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앞의 생 (특별판)
에밀 아자르 지음, 용경식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에밀 아자르의 <자기 앞의 생>을 읽었다. 여러 날을 두고 아주 조금씩 조금씩 음미하며 읽었다. 사실 예전에 언젠가 로맹 가리의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를 읽은 적이 있다.(에밀 아자르는 로맹 가리의 필명이라는 걸 이번에야 알았지만서도....) 그때도 어디선가 로맹 가리의 명성을 바람결에 흘려들었던 참이어서 제목도 멋진 그 책을 선뜻 사들었었다. 그러나 떨리는 마음(과연 어떤 내용일까. 내가 이 소설의 감수성에 공명할 수 있을까....)으로 책장을 넘기면 넘길수록 뭔가 몽환적이고 느리고 막막한 분위기가 나를 답답하게 만들었었다.

역시 프랑스 영화만큼이나 프랑스 소설은 어려워.... 이것이 내 결론이었고, 그 뒤로 '로맹 가리'도 그의 소설도 내 마음속에서는 저 멀리 밀려나버렸다. 그리고나서 몇 년이 지난 걸까....(그때가 대학생 때였으니까 상당한 시간이 흘렀다.) 선배 언니가 이 책을 추천했다. 에밀 아자르의 <자기 앞의 생> 정말 슬프고 좋은 소설이라고 했다. 에밀 아자르가 로맹 가리이며, 그는 자기 입에 권총을 대고 쏘아서 자살을 했다는 부연 설명과 함께....

그러자 내 머릿속에서 툭!하고 옛날의 책 한 권이 되돌아왔다. 로맹 가리,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 그 책에 공감하는 것에 실패했던 기억... 그리도 이제, 같은 작가가 다른 이름으로 세상에 발표했던 책,<자기 앞에 생>이 내 앞에 놓여 있고, 그 책은 은근하면서도 뿌리칠 수 없는 강함으로 나를 잡아 끌었다. 순백의 하얀 표지에, 거친 붓터치로 툭툭 흘려쓴 제목 도대체 자기 앞에 어떤 생이 놓여 있단 말일까....

한 장 한 장 읽어나가면서 모모의 이야기에 나는 빨려들었다. 엄마는 창녀였고, 아빠는 누군인지 알 수 없는, 유태인 로자 아줌마와 프랑스에서 살고 있는 열 살(나중에 모모의 나이에 얽힌 비밀!이 밝혀지지만, 아직은 열 살이라고 해두자)짜리 아랍인 소년, 모모..... 그 녀석의 말 하나 하나에선 슬픈 냄새가 났다. 녀석의 장광설이 웃기고 재미있을 때조차도 그 속에서 눈물 냄새가 났다.

왠지 모르겠지만 녀석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한번에 다 읽어버리고 싶지가 않았다. 아까워서, 정말 너무 아쉽고 아까워서 아주 조금씩 조금씩 여러 날에 걸쳐 나는 모모를 만났다. 그리고 어젯밤에, 마지막으로 남겨 놓은 모모의 이야기를 마저 다 읽었다. 모모가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는지를 간략하게나마 요약한다는 건, 그 자체가 내게는 불가능한 일이다.

모모는 말한다. '사람은 사랑할 사람 없이는 살 수 없다'고..... '사랑해야 한다' 모모의 마지막 말이다. 녀석이 내 마음을 울리고 있다. 앞으로도 꽤 오랫동안 모모가 내 안에서 말을 걸 것 같은 기분이다. 널 만나게 돼서 정말 좋아, 모모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