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새끼손가락은 수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 W-novel
사쿠라마치 하루 지음, 구수영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뭐, 그런 셈이지. 그래도 괜찮아. 내가 너를 선택한 데는 확실한 이유가 있으니까 말이야. 아까도 말했지만 너는 훌륭한 숫자를 가진 사람이야. 너라는 사람은 잊더라도 친화수는 못 잊을 거야. -p15


내가 수학을 좋아해서 그런걸까? 이 책의 제목을 보는 순간, 줄거리도 읽어보지 않고 '이 책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제목으로나, 표지로나, 일본 소설의 느낌이 확 났다. <우리의 새끼손가락은 수식으로 연결되어 있다>은 평소 믿고 보는 위즈덤하우스 출판사에서 처음으로 출간한 라이트노벨이다. 나는 이 책을 통해 라이트노벨을 처음으로 접해봤는데, 그동안 읽어왔던 소설보다 확실히 가벼운 소설이라는 게 느껴졌다. 하지만 책을 다 읽고난 후의 울림은 결코 가볍지 않았다.


기억은 심장에도 머물러. 인간의 마음은 문자 그대로 여기에 있으니까. -p32


<우리의 새끼손가락은 수식으로 연결되어 있다>의 이야기는 고등학교 교실에서 시작된다. 소설 속 '나'는 친구를 만들지 않고 혼자 지낸다. 그래도 불편하다거나 친구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기 때문에 학교 생활은 그럭저럭 할만했다. 소년의 반에는 그런 소년과 비슷하게 혼자 지내는 여학생이 있다. 소녀의 이름은 '아키야마 아스나'. 소녀는 학교에서 수학 천재로 소문이 나 있는 학생이다. 누구에게도 관심이 없던 소녀가 어느 오후 소년에게 한 마디를 건넨다. "전향성 건망증.".


그래서 내가 수학을 좋아하는 거야. 현실 세계는 복잡하고 괴기스럽지만 숫자는 누가 풀어도 같은 답이 나오니까. -p80


소녀가 말한 전향성 건망증은 한 달을 주기로 기억이 리셋되는 병이다. 이런 병을 앓고 있기 때문에 소녀는 친구를 만들 수 없었다. 하지만 소년에게는 "친구가 되어줘."라고 말한다. 친구가 되고 싶은 이유는 소년이 갖고 있는 '친화수' 때문이다. 소년의 핸드폰 번호가 친화수라는 이유로 친구가 되고 싶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소녀는 소년 자체보다는 소년이 갖고 있는 숫자가 좋은 것이다. 조금은 이상한 이유이지만, 친구가 되지 않을 이유도 없기 때문에 소년과 소녀는 서로 하나 밖에 없는 친구가 된다.


처음에는 아니라는 논리를 펼친 바 있지만, 나는 그녀의 말대로 2가 고독한 숫자라고 통감하게 됐다.

홀로 있었을 때, 나는 외로움이라는 감정을 품은 적이 없었다.

다만 그녀를 알게 된 후 고독을 알게 됐다.

1이 2가 된 순간, 고고함이 고독으로 바뀌었다.

사람과 접함으로써 혼자 있는 것은 외로운 것이란 사실을 깨닫고 말았다. -p99


소녀는 리셋되는 기억들을 새로운 달에 알기 위해 매일 일기를 쓴다. 그렇기 때문에 새로운 달이 와도 소년과 계속 친구가 될 수 있었다. 이런 것도 이제 어느 정도 익숙해졌지만, 문제가 하나 있었다. 기억을 잃는 주기가 1일씩 짧아지고 있다는 것. 이렇게 계속 지내다보면 어느 날부터는 단 하루도 기억을 유지하지 못한다. 기억을 잃는 소녀 때문에 더 자세히 기억을 해야하는 소년. 소년은 소녀와 시간을 보낼수록 소녀와의 추억이 쌓이고, 우정에서 점차 사랑의 감정을 느낀다.


내가 너를 잊더라도 너는 절대로 나를 잊지 마. 혹 내 기억이 너를 잃는다 해도, 이 마음이 너를 기억하고 있으니까. -p204


드라마, 영화를 보면 눈물 연기를 하는 배우들 때문에 나 또한 같이 눈물을 흘릴 때가 많다. 반면 책은 글이기 때문에 영상보다는 감정이입이 덜 된다. 그래서 내가 책을 읽으면서 눈물을 흘린 적은 딱 한 번 있었는데, 이 책을 읽고 두 번이 되었다. 초반에는 소년과 소녀가 나누는 대화를 보며 그저 가벼운 미소만 지어졌는데, 후반에 가슴을 쿵하고 울리는 이야기가 전개되어 소설 속 소년이 받는 위로를 나도 같이 받았다. 쌀쌀한 가을과 정말 잘 어울리는 예쁜 소설 <우리의 새끼손가락은 수식으로 연결되어 있다>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