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자기 앞의 생 (특별판)
에밀 아자르 지음, 용경식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에밀 아자르의 <자기 앞의 생>을 읽었다. 여러 날을 두고 아주 조금씩 조금씩 음미하며 읽었다. 사실 예전에 언젠가 로맹 가리의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를 읽은 적이 있다.(에밀 아자르는 로맹 가리의 필명이라는 걸 이번에야 알았지만서도....) 그때도 어디선가 로맹 가리의 명성을 바람결에 흘려들었던 참이어서 제목도 멋진 그 책을 선뜻 사들었었다. 그러나 떨리는 마음(과연 어떤 내용일까. 내가 이 소설의 감수성에 공명할 수 있을까....)으로 책장을 넘기면 넘길수록 뭔가 몽환적이고 느리고 막막한 분위기가 나를 답답하게 만들었었다.

역시 프랑스 영화만큼이나 프랑스 소설은 어려워.... 이것이 내 결론이었고, 그 뒤로 '로맹 가리'도 그의 소설도 내 마음속에서는 저 멀리 밀려나버렸다. 그리고나서 몇 년이 지난 걸까....(그때가 대학생 때였으니까 상당한 시간이 흘렀다.) 선배 언니가 이 책을 추천했다. 에밀 아자르의 <자기 앞의 생> 정말 슬프고 좋은 소설이라고 했다. 에밀 아자르가 로맹 가리이며, 그는 자기 입에 권총을 대고 쏘아서 자살을 했다는 부연 설명과 함께....

그러자 내 머릿속에서 툭!하고 옛날의 책 한 권이 되돌아왔다. 로맹 가리,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 그 책에 공감하는 것에 실패했던 기억... 그리도 이제, 같은 작가가 다른 이름으로 세상에 발표했던 책,<자기 앞에 생>이 내 앞에 놓여 있고, 그 책은 은근하면서도 뿌리칠 수 없는 강함으로 나를 잡아 끌었다. 순백의 하얀 표지에, 거친 붓터치로 툭툭 흘려쓴 제목 도대체 자기 앞에 어떤 생이 놓여 있단 말일까....

한 장 한 장 읽어나가면서 모모의 이야기에 나는 빨려들었다. 엄마는 창녀였고, 아빠는 누군인지 알 수 없는, 유태인 로자 아줌마와 프랑스에서 살고 있는 열 살(나중에 모모의 나이에 얽힌 비밀!이 밝혀지지만, 아직은 열 살이라고 해두자)짜리 아랍인 소년, 모모..... 그 녀석의 말 하나 하나에선 슬픈 냄새가 났다. 녀석의 장광설이 웃기고 재미있을 때조차도 그 속에서 눈물 냄새가 났다.

왠지 모르겠지만 녀석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한번에 다 읽어버리고 싶지가 않았다. 아까워서, 정말 너무 아쉽고 아까워서 아주 조금씩 조금씩 여러 날에 걸쳐 나는 모모를 만났다. 그리고 어젯밤에, 마지막으로 남겨 놓은 모모의 이야기를 마저 다 읽었다. 모모가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는지를 간략하게나마 요약한다는 건, 그 자체가 내게는 불가능한 일이다.

모모는 말한다. '사람은 사랑할 사람 없이는 살 수 없다'고..... '사랑해야 한다' 모모의 마지막 말이다. 녀석이 내 마음을 울리고 있다. 앞으로도 꽤 오랫동안 모모가 내 안에서 말을 걸 것 같은 기분이다. 널 만나게 돼서 정말 좋아, 모모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뒤늦게 레옹을 봤다.

그것도 텔레비전에서....

예전에도 중간부터, 혹은 끝부분만....

이렇게 띄엄띄엄 봤었긴 했는데,

거의 초반부터 조용하게 몰입해서 보긴 이번이 처음이었다.

아주 잘 만든 영화군,

이 생각이 영화 보는 내내 들었다.

예전에 볼 때와는 다르게,

관계맺는 데 있어 수줍고 어색해하는 순진한 레옹의 성격이 유난히 귀엽게 다가왔고,

마틸다의 도발적인 대사와 눈빛이 유난히 매력적으로 가슴에 꽂혔다.

그리고,

그들의 사랑, 그들의 마음이 오가는 것이

유난히 섹시하고 슬프게 다가왔다.

카메라 앵글도 그렇고, 샷 하나하나도 그렇고,

섬세하게 인물의 심리를 나타내고 있는 점도 마음에 든다.

말이 안 되더라도,

해피엔딩이었으면 좋겠다.

레옹이 죽지 않고,

열두 살 마틸다도 한 살 한 살 나이를 먹으면서

그들의 사랑은 어떻게 변화해갈지,

나는 그런 것들이 더 궁금하다.

아,

왜 이럴까.

요즘엔 내가 보고 듣고 느낀 걸

글로 옮기는 게 정말 힘들다.

왜 좋았는지, 어떤 부분이 좋았는지 그 감성을 잡아낼 힘이 없다.

그저,

좋았다,로 단순무식하게 표현해버린다.

그런 글을 보면 분명 내가 느낀 마음이지만 내가 읽어도 건조하다.

글은 정직하다는 걸 나는 알고 있다.

내 가슴과 내 삶이 버석버석 모래가 일 정도로 건조하듯

그렇게 내 글도, 내 어휘도, 내 표현도 건조하고

말할 수 없이 틀에 갇혀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서현 2011-01-21 08: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몇일사는지그게궁금했는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