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살아야 하는가 - 삶과 죽음이라는 문제 앞에 선 사상가 10인의 대답
미하엘 하우스켈러 지음, 김재경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변화하는 존재와 불변하는 기억 사이의 대립보다 더 고통스러운 것은 없다」 _마르셀 프루스트



많은 철학자와 지식인들이 ‘왜 살아야 하는가?’와 같은 명확한 답도 없는 논쟁거리를 두고 왈가왈부하며 시간을 보내는 이유가 뭘까? 철학서를 많이 접해 보지도, 철학자들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지만 몇 권의 철학 관련 도서를 읽으며 도달한 철학의 필요성에 대한 내 나름의 결론은 이렇다.

‘철학은 평소에 활성화되지 못하고 죽어있던 뇌를 굴려 전체적으로 뇌에 생기를 불어 넣어주고, 어떤 현상이나 주제를 적극적으로 파고들어 깊은 사유를 가능하게 하며, 내 삶에 대한 고찰과 타인과 세상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바쁜고 정신없는 일상에 쫓기듯 살다 보면 솔직히 철학적 질문에 대해 생각을 할 겨를이 없다. 가끔은 의도적으로 철학적 사유를 끌어내는 책들을 읽고 내 삶의 방향에 대해 고민해 보는 것은 분명 좋은 일이다.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쇠렌 키르케고르, 허먼 멜빌,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레프 톨스토이, 프리드리히 니체, 윌리엄 제임스, 마르셀 프루스트,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알베르 카뮈] 이 책은 저자 미하엘이 10인의 작가들의 ‘삶과 죽음이란 문제에 대한 고찰’에 관해 탐구한 내용을 전해 준다.


「독자들이 그들 작품의 핵심 관심사를 이해하도록 돕고, 그들이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가 어떤 곳인지, 그 안에서 죽음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삶에서 정말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면에서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는지 밝혀내고자 한다/ 책에 등장하는 대답들은 단지 세계와 세계 속 인간의 위치를 바라보는 방법을 제안하는 가설로서 읽고 이해해야 한다.」_p14


책의 두께와 ‘철학책’이라는 이유로 압도당해 크게 심호흡을 하고 책을 펼쳤다. 그런데 저자에게도 이 책을 쓰는 것이 ‘문학적·지적 모험’이었고, ‘책에 등장하는 작가 중 몇몇은 책을 쓰기 시작한 시점에는 거의 알지도 못했다.’니 위로받는 기분이었다. 


세계는 지극히 나쁜 곳이며, 그렇다고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고, 본질적으로 삶은 고통이며, 일시적인 고통의 유예가 ‘행복’이라는 쇼펜하우어의 세계관에 나는 동의하기 어렵다. 오히려 ‘세계는 인간의 필요와 욕구, 야심과 열망에 철저히 무관심하다, 세계는 냉정하고 냉혹하다. 연민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다. 험악하고 무자비하며 비협조적이다.’고 보는 알베르 카뮈의 입장은 공감이 간다. 카뮈는 우리가 인간으로서 원하는 것과 세계로부터 얻는 것 사이에 괴리가 발생하는 상황을 ‘부조리’라고 부르며 『칼리굴라』라는 희곡에 등장하는 광기 어린 로마 황제를 부조리한 세계에 빗대어 표현한다. 카뮈는 이렇게 무의미한 세계에서 삶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고민, “삶이 살 만한 가치가 있는지” 알아내는 것을 “철학의 근본적 과제”로 본다. 그리고 세계의 무의미함, 무심함을 결국 우리에게 자유롭게 선택하여 살 수 있게 하는 기회로 본다. 나는 『이방인』에서 자기 삶의 어떤 것에도 무관심하던 뫼르소를 통해 도대체 무얼 말하고 싶은지 이해할 수 없었다. 그저 세상 앞에 무기력한 인간상? 아무렇게나 버려도 되는 삶을 말하는 것 같아 마음에 안 들었던 기억이 난다. 저자의 설명을 보고 정말 조금만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우리가 뫼르소에게 배울 수 있는 교훈은 의미가 없는 세계에서조차 좋은 것들을 많이 찾을 수 있다는 점이다. 세계가 궁극적으로 무의미함에도 우리는 삶을 살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만들어주는 것들을 찾을 수 있다. 예컨대 “하늘을 가로지르며 날아다니는 새들이나 뭉게뭉게 뭉쳐 다니는 구름들”을 보는 능력이라든가 순전히 살아 있다는 경험이 있다.」 _p414


‘레프 톨스토이’는 일찍 부모님을 여읜 일 외에 82세까지 삶이 매우 순조롭고 성공적이었으나 늘 ‘자신이 충분히 괜찮지 않다’는 느낌에 시달렸다고 한다. 청년 시절부터 삶의 목적을 찾고자 했던 그는 결국은 죽음이 삶의 종착지라는 것에 깊이 고민했고 40세에 심각한 우울증을 겪기도 했다. 그는 죽음이 겉으로 보이는 것과 달리 사실 모든 것의 끝이 아니라는 점을 깨닫는다. ‘만약 죽음에 대한 지식이 이승에 존재한다고 한다면 그것은 틀림없이 특이한 종류의 지식일 것이다’라고 말하며 이런 특이한 지식을 ‘믿음’이라 불렀다. 노년이 톨스토이는 의미있는 삶, 살만한 가치가 있는 삶에 이르는 열쇠로 제시한 ‘보편적 사랑’, ‘공감이자 연민이자 용서’가 지금 우리 시대에 특히 필요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