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몰 트라우마 - 삶의 면역을 기르는 자기 돌봄의 심리학
멕 애럴 지음, 박슬라 옮김, 김현수 감수 / 갤리온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몰트라우마
#멕애럴
#웅진지식하우스




왠지 모를 우울감, 뭔지 모를 무거운 감정들로 무기력해지는 느낌에 ‘나 우울증인가?’하며 우울증 자가진단 테스트를 해 본 적이 있다. 결과는 당연히 정상! 아니, 나는 막 가슴이 답답하고 힘들어 죽겠는데 정상이라고?(그렇다고 우울증이길 바란 건 아니지만) 이런 경험을 해 본 적이 있다면 이 책을 읽어보라 권하고 싶다. 내 이야기 같은 사례들을 보며 나의 스몰 트라우마를 발견하고 저자가 알려주는 AAA 접근법을 통해 심리적 면역력을 기를 수도 있을 테니!




저자는 작고 일상적인 일이 우리 삶을 소중하게 하듯이 작고 일상적인 일이 우리의 활력과 열정, 잠재력을 고갈시킬 수도 있다고 말한다. 이 작지만, 꽤 힘이 센 녀석을 인식하고 이해하면 강력한 심리적 면역력을 구축할 수 있고 미래의 빅 트라우마가 끼칠 파괴적인 영향력을 줄일 수 있단다.



빅 트라우마는 전쟁, 화재나 자연재해, 강간이나 성폭행, 테러, 성적·정서적·신체적 학대의 경험, 테러 등의 폭력 행위로 입은 피해로 정서적·신체적 건강에 심각한 손상을 입는 것을 말한다. 스몰 트라우마는 이런 빅 트라우마와 삶의 주기 안에서 겪는 큼직한 사건(결혼, 가족의 죽음, 출산 등)이 유발하는 스트레스인 ‘주요 생애 사건’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해 등한시되거나 방치되기 쉽다. 저자는 현대인들이 많이 앓고 있는 과민성 대장증후군도 심각한 학대를 경험한 경우보다 냉담하고 차가운 양육 태도와 더 연관이 깊다는 연구 결과를 보고 ‘스몰 트라우마’가 내담자들의 문제를 설명할 수 있는지 파고들기 시작했다고 한다.



스몰 트라우마의 주제는 다양하다. 크게 어린 시절, 인간 관계, 일터, 사회에서의 스몰 트라우마로 나뉜다. 각 주제별 사례를 통해 스몰 트라우마가 현재 내 삶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게 되는지 이해하고 수용하고 나아가 행동을 통해 스몰 트라우마를 다스릴 수 있는 방법들을 알려준다.







장애를 가진 동생을 보살피는 데 온 정신을 집중해야 했던 모가 ‘위로받기 위한 먹기’에 매달려 지나치게 살찌게 된 모, 그저 딸이 행복하기만을 바랐던 부모님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기 위해 행복이란 강박에 빠진 애나, 극도로 감정 표현을 절제하게 된 노아와 릴리, 어렸을 때 무대에서 경험한 창피함 때문에 형성된 스몰 트라우마로 대학 강의실에 들어가는 것조차 힘들게 된 찰리 등의 사례를 통해 정말 사소한 경험, 타인의 말, 부모의 양육 방식 등이 우리 삶을 망가뜨릴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별것 아닌 일이 별것이었다.

누가 봐도 제법 괜찮은 삶을 살고 있는데도 왠지 행복하지 않고 우울한 기분에 잠기고 공허하다면 나도 모르게 내 삶을 갉아 먹고 있는 ‘스몰 트라우마’가 있는 건 아닌지 한 번 찾아보길 바란다.








<웅답하라 5기 미션>

“이 책을 읽고 나도 몰랐던 내 안의 스몰 트라우마를 확인했다면, AAA 1-3단계를 통해 솔직한 감정을 말해보세요.”



책을 읽는 동안 특별히 ‘내 스몰 트라우마가 이거였구나!’하는 것을 발견하지는 못했지만, 4장스트레스와 불안의 차이를 구별하는 일이 왜 중요한지 알게 되었고 내 삶에 적용해보기로 했다.


아이들의 큰 소리가 들리기 시작하면 내 몸은 즉각적으로 스트레스 반응을 나타낸다. 관자놀이가 묵직해지면서 뒷목이 뻣뻣해지고 가슴이 답답해진다. 이런 현상은 분명 생리적인 스트레스 반응이지만 이 반응이 일어나기 전에 ‘아이들의 다툼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현재 일어나지 않은 일에 대한 불안이 먼저였다는 것을 알았다. 모든 상황을 미리 예견하는 일은 어떤 일에 미리 대비할 수 있어 좋지만, 이런 내 특징이 일어나지 않은 일을 걱정하며 불안을 일으키기도 하는 것을 인식하고 수용할 수 있었다. 내가 취할 수 있는 행동 팁 중, 감각을 이용해 스트레스 벗어나기(손을 얼음주머니에 넣고 잠시 유지하기 등)와 시야 넓히기를 활용해 보려고 한다.




내가 괜찮다면 굳이 스몰 트라우마를 찾아 헤맬 필요는 없다. 내가 괜찮지 않을 때는 꼭 나에게 관심을 가지고 나를 잘 살펴보고 나를 도와주길, 그래서 모두가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길 바란다.




덧,

「무디타(산스크리트어) ; 타인의 기쁨을 내 것인 양 더불어 기뻐하는 것」
너무나 예쁜 말을 알게 되어 기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