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우리도 코스모스의 일부이다. 이것은 결코 시적 수사가 아니다. 인간과 우주는 가장 근본적인 의미에서 연결돼 있다. 인류는 코스모스에서 태어났으며 인류의 장차 운명도 코스모스와 깊게 관련돼 있다. 인류 진화의 역사에 있었던 대사건들뿐 아니라 아주 사소하고 하찮은 일들까지도 따지고 보면 하나같이 우리를 둘러싼 우주의 기원에 그 뿌리가 닿아 있다. 독자들은 이 책에서 우주적 관점에서 본 인간의 본질과 만나게 될 것이다.

앎은 한정되어 있지만 무지에는 끝이 없다. 지성에 관한 한 우리는 설명이 불가능한, 끝없는 무지의 바다 한가운데 떠 있는 작은 섬에 불과하다. 세대가 바뀔 때마다 그 섬을 조금씩이라도 넓혀 나가는 것이 인간의 의무이다. - 토머스 헉슬리, 1887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은 내 일과 상관없다‘고 생각하는 리더가 있다면 테슬라의 CEO 일론 머스크의 이야기를 계기로 그런 단정을 재고하기 바란다. 긍정적인 의미의 몽상가라고 말할 수 있는 그는 사업의 아이디어뿐만 아니라 실천 방법을 찾기 위해 보다 전문적인 과학서를 읽는다. 머스크가 스페이스X(머스크가 창업한 민간 우주 탐사 기업)라는 사업을 구상하던 때만 해도 그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에만 능했지, 로켓 과학에 대해서는 무지한 경영자였다.
그는 영국의 과학자 제임스 고든James E. Gordon이 쓴 <구조: 물건이 떨어지지 않는 이유>라는 책을 통해 구조 설계의 기초를 습득했고 로켓 발사의 원리를 익히기 위해 화학자 존 클라크John D.
Clark가 쓴 <점화>까지 섭렵했다. 놀라운 점은 이들 책에서 도움을 얻어 스페이스X의 CEO로 활동하는 동시에 최고 설계 책임자로도 역량을 발휘했다는 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이 존재하는 유일한 정당성은, 삶의 알려지지 않은 측면을 발견하는 데 있다."
- 밀란 쿤데라, <소설의 기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구에게나 일상에서 자기도 모르게 주워 쌓아올린 쓰레기 더미가 있다. 어떤 계기가 있어 밖에서 그것을 바라볼 수 있게 될 때까지는 사실 그 존재를 알아채기도 힘들다. 그것은 그것대로 좋다. 그러나 가끔은 늘 달라붙어 있던 그 더미에서 한번 떨어져보자. 시간을 내서 좋은 게스트하우스와 좋은 사람을 찾아보자. 여행이 끝날 무렵 당신은 자신을 조금 더 좋아할 수 있을 것이고, 또 다른 여행을, 어쩌면 또 다른 삶을 꿈꿀 수도 있을 것이다. 조금 돌아갈지는 모르지만 그리 대단한 것을 잃는 것도 아니다. 어쩌면 삶이 준비한 선물을 조금 일찍 풀어보게 될지도 모르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는 혼자 있는 시간을 ‘자신의 주인이 되는 과정‘이라고 말한다.

인생의 파도를 만드는 사람은 나 자신이다. 보통의 사람은 남이 만든 파도에 몸을 싣지만, 특별한 사람은 내가 만든 파도에 다른 많은 사람들을 태운다.

내가 그 한 사람에게 빠지는 시간은 순간이었지만
그 감정이 그 사람에게 슬로모션의 속도로 옮겨가 전해지던 10분 동안의 기류라거나.

내가 당신이 보고 싶어 떠올린 지
정확히 10분뒤에 도착하는당신의 짧은 문자 메시지. 그것은 ‘빛의 속도‘를 닮은 너무나도 인간적인, 감정의 타이밍.

10분 동안 잡고 있었던 당신의 손은 또 어땠던가.
‘10분만 손잡고 있을게‘ 하고 허락받고 잡았던 그 유효함을 빌려와
그 10분 동안 모든 것이 익을 대로 익다가
후드득 모든 것이 지고 말았던 짧은 사랑의 유통기한이라거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