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용이 있다
페르난도 레온 데 아라노아 지음, 김유경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옛날, 사람들이 세상의 끝이라고 생각하던 곳에는 늘 "여기 용이 있다"는 표식이 새겨져 있었다고 한다. 그곳은 우리가 용이라고 생각하는 그 무엇, 또는 그 너머의 상상할 수 없는 공간, 이야기가 펼쳐지는 곳이었을 거로 생각했다. 그래서 이 책의 제목 또한, 환상 그 너머의 세상에 대하여 《여기 용이 있다》라고 지어졌나 보다.


'용'이 등장하는 소설, 하면 《투명 드래곤》부터 떠올리는 저질스러운 나란 놈은 이 책의 표지를 보자마자 그런 특수한(?) 부류의 SF 문학일 것으로 생각했다. (왠지 황금가지 출판사가 생각나는 표지였다고나 할까) 하지만 서문에서 밝히는 것처럼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세계에 대한 픽션이고, 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비현실적인 세계에 대한 멀고도 가까운 이야기였다.


에... 이렇게 장황하게 서평을 쓰는 건 내 스타일이 아닌데, 이런 책이 흔하지 않아서... 아, 호시 신이치의 《쇼트 쇼트 스토리》시리즈가 비슷하다고나 할까. 아주 짧은 단편들을 (어떤 이야기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짧다!) 무규칙 적으로, 그러면서도 연결해 놓았다. 서문에서 작가가 밝히는 것처럼 한 편과 한 편 사이에는 적당한 휴식이 필요하다. 그래야 다음 이야기에 집중하면서도 지난 이야기와의 연결고리를 찾아 나가는 재미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대한 르페브르》는 영화 《일루셔니스트》가 생각나고, 《첫사랑》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사소하고 소소한 이야기다. 《닮은꼴》과 《닮은꼴》 그리고 《사기꾼》은 마치 연결되는 듯한 이야기를 비슷하면서도 다른 시점으로 풀어나간다. 단어를 잃어가는 《전염병》의 배경은 《태도들》이 시작되는 전제조건처럼 보인다. 짧고 강렬한 (때로는 소박한) 이야기들이 서로 조금씩 이어가며 내용을 연결해가는 재미가 있다.


책 자체가 굵지 않아서 읽는데 시간은 얼마 걸리지 않았는데, 왜 영화 끝마치고 엔딩 크레디트에서 영화 속에서 숨겨진 비밀들을 풀어주듯 이 책에도 그런 엔딩 크레디트가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여운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