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자 피에르 부르디외는 부모가 아이에게 물려줄 수 있는 3가지 자본에 대해서 말했는데 1. 경제적자본 2. 문화적자본 3. 사회적 자본이라고 말했다.
경제적 자본은 한마디로 돈과 관련된 부분이고 문화적 자본은 경제적 자본으로 가질 수 있는 취미생활 및 인맥을 말한다. 사회적 자본은 부모와 아이의 상호작용, 언어수준 등을 말한다. 저자는 건강한 공부 정서를 위해서는 그 무엇보다도 사회적 자본이 가장 최우선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아이를 키우고 생활을 하다 보면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서 항상 긍정적인 분위기만 흐를 수 없지만 부정적인 상호작용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비율이 1:5는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1부 마지막에는 "잔소리를 대신 해드립니다" 코너가 있다. 여기 나온 대화는 선생님이 직접 아이들과 한 공부를 해야하는 이유에 대한 이야기이다. 영상을 볼 수 있는 QR 코드도 제공되어 있으니 아이와 함께 시청하면서 공부를 해야하는 이유에 대해 함께 생각해봐도 좋겠다.
2부에서는 부모가 공부 정서를 해치지 않기 위해 하지 말아야 할 말 30가지를 소개한다. '절취선' 이라는 표현을 통해서 반복되어졌던 잘못된 부모의 반응을 자르고 나아가야 할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제시하는데 개인적으로 매우 도움이 되었던 내용은 "짜증내지 말고 좋게 말해" 부분이었다. 아이가 5살이 되고 자기 주장이 강해지면서 부쩍이나 주장, 고집 등이 강해지면서 종종 갈등상황이 초래되고 있다. 나는 개인적으로 아이가 짜증을 낼 때 그 부정적인 감정이 100% 나에게 전달됨을 느낀다. 조금은 객관적으로 아이가 짜증을 내는구나 혹은 왜 짜증이 나지라는 관점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일단 그 짜증이 나에게 오롯이 유입됨을 느끼고 감정 조절에 매우 영향이 미친다. 여기서 저자는 "아이에게는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표현할 권리가 있다고 말한다. 그 감정을 허용되지 않는 감정으로 만들면 부정적인 감정을 느낀다는 것에 죄책감과 수치심을 느끼게 된다고 말한다.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을 느꼈을 때 컨트롤 하는 것은 단지 감정을 알아차리고 해소하는 것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친구들과의 갈등이 생겼을 때 해결하는 방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말한다.
어제도 있었던 소아과 난동사건에서도 내가 놓쳤던 부분은 아이의 불편한 감정 수용이었다. 감정을 온전히 수용해주고 화난 얼굴로 아이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온화한 얼굴로 아이가 지정할 수 있게 기다리고 안되면 아이를 안고 함께 숫자를 세던지 단계적으로 방법을 취했더라면 조금은 더 빨리 진정할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이 든다. 부모들이 보통 아이가 짜증내고 울고 떼 쓸때 쓰는 방법은 화를 내고 굴복시킨 후에 아이가 진정이 아니라 주눅이 들었을 때 훈육을 하는 방법을 택하는데 이는 감정을 받아주는 것이 아니라 받아주는 척을 한다라고 말한다. 즉 가르치고 나서 감정을 받아주는 것이 아니라 감정을 받아주고 가르치라고 순서를 명확하게 짚어준다. 다소 나의 행동은 부끄러웠지만 너무 명확한 가르침에 후련해지는 순간이다. 나의 서평을 저자가 보지 못하겠지만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저자가 말하는 3단계 감정 조절법
수용하고 기다려주기-우리 00이 많이 짜증난 것 같으니 가라앉으면 같이 이야기하자
감정 공감하고 명명하기- 우리 00이 많이 불안하구나, 힘들구나, 졸리구나 감정을 설명해주기
방법 알려주기- 방법은 총 8가지를 소개하는데 책 100-102P를 참고하며 상황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면 되겠다. 그리고 아이의 마음이 단단해지면 조금씩 선을 그어 공감비율 보다는 선을 긋고 아이 스스로 조절하는 지도비율을 높이라고 조언한다. 하지만 이 단계는 충분히 참고-공감하고-방법 알려주기를 거친 후에 진행하라고 조언한다.
에필로그에서는 부모와 아이가 함께 성장하는 10가지 길을 저자는 말한다. 참 좋은 말이다. 누가 처음부터 준비된 부모가 있겠는가? 나의 부모도 처음이었고 나 역시 부모가 처음되보고 나니 어려운게 한두가지가 아니더라. 부모 먼저 내 감정의 주인이 되고 나의 어린시절과 화해를 하고 그리고 내 감정 역시 수용해주라고 말한다. 이 세가지가 먼저 바탕이 되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그리고 유연해지기, 나의 선택 인정하기, 긍정적으로 생각하기, 시간과 공간 확장하기, 작은성취 만들기, 명상하기. 참 신기하게도 아이와 함께 지키는 것은 없다. 그저 부모 역시 끝까지 공부하며 돌아보며 가꾸며 나를 마주하고 나쁜 것은 털어내고 좋은 것으로 채우는 과정이 끊임없이 있어야 한다. 아이의 공부 정서가 형성 될 때 준비되 있지 못한 나로 인해서 돌아가지 말고 이 책을 통해서 미리미리 기반을 다져보는 것도 좋은 기회가 될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