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인을 속이는 백인은, 그 백인이 누구이건 아무리 돈이 많은 사람이건 아무리 명문 출신이건 쓰레기 같은 인간이야…… 이 세상에 흑인의 무지를 이용하는 저급한 백인보다 볼썽사나운 건 없다. 절대로 그런 바보 같은 짓을 해서는 안 돼. 그 모든 것이 쌓이면 언제가 그 대가를 톡톡히 치르게 될 테니까. 그런 일이 너희들 세대에 일어나지 않으면 좋으련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터넷과 웹이라는 것이 언뜻 생각하기에는 기술적인 분야 같지만, 실제로는 현대철학과 사회과학 및 정치와 법제도, 그리고 글로벌 역학관계에 이르는 무수한 요소들이 결합되어 탄생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른이 아이를 설득할 때 어떠해야 하는지를 보여준다. 책임감 있는 어른의 태도.


「사람들이 그 사람을 변호해선 안 된다고 하는데 왜 하시는 거예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 가장 중요한 이유는, 내가 그 일을 하지 않는다면 읍내에서 고개를 들고 다닐 수 없고, 이 군을 대표해서 주 의회에 나갈 수 없고, 너랑 네 오빠에게 어떤 일을 하지 말라고 다시는 말할 수조차 없기 때문이야.」

「아빠가 그 사람을 변호하시지 않으면, 오빠랑 저랑 이제 더 아빠 말씀을 안 들어도 괜찮다는 거예요?」

「그런 셈이지.」

「어째서요?」

「내가 너희들에게 내 말을 들으라고 두 번 다시 말할 수 없기 때문이야. 스카웃, 단순히 변호사라는 직업의 성격으로 보면 모든 변호사는 말이다, 적어도 적어도 평생에 한 번은 자신에게 큰 영향을 끼치는 사건을 맡기 마련이란다. 내겐 지금 이 사건이 바로 그래. 이 문제에 관해 어쩌면 학교에서 기분 나쁜 말을 듣게 될지도 몰라. 하지만 나를 위해 한 가지만 약속해 주렴. 고개를 높이 들고 주먹을 내려놓는 거다. 누가 뭐래도 화내지 않도록 해라. 어디 한번 머리로써 싸우도록 해봐……. 배우기 쉽지는 않겠지만 그건 좋은 일이란다.」

「아빠, 우리가 이길까요?」

「아니.」

「그렇다면 왜-」

「수백 년 동안 졌다고 해서 시작하기도 전에 이기려는 노력도 하지 말아야 할 까닭은 없으니까.」

「음, 모든 사람들은 자기가 옳고 아빠가 틀렸다고 생각하는 것 같아서요…….」
「그들에겐 분명히 그렇게 생각할 권리가 있고, 따라서 그들의 의견을 충분히 존중해 줘야 해.」아빠가 말씀하셨습니다.「하지만 난 다른 사람들과 같이 살아가기 전에 나 자신과 같이 살아야만 해. 다수결에 따르지않는 것이 한 가지 있다면 그건 바로 한 인간의 양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루터
브라이언 아자렐로, 리 베르메호 지음, 임태현 옮김 / 시공사(만화)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DC 코믹스의 간판 스타 아자렐로와 베르메호 콤비의 작품. 두 작가가 만든 <조커>에 이어 이 책에서도 히어로가 아닌 빌런의 관점에서 이야기가 진행된다.

명석한 두뇌와 재력, 모든 것을 다 갖추고서도 하필 슈퍼맨과 같은 도시에 산다는 이유로 시기와 증오로 불타는 한 사람, 슈퍼맨의 영원한 숙적. 렉스 루터. 그가 콤플렉스를 극복하는 방법은 슈퍼맨을 인간으로 대하지 않는 것이다. 루터는 슈퍼맨을 신적인 힘을 가진 존재로 인정하지만 현실에 있는 존재를 신화화하는 건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가 언젠가 인류의 위협이 될 것이라고 여긴다(배트맨도 인간으로서 루터와 같은 생각을 공유하기에 둘은 일시적으로 연합한다.).

이 작품에서도 루터는 슈퍼맨의 거울상이 되어 그를 바라본다. 슈퍼맨이 선천적인 재능을 가지고 태어난 천재라면 루터는 부단히 그를 능가하고자 하는 노력형 천재. 세상 사람들이 간과하고 있는 슈퍼맨의 맹점을 드러내려 애쓴다. 그리고 구사하는 방법은 비열하긴 하나 끝내 인간이 승리할 것이라는 희망과 믿음을 놓지 않는다.

느와르를 연상케 하는 중후한 그림과 대사들이 정말 멋진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슈퍼맨 : 레드 선 시공그래픽노블
마크 밀러 외 지음, 최원서 옮김 / 시공사(만화)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만일 슈퍼맨을 태운 우주선이 12시간 차이로 미국이 아닌 러시아 땅에 떨어졌다면?‘

<슈퍼맨: 레드 선>은 이런 도발적이고 흥미로운 발상에서 출발했다. 가장 미국적인 영웅이 사회주의를 수호하는 노동자 계급의 동지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가슴엔 S 대신 낫과 망치 문양을 새기고 코스튬 컬러 역시 성조기를 연상시키는 빨강, 파랑 대신 빨강과 검정으로 대체되었다.

때는 미국과 소련, 그리고 나토(NATO)와 바르샤바 조약 기구가 나란히 살얼음판을 걸으며 대립하던 냉전 시대. 슈퍼맨은 신적인 힘을 가진 초인으로서 조국을 세계 최강대국의 위치에 올려놓는다. 그는 정치와 거리를 두려 하지만 스탈린 사후 결국 소련의 지도자가 되어 장기집권을 한다. 모든 것이 슈퍼맨의 철저한 통제 아래 완벽하게 굴러가는 세계. 한편 미국의 대통령 렉스 루터는 슈퍼맨과 소련의 독주를 막을 엄청난 계획을 세우는데...

개인의 자유가 존중되지만 불완전한 사회가 있고, 철인에 의해 통제되는 완벽한 사회가 있다면 어느 쪽이 나을까? 완전무결하고 강력한 힘을 가진 자가 존재한다면, 그가 전권을 쥐었을 때 독재자가 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있는가? 국가 지도자를 슈퍼맨이란 캐릭터에 빗대 교묘하게 비튼 우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