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쓰기 #글쓰기에진심입니다
여전히 흔들리고 알아차리기를 반복하고 있지만
이제는 글로 자신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기에 참 다행이라고 말한다.
글을 잘 쓰기 위해 글을 쓰기 시작한 것은 아니지만
누부보다 글쓰기에 진심이 되어버린...
글쓰기에 진심
제목이 마음에 들었다.
글을 읽다보니 나도 글을 쓰고 싶어졌다.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쓸 수 있을까 고민이 되었다.
그래 아직은... 좀 더 책을 많이 읽은 뒤에
아직은 부족하니까..
그러다 이 책을 만났다.
진심.....
진심을 어떻게 전달할 수 있을까 기대하며 책을 펼쳤다.
스토리의 힘
이야기는 기 승 전 결의 구조를 가질 때 끌어당기는 힘을 가진다.
전문가 수준의 깊이가 있다면 경험이 없어도 글쓰기가 가능하다.
대중의 눈높이에 맞추어서 말이다 .
내가 쓴 글을 여러 번 읽는 사람은 바로 나
가장 위로를 받고 용기를 얻는 것도 바로 나
자기치유의 효능이 있다.
아픈상처를 치유하지 않고 그냥 덮어버리면 상처는 낫지 않고 덧나는 것이 당연한 것처럼
마음역시 치료를 해야 한다.
심리적 CPR
요가자세중 앉은 전굴자세도 꾸준히 해야 할 수 있는 것처럼
마음도 몸처럼 근력이 필요하다 꾸준한 마음운동이 필요하다.
사람마다 다를 순 있겠지만
저자에게는 독서와 글쓰기가 마음근력을 키우기 좋은 운동이었다.
그럼 나는?
나는 기도/ 말씀보기/나자신을 들여다보기(알아차림)/책읽고리뷰쓰기 또?... 지금 생각나는 건 이 정도
내가 좋아하는 걸 많이 하고 있다. ^^
감사감사
순간의 기억은 사라지기 쉽다.
정리 메모/ 기록이 중요하다.
어디서든 메모가능한 세상이다.
핸드폰에도 있으니^^
나는 블로그에 정리하는 편이나... 글쓰기를 위한 준비는 아직 하지 않고 있다.
아직 쓸 준비가 안 되서...
아는 것이 없다.
글쓰기를 통해 자기주장을 해볼까?
글쓰기를 통해 온전히 자신을 만날 수도 있도 자신의 의견을 맘껏 피력할 수도 있다.
온전한 나만의 시선이 있을 수 있을까마는 적어도 자신의 생각을 잘 정리해서 말해 볼 수 있다.
글쓰기를 통해 온전히 자신과 만나는 시간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쓰는 과정을 통해 생각이 다듬어지고 논리가 갖추어진다.
자신을 직시하고 자신의 철학적 시선을 가질 수 있다.
나 자신에게 질문을 던지자
우링서 벗어나 나로 살아가는 시작
걸어서 세계속으로
와와 내가 좋아하는 프로인데
저자도 좋아한다고 했다.
대리만족 ^^ 나역시 그렇다.
나역시 여행을 참 좋아한다.
우리모두는 징검다리
옳다
그 표현이 참 매력적이다.
시대 가운데 우리는 그 중 하나
나는 점과 같다.
내가 있는 자리에서 아주 작은 것을 하는 것이다.
자기 자신을 글에 담으려면 지극히 개인적인 에피소드를 끌어올려 솔직하게 쓰려한다.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창의적이다.
마틴 스콜세지 감독의 조언
실화만이 줄 수 있는 생생함이 있다.
매일 꾸준히 너무하다 싶을 정도로 ^^
새벽에 일어나 A4 한 장에 글을 썼다.
누구에게도 보여주지 않던 초라한 감정과 모습이 고스란히 담겼다.
음 끌린다.
나는 기도할 때 나의 초라한 비루한 나의 비참한 심정을 다 토로한다.
기도문을 작성해 볼까
글을 읽다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최근에 가까운 지인이 물었다
기도하는 법이 궁금하다고
고민이 생겼다.
음...
생각중 고민중
헉 방가방가
저자도 블로그에 서평을 꾸준히 남겼다니
물론 그게 다는 아니겠지만 왠지 나도 작가? 글쓰기에 한 걸음 다가서는 기분에 입꼬리가 올라간다.
정리 옷장정리
내게는 큰 드레스룸이 있다.
이사하기 전에는 드레스룸이 큰 게 없어서 정리가 안 되는 거라 스스로에게 말했다.
ㅋㅋ
정리가 안 되는 거였다.
이사를 하며 정리수납사가 와서 완벽?하게 정리를 해 주고 갔지만 얼마 안 가 ㅋㅋㅋ 여기저기 툭툭 얹어 둔다.
옷이 너무 많나? 더 큰 드레스룸이 필요한 건가?
내가 정리를 잘 못하는 거다.
또한 저자의 말처럼 불필요한 것이 많은 것일 뿐이다.
나는 그 많은 옷들을 다 입지 않는다.
늘 새로운 옷을 좋아하다 보니 계절별로 많이 산다.
사는 데 좀 더 신중을 구하고 더이상 입지 않는 건 과감한 정리가 필요하다.
본론으로 돌아가서
좋은 글감은 잘 정리해 두자
나도 그런 생각을 했더랬다.
살다보면 생각끝에 문득 드는 기막힌 생각이 누구나 있지 않은가
잘 기록을 해야 잊어 버리지 않는데 블로그 한 켠에 기록하는 곳을 만들어야지 했으나 아 실천을 못했다. 오늘부터 실천 ㅋㅋㅋ
아이디어 보드
오키
글쓰기 포비아는 없으니 말이다.
지금은 아는 게 없으니 글감이라도 쟁여두자
그 언젠가 쓰게 될 때 아니면 못 쓰더라도 괜찮다.
혼자 보며 스스로 대견해 해도 괜찮다. ㅋㅋ
감사일기도 써 볼까?
음 꾸준히 할 수 있을까?
오늘의 기도도 써 볼까?
그럼 좀 더 꾸준히 할 수 있을까
아 도전은 계속 주어지는데 아 고민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