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와 딸의 조금은 특별한 여행
최승은.김보희 지음 / 예담 / 2005년 7월
절판


엄마는 엄마 방식대로, 나는 내 방식대로 동 메본을 구경하고 계단을 내려온다. 라테라이트 계단을 내려오며 엄마 손을 잡는다. 기분이 이상하다. 지난 학기 동안 어긋나기만 했는데 여행을 시작한 지 사흘이 지나니 어릴 때처럼 정다워진 거다. '이거, 이상한걸? 집을 떠나서 그런가?' 내 손을 꼭 잡고 내려오는 엄마를 흘긋 바라보니 눈가의 잔주름이 선명하게 보인다. 문득 엄마에게 닫혔던 마음이 스르르 열리는 걸 느낀다. -127쪽

때로는 화내고 꾸짖지만 항상 따뜻하게 안아주는 엄마. 내 예민한 마음에 상처를 내기도 하지만 그래도 엄마가 항상 내 편이라는 것을 의심해 본 적이 없다. '엄마, 요즘 많이 속상하셨죠? 엄마에게 맨날 퉁명스럽게 굴잖아요. 맘은 그게 아닌데 이상하게 그렇게 행동하게 되더라구요. 엄마라면 뭐든지 받아줄 거라는 생각에 더 그러는 거예요. 실은 나, 다 큰 척하지만 여전히 어린 거 같아요. 응석도 부리고 떼도 쓰고 싶은데 벌써 고등학생이 되어버렸어요. 짜증나고 기분이 좋지 않을 때는 사실 엄마가 내 맘을 좀 알아주셨으면 해요. 엄마 말고 내가 누구한테 신경질 내겠어요? 엄마, 미안해요. 그리고 사랑해요.'-147쪽

여행은 누구에게나 축복이다. 잠시 가던 길을 멈추고 지나가는 사람들과 풍경을 구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삶이 나아지거나 희망이 생기는 건 아니다. 가던 길을 계속 가라고, 가기 싫으면 쉬었다 가라고 그런 목소리 하나를 키우는 것뿐이다. 내일이면 여행을 마치고 집으로 향할 참이다. 배낭을 내리고 다시 부엌으로! 그래도 얼마나 뿌듯한지 모른다. 엄마와 딸의 여행, 그 내밀한 이야기가 평생 힘이 될 것이다. 안녕, 짧지만 뜻깊은 모녀의 여행이여, 안녕. -24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슬픈 바그다드 - 7000년 수난과 저항의 역사
권삼윤 지음 / 꿈엔들(꿈&들) / 2003년 4월
장바구니담기


후세인으로서는 걸프전과 이후 계속되는 국제사회의 경제제재로 인해 국민들이 느끼는 경제적 박탁감을 위무해야 하고, 동시에 외부로부터 특정 이슬람 종파의 영향력을 수입되는 것도 막아야 하는 이중의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그는 이를 위해 독자적인 이슬람 정책을 선택했다. 모든 학생은 중학교때까지 코란을 완전히 배우도록 했고, 하루 18시간 동안 코란만을 다루는 라디오 방상도 생겼다. 사담국제아슬람대학교가 설립돼. 외국 학생들에게까지 종교교육을 제공했고, 이런 이슬람 신앙 캠페인의 가장 큰 부분은 현재 바그바드 시내에 건설중인, 자신의 이름을딴 중동 최대의 사원인 사담 후세인 모스크이다.
후세인이 진정으로 믿는 종교가 있다면, 이는 아랍역사와 문화의 우수성에 대한 신념이다. 그에게 역사는 힘의 이동이다. 그리고 지금 미국은 비록 패권을 쥐고 있다고는 하나, 이라크나 다른 아랍 국가들의 풍부한 역사적 유산을 갖지 못했으며 따라서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라고 본다.-10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골드차이나 - 살아남은 문명의 유혹
권삼윤 지음 / 북로드 / 2003년 6월
절판


정원은 상상의 세계이고, 조원造園이란 지성과 감성이 모두 동원되는 작업이다. 자연을 아우른다는 생각은 시와 그림의 세계와 그리 다르지 않다. 그 속에 모든 것을 담을 수 없으면 몇 가지 장치를 마련해 표현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은 감상자가 상상력을 발휘하도록 했다. 모호함이야말로 중국 남방문화의 특성이 아니던가. 직설적이지 않고 상징을 동원했으므로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많은 생각이 필요하다. 정원은 한 번 보고 지나가는 그런 대상이 결코 아니다. 두고두고 생각하며 그 뜻을 새겨야 하는 그런 존재이다. 상징물이 많은 우리 창덕궁 부용정 일대 또한 이와 다르지 않다. -140~14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식의 사기꾼 - 뛰어난 상상력과 속임수로 거짓 신화를 창조한 사람들
하인리히 찬클 지음, 김현정 옮김 / 시아출판사 / 2006년 2월
합본절판


그런데 테이프의 내용을 끝까지 듣는 동안 예기치 않게 화자와의 대화 중간에 윌버와 슈라이버의 대화내용이 흘러나왔다. 리버에게 그 내용은 '완전히 충격적'이었다. 그의 진술에 따르면, 그들의 대화내용은 '수수께끼 같은 시빌의 사례가 모두 거짓 묘사임을 드러내는 가장 중요한 정보'였다. 즉 이 두 여성은 대화 도중에 '시빌'의 사례를 심리학계의 센세이션으로 만들기로 의견을 모은 것이었다. 윌버는 그 이후의 진료 과정에서 자신이 거짓 고안한 유넌시절의 기억을 '시빌'에게 '상기'시키는 유도 질문을 점점 많이 하고 있었다. 치료사의 주도적인 입장을 악용하고 최면상태와 약물의 힘을 빌려 '시빌'로 하여금 그녀의 어머니를 증오하게 만들고, 그녀 재부에 다양한 인격을 심어주는 일은 윌버에게 아주 쉬운 일이었다. -..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식의 사기꾼 - 뛰어난 상상력과 속임수로 거짓 신화를 창조한 사람들
하인리히 찬클 지음, 김현정 옮김 / 시아출판사 / 2006년 2월
합본절판


프로이트는 융을 회장직에 임명하는 과정에서 자신을 추종하던 지지자들의 강렬한 저항에 맞서야 했다. 프로이트는 배후에서 행동하면서 자신의 지지자 중 한 명인 산도르 페렌치를 내세워 그들의 저항을 막도록 했다. 프로이트와 융과의 관계 역시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프로이트는 얼마 안 가 융이 국제정신분석협회의 회장직을 포기하게 만들기 위해 새로운 음모를 꾸미기 시작했다. 프로이트는 편지의 곳곳에서 자신의 옛 친구 융을 '폭력적이며, 정직하지 못한데다가 가끔은 기만적'이라고 표현했으며, '유대인을 차별하는 건방진 언행'과 '감정에 치우친 어리석은 행동'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또한 그는 폴리스와 아들러에 대해 편집증이라고 비방했던 수법을 융을 상대로 똑같이 사용했다. 1914년 신경이 쇠약해진 융은 결국 회장직을 사퇴했고, 프로이트는 차기 회장직에 오를 수 있었다. -..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