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멘탈이 무기다 - 불가능을 깨고 최고 성과를 이끄는 위대한 기술
스티븐 코틀러 지음, 이경식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1년 11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멘탈 챙겨!"는 요즘 우스개 소리로도 자주 하고 듣는 말이다. 멘탈은 나를 지탱해주는 중요한 것이지만 위대한 길을 가기 위한 필수 요소다. 미하이 칙센트미하이의 <flow>, 말콤 그래드웰의 <1만 시간의 법칙>을 비롯한 많은 서적과 강좌에서 <끈기>에 대한 중요성을 얘기한다.
멘탈을 이용하여 몰입으로 가는 방법을 설명하는 이 책은 세종서적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우리는 어떤 때에 즐거움을 느낄까? 단순하고 편하게 재미있는 일을 할 때라고 대부분 대답을 할 것이다. 이것은 정말 즐거운 일일 것이다. 소중하고 편한 사람들이랑 함께 한다면 더더욱 즐거울 것이다. 하지만 짜릿하냐라고 물어본다면 또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는 언제 짜릿함을 느낄까?
중략
그럼 우리는 어떤 일을 해야 할까? 우선 자신이 흥미를 가진 25개 정도의 항목을 열거해 본다. 그리고 그들 사이에 연관되는 부분이 있는 것을 이어 본다. 이것을 교차점 연결이라고 한다. 요리와 달리기에 흥미가 있다면 달리기 할 때 좋은 음식으로 교차점을 찾을 수 있다. 우주와 기계가 좋다면 우주공학이 될 수도 있다. 교차점이 가장 많은 것이 우리의 호기심을 가장 많이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호기심이 생겼으면 숙련을 해야 한다. 숙련은 지겨운 반복 행동의 연속이다. 그렇기 때문에 긍정적인 정신력을 가지는 것은 중요하다. 우선은 목표를 명확해질 때까지 쪼개야 한다. 짧은 시간에 달성할 수 있는 목표의 집합으로 만들었다면 우리는 작은 성공을 연속적으로 느끼면서 나아갈 수 있다. 작가라면 책 한 권을 적겠다를 하루에 독자가 흥미로워할 3 문단을 적겠다로 쪼갠다는 것이다. 숙련도에 따라 점점 늘려나가면 된다. 그리고 가장 열정적인 순간에 그만두는 것도 방법이다. 다음날 그것이 너무 하고 싶게 만드는 것이다. 헤밍웨이도 문장을 마무리하지 않고 늘 펜을 놓았다고 한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몸의 상태다. 몸과 마음의 상태가 평균이하고 일정 기간 지속되면 모든 것을 그만두고 쉬어야 한다. 이때 즐거운 마음으로 일에서 손을 놓을 수 있는 연습이 필요하다. 그리고 평소에도 늘 충분한 수면과 운동, 마음 챙김을 꾸준히 해야 한다.
'고통'에 대한 정의도 다시 해볼 필요가 있다. 우리는 행복했던 기억보다 고통스러웠던 기억을 더 잘 기억한다. 그렇다면 '고통'이라는 것을 부정적으로 볼 것이 아니라 긍정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실제로 우리는 힘든 일을 지속할 때 '번아웃 상태'를 만나게 된다. 그 상태에서 더 격렬하게 나아가면 <세컨드 윈드>라는 상쾌한 상태를 다시 만나게 된다. 산을 오를 때 숨이 목에 차는 순간을 넘기면 호흡이 다시 안정을 찾는 것이 그런 것이 아닐까 한다. 실제로 운동하는 사람들은 이것 때문에 <운동 중독>에 빠지기도 한다. 하지만 자신의 몸 상태를 잘 확인하고 쉬어야 할 때는 주저 없이 쉬어야 한다.
무서워도 한 번 해봐가 아니라 무서우니까 한 번 해봐라는 역발상이 신선했던 챕터였다.
중략
<멘탈이 무기다>는 끈기와 몰입의 중요성에 대해서 얘기한다. 창의성은 결국 알고 있는 것의 연결이라고 말한 스티븐 잡스의 말을 빌려도 결국 많이 알아야 함을 알 수 있다. 창의성에 힐링과 쉼이 필요하다는 말은 <몰입>이 전제가 되어 있어야 한다. 쉼은 그동안 쌓았던 지식들을 재 정렬하는 시간이다. 그런 과정에서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생기는 것이다. 마냥 쉰다고 생기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철학적으로 혹은 심리학적으로 알고 있던 내용을 뇌과학의 지식을 인용하며 과학적으로 설명을 했다. 단지 너무 전문적인 말들이 많아서 이해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지만 그가 말한 <멘탈>에 관한 얘기에 근거가 충분함은 느낄 수 있었다. 무언가 대단해지고 싶다면 <투쟁>하고 <몰입> 해야 한다. 그것은 세월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진리일 것이다. 내 생각이 틀리지 않았음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기분 좋은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