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베른하르트 슐링크 지음, 김재혁 옮김 / 이레 / 2004년 11월
평점 :
절판
영화가 보고 싶었다.
우연히 영화소개 프로를 보았고 그냥 끌렸다.
당장보고 싶은데 개봉하려면 한참 남았다.
책을 샀다.
더 리더, 책 읽어주는 남자.
제목이 로맨틱하다. 가방에 있는 책을 보고 친구가 물었다.
"책 읽어주는 남자 만나고 싶어? 그렇게 해줄까?"
글쎄다. 촉촉하고 샤방샤방한 내용을 기대하고 본다면 모르겠다.
하지만 이책 매력있다.
길거리에서 토하고 있는 미하엘의 토사물을 닦아준 여자. 한나
그 둘의 첫만남이 있을 때 미하엘은 한나와의 관계까 그토록 깊어질 줄은 예측할 수 없었을 것이다.
감사의 인사를 건네기 위해 찾아간 한나의 집에서 미하엘은 관계를 갖는다. 열 다섯살의 소년과 서른 여섯의 여자.
소년은 사랑일 수 있지만 여자는 알 수 없다. 소년은 여자에게 그녀의 과거를, 그녀에게 자신의 존재를 묻지만 한나는 답을 피한다.
"꼬마야. 그게 왜 궁금하니?"
더 리더의 내용은 어쩌면 일방적인 소년의 고백일 수 있다.
어린 소년의 눈에 비친 성숙한 여인의 모습. 갑자기 솟아나는 욕정과 사랑에 대한 의문. 그것이 사랑이냐 욕정이냐는 중요하지 않다.
미하엘이 한나와 함께하고 싶고, 전철과 수영장에서 한나에게 아는척을 못한 것에 대해 평생 그녀를 배신했다는 죄책감에 사는 것은 남녀간의 사랑을 뛰어넘는 인간과 인간의 이해로 나아가는 두 사람.
만일, 한나가 미하엘의 곁을 떠나지 않았다면, 그래서 그 둘의 관계가 자연스럽게 소멸되었다면 미하엘이 평생 한나를 기억할 수 있었을까.
십대 소년이 삼십대의 여성에게 애정을 느끼는 것은 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한나는 왜 소년과의 관계를 유지한 것일까.
성욕을 채우기 위해? 변태 성욕자라? 심심해서? 책을 읽어줄 사람이 필요해서?
한나는 과묵하고 자신의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 그래서 한나가 갖은 미하엘에 대한 생각은 추측할 수 밖에 없다.
미하엘과 한나의 관계를 두고 아우슈비츠의 수용자는 한나가 미하엘을 학대했다고 생각한다.
한나는 미하엘을 사랑하지 않았을 수 있다.
하지만 학대한 것은 아니다.
한나의 유품 속에 있는 미하엘의 고등학교 졸업사진은 한나 역시 자신을 아껴주는 미하엘에게 호감을 갖고 있음을 말한다.
한나는 왜 침묵했는가
한나는 치명적인 단점을 갖고 있고 그 단점 때문에 한나는 많은 피해를 본다.
지멘스에서 일하게 했고 아우슈비츠에서 감시원이 됐고 단점이 노출되는 모든 상황을 피했다..
어떤이에게는 별 것 아닐 수 있는 일이지만 한나는 무엇보다 부끄럽고 들키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모든 죄를 뒤집어 쓰고 종신형을 선고받는다.
미하엘이 한나의 비밀을 밝혔다면 한나는 종신형을 피할 수 있었다. 하지만 미하엘은 그러지 않는다. 한나가 평생을 피해다닌 것, 스스로 얼마나 큰 함정에 빠진 것을 알지만 단점을 들키고 싶지 않은 모습 모든 것을 지켜볼 뿐이다.
책 읽어주는 남자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아이가 기숙학교에 가고 이혼을 한 과정, 어떤이는 그 불행을 한나와 연결짓지만 미하엘의 상황은 아주 일반적인 삶의 한 모습일 수 있다. 미하엘은 스스로의 삶을 성실히 살며 한나에게 책을 읽어준다.
한나가 미하엘에게 남긴 한 통의 편지. 그 감동 함께 느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