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멘토가 미래의 멘토에게 - 리얼 월드 가이드 북
J. R.패리쉬 지음, 강민채 옮김 / 잠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저자가 서두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꿈꿔왔던 삶을 살려면 그에 합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부단한 자기 수련을 통해서만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삶을 꾸려갈 수 있는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과연 나는 노력하는 삶을 살아왔는지, 또 부단한 자기 수련을 하고 있는지 내 자신에게 계속해서 질문을 했었다. 그러면서 저자의 책은 다른 일반적인 자기계발류의 책과는 다른 점을 가지고 있겠지 기대를 가지고 책을 끝까지 읽었다. 여기에 대한 답은 조금은 실망스러웠다고 말하고 싶다. 이런 종류의 책을 많이 접하다 보니 솔직히 내용이 다 거기서 거기, 오십 보 백 보인 것 같다. 그렇다고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다. 그것은 저자의 책을 통해 무엇을 얻었는지 정확히 말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내 자신을 다시 한번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내가 지금까지 피하려고만 했었던 부분인 인간관계가 삶에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금 일깨워 해주었다. 그리고 멘토와 역할모델에 관한 설명도 마음에 와닿았다. 특히 ‘무엇이든지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를 ‘무엇이든지 남이 대접받고자 하는 대로 대접하라.’로 바꿔 설명하는 부분은 내가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이라 새겨둘 만한 부분이라 생각한다. 그런데 ‘현재의 삶이 내가 원하는 방식대로 흘러가지 않는다면 주저 없이 바꿔야 한다. 불행하고 불만족스러운 현재의 상황을 바꾸기 위해 해야 할 일을 무엇일까요?’라고 말하는 부분은 정말 막연한 설명이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자신의 문제는 자신에 제일 잘 알고 있지만 그 문제가 말처럼 쉽게 해결이 된다면 이 세상에 고민있는 사람이 누가 있겠는가? 많아져만 가는 우울증 환자와 높아만 가는 자살률을 어떻게 설명하겠는가? 그것은 아마도 저자가 큰 실패없이 지금의 자리에 섰기에 그러지 않나 생각을 했었다. 현대사회에서 모두 성공을 꿈꾼다.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모든 방면에서 그러하다. 그런데 과연 얼마의 사람들이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가 있는가? 저자와 같이 50대 초반에 은퇴해 하와이에서 커피농장을 경영하며 살아가는 삶이 미국에 얼마나 될까? 이 부분에 대한 언급이 조금 부족한 것 같다. 단순히 저자의 경우 뜻하지 않는 멘토를 만나 지금에 자리까지 왔다고 말하지만 그러한 행운이 모두에게 찾아 올 수 있다고 저자는 확언할 수 있을까? 저자가 말하는 대로 실천하면 그게 현실화될까? 나는 의구심을 갖는다. 가능보다는 불가능에 가깝다고 말하고 싶다. 하지만 내 자신이 저자가 말하는 대로 실천해보지 못했기에 단언하지는 못하겠다. 그러기에 저자가 말하는 부분을 최대한 내 삶에 반영해 보고 싶다. 얼마는 유지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저자의 말대로 내 자신에게 약속한 것을 하나씩 지키려고 노력을 해봐야겠다. “아침에 7시에 일어나기, 몸무게 5kg줄이기, 1주일에 최소 4일 운동하기”와 같이 실생활에서 바로 실천할 수 있는 것들을 충실히 하려고 노력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