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하게 내려오기 - 인생의 마지막 무대에서
샤론 다디스.신디 로저스 지음, 김유태 옮김 / 토기장이(토기장이주니어)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 라는 형식적인 문구가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 보자면 이처럼 진실스럽지 못하고 인간세상을 호도하는 것도 없다. 명목상으로 법의 이름 하에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고 이야기하지만 분명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여기서 굳이 세상 탓만을 하자는 것은 아니다. 단지 어디에서도 완전한 평등을 말하기 힘들 것 같은 세상이지만, 그래도 인간인 이상 가장 원초적인 ‘죽음’ 이라는 두 글자 앞에서는 모두가 평등하다는 것을 말하고 싶었을 뿐이다.

 일찍이 중국 대륙을 최초로 통일한 대제국의 황제 진시황(秦始皇)도 영생(永生)을 얻기 위해 헛되지만 온갖 노력을 다했다. 그러나 그도 인간인 이상 결국 한 여름 생선이 썩어 가듯이 죽음을 맞이했다. 태산이 무너진다고 탄식하던 성인 공자(孔子)도 죽음 앞에서 초연한 장자(莊子)도 예외가 없었다.

 이 책(행복하게 내려오기)은 전문적인 호스피스 간호사로 활동해 온 샤론 다디스(Sharon Dardis)와 교사이자 작가인 신디 로저스(Cindy Rogers)가 쓴 <As I Journey On>을 번역한 것이다. 원제목의 부제(Meditations for Those facing Death)에서 알 수 있듯이 책의 중심 주제는 역시 ‘죽음’ 이다.

 내용적으로 이 책은 총 6막(33가지 이야기)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하나하나가 우리에게 감동과 삶을 새롭게 돌아볼 수 있는 성찰의 기회를 부여해 준다. 그리고 책을 읽으면서 책 속에서 죽어간(?) 사람들은 ‘나와 다른 일부의 특별한 사람들일 뿐이다’ 라고 치부하기에는 점점 나에게도 그 시간이 길든 짧든 죽음의 그림자는 다가오고 있다. 아니! 우리는 죽어가고 있다.

 죽음이라는 것은 사실 말하면서도 왠지 꺼려지는 주제이기 때문에 관점을 바꾸어 생각해 보고자 한다. 즉 삶(生)을 이야기해 보자. 현재를 살아가는 생명체로서 ‘우리는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할까?’ 라는 주제와 그 하위 영역에 있는 것들에 관해서는 많이 생각한다. 그러나 인간의 맹점(盲點) 아니 개인적인 맹점인지 몰라도, 삶의 가치를 제대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삶의 가치란 무엇일까? 어려운 이야기이다. 어디에 초점을 맞추느냐에 따라 장님이 코끼리를 만지고 묘사하는 것처럼 다양한 해답이 존재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다면 삶의 가치란 역설적이게도 죽음을 통해서만 그 가치가 온전하게 드러난다. 내가 공기의 가치를 알고자 한다면 반대로 공기가 없는 곳에 있다가 오면 그 가치를 진정으로 느낄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말은 이렇게 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한 번 죽어볼 수도 없는 일(?)이다. 다소 방편적(方便的)이기는 하지만 이럴 때 필요한 것이 주위에 죽음을 맞이하고 있는 사람들과 관계를 가지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계속 혼자 딴지를 걸고 대답하는 것 같지만 이것도 쉬운 것이 아니다. 즉 가장 현실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이 죽음과 관련된 이런 도서를 접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그렇다고 책의 내용을 그대로 받아들이라는 이야기는 아니다. 솔직히 개인적으로 책을 읽고 나서 책의 제목(행복하게 내려오기)에 대해 다시 생각해 봤는데 그래도 쉽게 동의하기는 힘든 것 같다. 책에서 소개된 이야기들이 지혜로서 참고는 되지만 아무래도 나와 관련된 모든 것을 행복하게(?) 내려놓는 것은 분명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실 이런 생각들이 부질없는 고집이라는 것을 부인하지는 않는다.

 죽음과 관련된 것에 관심이 있는 독자 또는 마지막 여행(?)을 준비하는 사람에게만 어울리는 책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다. 솔직히 말한다면 이런 책들은 죽지 않는 인간(?)에게는 아무런 가치도 없겠지만, 인간세상에서 모든 죽어가는 존재에게는 나름 죽음에 대해 이러쿵 저러쿵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책이라고 본다.

 필자는 “이 책이 당신의 여정에서 부딪히는 문제들을 해결해 주는 안내자의 역할”(p.13)을 기대한다고 말한다. 여행을 떠나는 사람에게는 준비가 필요하다. 특히 이처럼 고되고 힘든 여행(?)을 앞두고 그 준비로써 꼭 필요한 여행서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티브 워즈니악 - 최초로 PC를 발명하고 애플을 설립한 괴짜 천재의 기발하고도 상상력 넘치는 인생 이야기
스티브 워즈니악.지나 스미스 지음, 장석훈 옮김 / 청림출판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최초로 PC를 발명한 괴짜 천재 스티비 워즈니악(Steve Wozniak, 이하 워즈니악)의 자서전적 성격의 책이다. 사실 마이크로 소프트사(MS)의 회장 빌게이츠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최초로 PC를 발명하고 애플(apple)이라는 회사를 설립한 그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모르는 경우가 많다. 아니! 사실 이 책을 접하기 전까지 나도 그의 이름조차도 전혀 모르고 있었으니 말이다.

 책의 구성을 보면 1~4장까지 단순하게 되어있다. 특별한 주제에 따라서 구분되었다고 하기 보다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나누어져 있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그리고 내용적으로 그의 인생사를 모험한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새로운 세상을 알아 가는 기분이다.

 다른 자기계발서, 교양인문서나 소설류의 책들과 달리 이 책을 읽으면서 느끼는 거지만,  ‘지식 여행’ 을 하는 기분이다. 물론 지식의 단순한 양을 보면 교양서들보다 많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틀에 박힌(?) 지식과는 다른 색다른 지식이라는 느낌을 받는다.

 솔직히 컴퓨터에 대해서는 아직도 모르는 것이 많다. 게다가 윈도우즈가 보편화되기 이전의 부분은 거의 무지에 가깝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워즈니악은 컴퓨터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많은 부분에 관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다. 기본적인 컴퓨터 지식이 부족한 입장에서 다소 어려운 부분도 있었지만,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을 통해 많이 배울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특정 분야의 전문가라고 할 수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는다는 것은 지금까지 가 보지 못한 곳을 소개 받은 것처럼, 새롭고 즐거운 모험이다.

 앞서도 잠시 언급했듯이 그는 최초로 PC를 발명한 인물이다. 마음만 먹는다면 지금쯤 천문학적인 부자가 될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다소 의아하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그는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의 부자는 아니다. 책의 소개 문구를 보면 그를 ‘선한 부자’ 라고 말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그렇지만 돈 많은 사람치고 제대로 된 부자를 보기 힘든 현실에서 ‘주당 5달러에 애플 주식 2000주를 살 수 있도록 한 워즈플랜’(p.269)은 그를 왜 선한 부자라고 하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었다.

 편법으로 주식을 자식에게 양도해 어마어마한 시세 차익을 남겨주는 국내의 모 기업 부자와 극명하게 대비되는 것 같아 씁쓸하면서도, 한편으로 워즈니악의 인간적인 매력을 느낄 수 있었다.

 지금은 컴퓨터가 생활의 필수품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사실 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상황은 그렇지가 않았다. 최초의 PC가 등장했을 무렵 컴퓨터는 소수의 얼리어답터들의 전유물이었다. PC가 보편화된 지금 그의 옛날 이야기(?)들은 다소 엔틱하면서도 신선하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괴짜 천재 아니 선한 부자의 독특한 이야기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일독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를 바꾸는 1%의 비밀 - 성공과 행복을 위한 54가지 기술
비믈라 파틸 지음, 손민규 옮김 / 메가트렌드(문이당)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표지에 나오는 제목을 보면 다소 당황스러움을 느끼게 된다. 왜냐하면 책의 원제목(영문 제목)인 ‘How to be successful & happy!’ 와 번역된 제목인 ‘나를 바꾸는 1%의 비밀’ 이 너무 다르기 때문이다. 물론 국내 출판 현실(?)에 맞게 바꾸었다고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저자(비믈라 파틸)가 ‘작가의 말’ 마지막에서 “성공은 행복의 날개를 펴고 날아오를 때 멀리, 그리고 높이 날 수 있는 법이다!”(p.15)라고 말하는데 원제목을 통해 보면 저자의 발언 의도를 충분히 알 수 있지만 번역제목과는 전혀 맞지 않기 때문이다. 즉 책의 제목 선택에서 일정부분 더욱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고 본다.

자기개발서나 생활지혜서는 개인적으로 한두 번 접해 보는 것이 아니라 가끔은 식상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이 책도 그런 맥락 속에서 보면 다른 자기개발서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과는 별도로 철학 전공자로서 특히 관심이 가는 부분이 있었다. 그것은 <바가바드기타>라는 인도의 고전에 대한 것이었다. 대학시절 ‘불교철학’ 이라는 전공과목에서 인도철학사를 요약해 배울 때 스쳐지나가듯 들은 적이 있었다. 물론 자세한 내용은 사실 아는 것이 하나도 없고 단지 그 이름만 기억나는 정도였다.  

즉 다소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이 책을 통해 ‘성공과 행복으로의 기술’ 을 아니 지혜를 배운다기 보다는 ‘바가바드기타’ 의 어떤 구절들이 있을까? 하는 부분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내용적으로 볼 때 책은 파트1에서 4까지(열정, 편견, 관계, 감사)의 54가지 기술(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중에 대부분은 비교적 소홀히 하기 쉬운 우리 주위의 소소하고 짧은 이야기들이다. 읽고 나면 별 것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 ‘콜럼버스의 달걀’ 처럼 곱씹을수록 그 의미를 느낄 수 있다.

실제로 책 속에 가장 감명 깊게 보았던 내용을 보면(39번 째 이야기), 저자는 ‘나를 위한 1퍼센트의 사람들’(pp.162~164) 에게 감사할 줄 아는 사람이 되라고 말한다. 사실 누구나 알고 있는 어찌 보면 매우 평범한 구호(?)로 들릴 수 있다. 물론 단순히 구호로서만 주장한다면 크게 설득력이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저자는 말한다. “세상 사람들의 98퍼센트는 나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함으로 인해 내가 죽었는지 살았는지조차 신경 쓰지 않는다. 고작 1퍼센트의 사람들이 나의 상처와 실의를 함께 고민하고, 나머지 1퍼센트의 사람들의 사람들이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 쓰러진 나를 일으켜 세워 상처를 어루만진다.”(p.164) 나와 관계된 주위의 분들에게 감사하고 사랑하라는 비교적 상투적인 주장을 진솔하고 설득력 있게 말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잠시 언급했듯이 이 책은 인도의 사회운동가이자 저술가인 저자가 쓴 것이라 비교적 생소한 ‘바가바드기타’ 의 구절들이 간간히 등장한다. 물론 제대로 배우기에는 너무나도 부족한 분량이지만 개인적으로 조금이라도 접할 수 있었던 것은 망외의 개인적인 성과였다고 생각한다.

전체적으로 자기개발서(또는 생활지혜서)로서 튀지 않는 무난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번역 제목보다 원제목과 더욱 내용이 어울리는 책으로 성공과 행복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일독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만의 길을 가라 - 인생의 숲에서 길을 잃은 당신을 위한 안내서
프랜시스 타폰 지음, 홍은택 옮김 / 시공사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개인적으로 삶을 살면서 느끼는 거지만 가끔은 계속 반복되는 이런 일상에서 벗어나고 싶은 유혹을 느끼곤 한다. 그러나 다시 지금 내가 서 있는 현실을 냉정하게 살펴보면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책은 저자(프랜시스 타폰)가 애팔래치아를 하이킹으로 종단하면서(이하 AT라 함) 느꼈던 것을 우리네 인생과 결부시켜 설명하고 있다. 저자가 직접 말하고 있듯이 비록 ‘굉장한 삶’은 아니더라도 아쉽지 않은 회사에서 그래도 ‘그러저럭 괜찮은 삶’에서 안주하고 있었던(p.11) 사람이었다. 그러나 그가 여행이라는 것을 접하기 시작하면서 결국 AT에 까지 도전하게 된 것이다.

 전체적으로 책은 7개의 장과 에필로그로 구성되어 있다. 북부의 출발 지점인 캐커딘 산(katahdin)에서 도착 지점인 스피링어 산(springer)까지 여행의 순서(시간의 순서)에 따라 이야기는 진행된다.

 책에서 하이킹에 관한 적지 않은 지식들이 등장하지만 사실 책의 소개 글(책의 뒷장=리즈 베르예론 PCT 공동연합 이사)처럼 우리는 여기서 자잘한 등반기술을 배우려고 하는 것도 아니고 배우지도 않는다. 사실 저자에게 여행이란 도전 과정은 인생의 축소판이다. 틀에 박힌 일상이 아니라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에서 우리는 값진 지혜들을 배울 수 있다. 솔직히 그 지혜들을 딱히 한 마디로 말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겠지만 그런 것들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저자가 정말로 우리에게 전해주고 싶은 말은 무엇일까?

 <너만의 길을 가라>는 책의 제목이 상징하는 것처럼 뭔가 자신의 인생에서 노예와 같은 삶이 아니라 주체적이고 도전적인 정신을 말한다고 생각한다. 귀에 못이 박힐 정도로 많이 듣는 이야기이지만 인생은 나를 제외한 누군가가 대신 살아줄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부모, 가족, 친구들이 좋은 동반자일 수는 있지만 결국 그들도 분명 타인의 인생을 살아 줄 수는 없는 것이다. 인생이란 ‘코뿔소의 뿔처럼’ 당당히 혼자가야 하는 길인 것이다.

 그 밖에 내용 외적으로 책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각 장의 끝에 Your best Life, Now라는 요약 장을 통해서 앞에서 나왔던 내용의 핵심만을 알기 쉽게 정리해주고 있는데 작지만 독자를 위한 큰 배려라고 생각한다.

 “판에 박은 듯 반복되는 생활과 무덤의 유일한 차이는 깊이 밖에 없다.”(p.5, 엘런 글래스고)라는 섬뜩한 문구처럼 쳇바퀴 돌아가는 일상에서 삶의 의미와 행복을 찾지 못하거나 잃잃어 버린 독자에게 이 책이 어울리는 책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인생은 도전의 연속이다. 자신은 패기와 용기가 부족하고 소심하다고 느끼는 독자에게 일독을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기긍정파워 - 행복과 성공을 부르는 긍정의 심리학
미아 퇴르블롬 지음, 윤영삼 옮김 / 북섬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개인적으로 이런 류의 자기 개발 서적을 좋아하지는 않는다. 전공이 인문학 쪽이라 관심이 덜 한 것일 수도 있겠다. 그러나 사실 다소 미안한 얘기지만 이런 책들이 단순히 지당한 말씀(?)의 소개로만 끝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고정관념이 있었다. 
 

 우선 책의 겉표지의 “마음 하나만 바꾸면 인생이 달라진다.” 라는 소개문구가 눈에 띈다.  맞다. 인간이 단순히 육체를 가진 고깃덩어리가 아닌 이유를 찾아보면 근본적으로 ‘마음’ 의 문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본다. 외재 사물(객체)이 어떻든가 여부를 떠나 더욱 중요한 것은 객체를 바라보는 주체(개인의 마음) 관점이 아닐까? 개인적으로는 인간이 인간으로서 인생을 살아가는데 물질적인 것도 물론 무시할 수는 없겠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마음에 달려있다고 본다.

 책에서 저자(미아 퇴르블롬)는 일관되게 ‘개체의 긍정’ 을 말한다. 단어가 약간 생소해서 그렇지 개체의 긍정이란 책 속의 표현대로 하면 ‘자존감(self-esteem)’ 이라고 말할 수 있다. 자존감? 뭔가 부자연스런 번역이라는 느낌이 강하게 온다. 자존감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자신감(self-confidence)’ 과는 다른 개념이다. 사실 약간 심하게 말하면 이 책은 ‘자존감’ 이라는 한 단어를 위한 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책에 소개된 많은 내용들 중에 굳이 딱 하나만 얻어간다면 그것은 자존감이 될 것이다. 자존감이란 말은 “자신의 가치를 직접 깨닫고, 실제로 자신을 자신답게 느끼는 것”(p.23)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자신의 가치’ 라는 부분이다. 즉 어떠한 능력이나 믿음에 나오는 ‘자신감’ 과는 구별되고 자존감이 큰 의미를 지니는 것도 여기서 말한 절대적인 개체의 긍정에 있다. 사실 철학도로서 이 책을 접하고 나서 느낀 점은 책의 내용이 현대 실존철학자들의 어려운 철학적인 내용을 알기 쉽게 예를 들고 설명, 실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왜 그럴까? 약간은 딱딱하지만 철학적으로 살펴보면 플라톤 이후 근대의 헤겔까지 철학의 주류는 현존하는 개체의 부정에 있었다. 물론 그 대상이 이데아에서 신 그리고 이성으로 변해왔을 뿐이다. 이런 발언이 한편으로 무리스럽고 다소 파격적이기는 해도 그 후 실존주의와 비교하면 분명한 차이를 느낄 수 있다. 그리고 그런 실존주의 내용의 핵심은 책에서 말한 ‘자기 긍정’(자존감)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구체적으로 책은 18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용은 개체의 절대적인 긍정(=실존적 성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자존감의 정의’(1장)부터 ‘자존감이 미치는 영향’(8장)과 자존감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법으로 ‘동기부여’(11장), ‘분노와 두려움’(12~13장), ‘영성’(14장), ‘목표’(15장), ‘효율성’(17장)까지 아주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독자들에게는 앞에 소개한 것들 중에 ‘영성’(믿음을 갖는다) 이라는 부분은 다소 독특, 의아하게 느껴질 수 있다고 본다. 실존주의에도 유신론과 무신론적인 실존주의처럼 두 가지 부류가 있듯이 종교에 관한 이야기일까? 그렇지 않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믿는다는 것’ 이지 대상의 문제가 아니다. 즉 부처, 알라, 하나님과 같은 특정 대상은 중요하지 않다. 저자가 “나는 나 자신을 믿는다. 내 안의 영적인 힘이 나를 도와준다. 그 힘이 기도할 때마다 도와줄 것이다.”(p.236) 라고 말하듯이 믿음의 대상은 오히려 ‘자기 자신’ 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저자는 말한다. “The most important person in your life is YOU.”(당신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은 바로 당신입니다. -p.279-) 아직 ‘자기 자신의 진정한 가치를 인식’(자존감 -p.273-)하지 못하고 고민하는 독자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