로 남겨져 있는 어마어마하게 광활한 해양에 대해서 소개하고 그 곳을 탐사하는 사람들을 조금이나마 소개할 수 있어서 좋다고 하고 또 바다의 모습에서 우리가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를 나누고 싶었다고 말한다.
나에게 바다는 광활하고 신비하지만 무서운 곳이기도 하다. 어렸을 때부터 수영을 배우고 성인이 되서는 스킨스쿠버까지 배우면서 물과 가까이 지냈지만 실제로 스킨스쿠버를 하기 위해서 나갔던 바다란.. 너무 고요하고 조용한데 보이지 않는 유속이 매우 빠르게 흘렀고 물은 차갑고... 내가 바다에 온 것 조차 티 나지 않는 광활함에 더 수그러졌고 반면 보이지 않지만 엄연한 질서를 바탕으로 흘러간다는 점이 숭고하기까지 했었다. 저자에게 바다란 육지가 보이지 않는 망망대해를 의미한다고 한다. 흔히 우리가 바다보러가자! 하고 신나게 가는 해안가는 바다가 아니란 말씀이다. 책에서 읽다보면 배 위에서의 소소한 일상들이 재미있고 흥미롭다.
수많은 해양 과학자 중에서도 배를 타는 해양과학자는 소수라고 하는데 남극을 실제로 가서 펭귄을 직접 본 경험은 정말 부러웠다. 나는 수족관 안에 날개에다가 각각 이름표를 달고 다소 멍때리는 펭귄만 보았는데 저자는 역동적으로 맘껏 뛰어노는 에너지를 느꼈다니 이 얼마나 멋진 일인가! 동시에 저자는 지구가 인간의 것 만이 아니라 인간도 지구의 한 일부로서 공존하고 있다는 겸손함까지 느꼈다고 한다.
해양 과학자가 연구하는 주제들이나 그로 인해 벌어지는 에피소드들이 참 다양했다. 베테랑 하나호 선장님은 물가쿠로 알고 있는 소위 내부파(바다 내부의 거대한 파동)나 수심 27미터의 천해역에 수심별로 흐르는 유속을 측정하는 연구, 달빛에 비친 바타 표면 발광 생물체에 대한 연구, 연구를 위해 승선 기간 중 여러 번 시차를 변경해야하는 부분들 글로 다 적을 수 없지만 우와, 진짜? 대박...을 외치면서 책을 읽어내려갔다.
깊고 깊은 심해는 너무나 깜깜해서 연구가 어려운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그런 심해에 사는 물고기들은 시력을 사용하지 않아 거의 대부분 시력이 퇴화했다고 생각했는데 내가 알고 있던 사실과 달리 오히려 정반대로 시력이 극도로 발달하는 방향으로 진화하여 작은 생물 발광도 감지할 수 있다고 한다. 그냥 빛의 다름을 구분하는 것과 달리 여러 파장의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수십 개의 광색소가 망막을 채우고 있어서 깜깜한 심해에서도 다른 생물체의 희미한 섬광과 그 색상까지 구분할 수 있다고 한다. 이것은 포식자의 입장이고 반대로 피식자의 입장에서는 이렇게 빛의 파장까지 구분하는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 주위 불빛을 가장 적게 반사하여 덜 띄는 극도의 검은색을 띤다고 한다. 상상도 못한 표현 이었다. 검은색이면 그냥 다 검은색이지 퍼센테이지(%)로 반사율을 표시할 수 있을거라곤 생각 못했다.
수치가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바다는 실제 바다의 1%정도 밖에 발견하지 못한 자연이라 하니.. 얼마나 미세한 존재가 바다로 부터 많은 자원을 얻고 개발하고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사는 동,식물들에게는 반갑지 않은 불청객이겠는가, 이 글을 읽으며 과연 내가 하고 있는 행동의 영향이 바다에 사는 이들에게는 불행을 가져오지는 않는지 다시 한번 숙고하게 되었다.
책 65P에 보면 인도네시아 일부 해역과 소말리아 해역의 매우 제한된 구역에서 우유빛 바다가 관측되었는데 이는 플랑크톤의 번성에 의한 것이 아니라 박테리아 번성에 의한 것임을 알고 매우 놀랐다고 했는데.. 과학은 자라나는 첫째와 함께 친해지는 수준이라 챗GPT에 검색해 보았다. 이것은 검열이 된 내용이 아니므로 감안하면 좋겠다. 플랑크톤은 주로 식물성 플랑크톤(규조류, 남세균)과 동물성 플랑크톤(요각류)으로 나뉘는데..(당최 규조류,남세균, 요각류가 뭔지 모르겠어서 일단 넘어갔다..ㅋ)광합성을 하거나 다른 생물을 먹어 성장한다고 한다. 반면 박테리아는 단세포 미생물로 유기물을 분해하거나 화학적 에너지를 이용해 번식한다고 한다. 번식 방법도 상이한데 플랑크톤은 생식과정으로 번식하여 속도가 느리고 박테리아는 이분법(세포 분열)로 증식하여 환경만 적절하면 매우 빠르다고 한다.
이들의 번성의 결과도 흥미로웠다. 플랑크톤중 식물성 플랑크톤이 폭발적 증가(적조현상)▶산소 공급 증가 또는 감소(야간 호흡으로 산소 소모)▶해양 생태계 영향.
박테리아가 번성할 경우▶유기물을 분해하며 산소 소비 증가▶저산소(빈산소)환경 조성▶어류 폐사 및 해양 생태계 악화의 영향을 가져 온다고 한다.
찾아보면서도 모르는 내용이 많아 궁금증이 꼬리에 꼬리를 물게 되었지만 경이로움의 연속이었다. 이 우유빛 바다로 보이는 박테리아 번성의 물리적 환경 요인은 미시수라고 한다. 심지어 19세기 이후 선원들의 기록에서도 보인다고 경이로웠다. 그리고 갑자기 저자에게 물어보고 싶은 점이 생겼다. 혹시 시간을 과거로 이동해서 직접 볼 수 있다면 어떤 과학적 현상을 직접 목격하고 싶은지 물어보고 싶어졌다.
책 안에는 어려운 과학적 내용만 있는 것은 아니다. 갑자기 응급환자가 발생한 이야기, 승선하는 동안 중요한 역할들을 소개하는 중 Top3안에 들어가는 이가 조리사라는 이야기, 연구를 하다가 엔진이 받은 열기로 인해 수영장 물을 데워 사우나를 한 여담, 상갑판에서 해먹을 걸고 일광욕을 즐기며 휴식을 취하는 모습들, 연구를 위해 각 나라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모인 연구원들이 모이는 다소 진지한 모습들 일듯 하지만 결국 연구도 사람이 하는 것이고 바다 위의 생활 속에서 연구결과 만큼 얻어지는 인생의 노하우도 상당한 듯 하다. 쉽게 누릴 수 없는 삶이지만 이런 삶을 최대로 잘 누리는 듯한 저자가 참 부러웠고 동시에 저자가 바다에 나갈 동안 신앙심이 깊어진다는 아내 분의 이야기에는 존경의 박수를 보낸다. 사실 이런 출타의 시간이 길기에 독신이지 않을까 상상했기 때문이다.
바다에 관심이 있다면 재미있는 이야기가 가득할 것이다.
해양 과학자에 관심이 있다면 더더욱 읽어보어야 할 이유가 있을 것이다.
혹은 내가 경험해 보지 못한 다른 세계에 대한 호기심과 견문을 넗히고 싶다면 이 또한 한 장소에서 얻을 수 있는 최고의 경제적 가치가 될 것이다. 내일 아이가 일어나면 심해에서 사는 극강의 검은색 물고기 이야기는 꼭 해주고 싶다.
혹시 몰라 찾아본 기사가 흥미로워서 첨부해본다^^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395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