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에라스뮈스 - 광기에 맞선 인문주의자
요한 하위징아 지음, 이종인 옮김 / 연암서가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치의 광기속에서 구금상태로 지내던 요한에게는 중용과 이성을 설파하던 에라스무스가 그에게 는 필요했다.
단순히 에라스무스의 글이 아닌 요한 그 자신이 에라스무스가 되어 피로써 쓴 자신의 내적고잭이라고 나는 감히 평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녹천에는 똥이 많다
이창동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누구에게나 정말 떠올리고 싶지않은 기억은 있기 마련이다. 

우리는 너무나 빨리 발전해왔고 정신없이 짓기만 해왔다. 

그저 오로지 "잘 살아보세"란 모토하나만을 달고 x빠지게 살아만 온 것이다. 

조금은 더 생각하고 천천히 달려왔어야 할 이 길을 저자는 그저 담담히 풀어놓고 있다. 

저자는 말한다. 현실이란 더러운 것이라고.. 

그런 점에서 저자의 생각은 서메셋 몸과의 생각과는 유사점을 지닌다고 하겠는데, 몸은 인간의 경험에서 누구나 겪는 일상의 괴로움을 말한다면, 저자의 글은 70~80년대를 살아온 아니 아직도 끝나지 않은 우리들의 얘기를 한다고 하면 좀더 적확한 표현이 될지 모르겠다. 

글을 보며 몇번이나 몸서리를 치고 눈을 찡그렸는지 모르겠다. 

읽고 난 후에 드는 이 답답함은 무엇인지.. 

하지만 반드시 알아야 하고 거쳐가야 할 부분이다. 

작가는 그것을 얘기하려고 한 것 같다. 

이것이 바로 이창동 그의 힘이며 우리들과 바로 그의 자화상이다. 

어찌 그렇지 않겠는가. 글은 그 자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 이덕일의 한국사 4대 왜곡 바로잡기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디나 마찬가지겠지만, 특히나 이 한국사회는 모시는 어른에 대한 절대적인 충성이 작용하는 군병제 국가 인것 만은 확실한 것 같다. 

사학계의 태두 이병도 박사의 학설과 자연스럽게 오버랩 시키며 글을 풀어놓는 저자의 글에 자연스럽게 고개를 끄덕였다. 

이덕일이란 저자의 가치는 차치하고서라도 대중들에게 그의 글이 그만큼의 파급력과 영향력을 지니고 있다면, 학계에서도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당연한데, 모두 그의 글을 재야사학자의 글로 폄하하는 그들의 말은 정말 모순이 아닐 수 없다. 

정식 대학에서 박사학위까지 받은 그가 재야사학자라니... 

학계의 관행이 한심스럽다. 

한국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 한번 읽어 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차는 7시에 떠나네
신경숙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날 한국문학에서 신경숙이라는 세 글자가 가지는 무게는 결코 만만찮다. 

하지만 내가 본 그녀의 글은 그리 깊이 와닿지 않는다. 

여성이라는 혹은 자기 자신만의 인생의 체험과 깊이, 공감 등에서 나오는 글이라고 한다면 뭐라 할말은 없겠지만, 개인적 생각으론 그녀는 인간의 체험에서 보편성을 끌어올리는 능력이 부족하다. 

이 책에서 공감했던 구절 한가지.. 

"20대에는 30대가 되면 모든게 안정될거라 생각하지. 하지만 30대가 40대가 되도 여전히 살얼음 걷는 것 처럼 불안하다". 라는 구절외엔 그다지 와닿는 것이 없었다.  

특수냐 보편이냐 라는 문학사의 끝없는 논쟁을 보고 싶진 않다. 

단지 누구나 보고 느끼고 이해할 수 있는 그런글이 너무나 그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밥바라기별
황석영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황석영이란 작가는 이미 이 대한민국에서 인지도면이나 그 위치면에서 부정할 수 없는 마이스터임에는 틀림없다. 

하지만 뭐랄까 나에겐 그리 어필이 되지 않는 것 같다. 

그가 쓴 책을 다 보지 않아 섣불리 판단하는 것은 안되겠지만 그의 글은 좀 무미건조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하지만 분명 그는 마이스터임에는 분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