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진정성에 집착하는가 - 진짜와 허상에 관하여
에밀리 부틀 지음, 이진 옮김 / 푸른숲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은 사람들이 진정성 있다는 점에 매료되어 왔고 믿고 있을 것이다. 나 역시 그런 사람 중의 한 명이다. 하지만 어느 순간 진정성이라는 것이 의심이 되면서 무엇이 진정성인가에 대한 물음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진정성이 세상에 존재하기는 하나라는 의문증이 생긴다. 무엇을 믿고 무엇을 걸러야 하는 것일까?

얇고 작은 책이라 사실 쉽게 읽힐 줄 알았는데, 사회전반 분야에 대해 상세히 비판하고 생각할 거리를 담고 있어서 읽어내는 것이 쉽지만은 않았다. 나의 배경지식이 터무니 없이 부족해서 그런 것 같다. 배경지식이 보다 풍부하거나 영미문화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다만 온라인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다루고 있어서 온라인에서 일어나는 많은 일들을 이미 접해본 사람들이라면 좀 더 잘 이해할 것이다.

결국 이 6분야인 셀럽, 예술, 제품, 정체성, 순수성, 고백을 통해 이 책이 우리에게 알려주고자 한 것은 무엇인가? 우리가 진짜라고 진정성이 있노라고 믿어왔던 것들이 사실은 허상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 같았다. 그것도 소셜 미디어와 자본주의에서는 진정성이 환상이라고 말이다.

특히나 가장 인상깊었던 부분은 우리가 알고 있던 웰빙이라는 것도 사실은 아주 모순된다는 부분이었다. 웰빙 속에 삶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진정성 있는 노력과 소비주의에 대한 다소 허무주의적 신뢰사이의 긴장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있던 사람이 있었을까? 소비행위 자체를 진정성 있는 행위로 바꾸면서 사람들은 스스로를 세뇌시켜 왔을지도 모르는 것이다.

우리가 올리고 있는 온라인에서의 나는 어떤 모습일까? 이 책은 우리가 올리는 게시물을 통해 타인에게 인식되고 싶어하는 것은 아닌지 비판한다. 나도 최근 비슷한 경험을 했기에 이 부분에서 많은 공감을 하게 되었다. 나의 행복함에는 좋아요를 누르지 않지만, 나의 불행함에는 좋아요를 누르는 사람 때문에 나의 슬픈 감정을 담은 피드를 삭제했다. 그 사람에게는 내가 행복하고 밝은 사람으로 잘 사는지 보여주고 싶었기 때문이다.

이는 지금 나의 감정은 슬프다라는 진정성보다, 그 사람에게 만큼은 행복해보이는 사람으로 남고 싶다는 강한 마음이 나의 진정성이 되어 버렸다. 그렇다면 나의 진정성은 무엇인가? 이 책은 그것을 깨달을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타인에게 보여지는 것보다 지금의 나를 제대로 느끼고 현실에 살 수 있는 것이 진정성이라고 말이다.

출판사를 통해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