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화채
대풍괄과 지음, 강은혜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1년 3월
평점 :
절판



중국 웹소설 작가로 유명한 대풍괄과 작가의 장편소설 <도화채>.

<삼생삼세십리도화> 드라마와 얽힌 이야기로 아시는 분들은 아시는 소설입니다.

중국 전통의 세계관이나 신선 체계가 아닌,

중국 전통 신화를 바탕으로 한, 대풍괄과 작가가 직접 창작한 도교적 세계관과 설정을 사용한 소설이라는 것이

이 소설이 가진 매력적인 세계입니다.

장르를 구분할 때 그래서

저는 '신선물' 이라는 키워드를 말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무협 세계를 다루면서, 좀 더 먼치킨스럽고, 더 깨끗하고 초월적인 이미지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신선물' 작품이 그렇게 많은 편이 아니다보니,

그 점에서 접근해서 읽기 좋은 소설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 소설 <도화채>는 BL입니다.

어긋난 운명 속의 로맨스를 다룬다고 해서 힌트를 주는 이 소설은

남성과 남성 간의 사랑 이야기를 다뤘습니다.

사랑 이야기를 예쁘고 깨끗하게 담아놓은 소설이라는 점도 이 소설의 장점입니다.

그리고 이 소설은 중국 소설임에도

꽤나 유려하게 읽기가 편합니다.

한국 무협 소설을 읽는 듯 편하게 읽을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푸단대학 중문과를 졸업하시고,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한중번역학과를 나오신 강은혜 번역가님이 번역하셨는데, 이런 유려한 중어 번역은 또 오랜만이라 다음에 이 번역가님이 번역하신 다른 책을 읽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도화채>의 주인공은

'송요원군'으로 우연을 통해서 신선이 된 케이스입니다.

그 우연이 너무 터무니없어서 헛웃음이 나오는데,

이 신선계는 참 특이해서 우연으로 신선이 되었다고 해도 그래도 잘해줍니다..

그래도 옥황상제 등의 계략으로 인해

벌을 주려고 인간계로 가다가, 벌을 받는 느낌으로 되지만,

이 이야기의 특성상 '괴롭힘'을 곁들인 사랑 이야기가 됩니다.

방금 이야기는 소설 속 내용에서도 언급이 되는데,

영지초 이야기가 나왔을 때 형문이 하는 말이 있습니다.

"네가 그걸로 천추를 구하려고 할 줄 진작 알았어. 가져가고 싶으면 가져가. 잔소리만 한마디하자. 송요원군이 속계에 내려온 건 정겁을 내리기 위해서지, 고난에 처한 사람을 구하기 위해서가 아냐. 연인을 갈라놓으려던 일이 너 때문에 감동적인 사랑 이야기가 되겠어. 명심하고 본분을 지키도록 해."

136

이런 자세한 말해주기 식 서술은 꽤나 친절해서,

읽는데 더 편안함을 주는 것도 같습니다.

그리고

'형문청군'은 딱 등장부터

참 깨끗하고 잘났다는 느낌이 확 들었습니다.

계속 읽으면서 작가가 이 캐릭터에 가진 애정이 돋보였습니다.

책의 끝에 위치한 작가의 말 '한국의 독자분들께'을 보면 작가는 이렇게 말합니다.

형문은 제가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입니다. 제 마음속에서 가장 완벽한 이미지라고 할까요.

376

'천추성군'은

신선일 때 남성애를 했다는 이유로

인간계로 떨어져 고통을 받는다는 특징인데,

인간이 되었을 때 '병약미' 쪽으로 나아가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다른 등장인물 중

제가 왠지 꽂힌 건

여우요괴 '선리'였습니다.



'선리'의 등장 장면은

뭔가 재밌습니다.

'선리'의 등장부터 이 소설이 좀 더 재밌어지기 시작한다고 생각합니다.

신선의 성은 같은 것을 노리고 접근하는 요괴가 있었는데,

그게 알고보니 여우였고,

근데 또 알고보니 수컷이었더라...

하는 이야기는

상당히 읽는 재미가 있습니다.

왠지 등장인물 소개를 읽을 때부터 이 캐릭터가 재미있을 것만 같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읽다보니 정말이었습니다.


--


<도화채> 같은 느낌의 책은 처음 읽어보는 책이었지만,

이 책이 10년 넘게 독자들에게 읽히며

사랑을 받아왔다는 책이라는 점이 공감이 갔습니다.

한국에서는 알음알음 입소문으로 읽어지는 책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 입소문이 왜 나는 것인지, 알 것만 같았습니다.

가볍고 잔잔한 재미로 다가오는 책이었습니다.

그렇지만 깊이 읽을수록 그 애절함이 다가오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결말에 닿을수록,

뭔가 복숭아꽃내음이 진해지는 느낌도 받았습니다.


--


작가는 '한국의 독자분들께'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사랑은 사실 아주 순수한 거니까요. 좋아하고, 사랑하게 되는 거. 이렇게나 간단하죠.

377

그 마음이 가는 순수함,

그 깨끗한 감정을 이 책에 잘 녹여낸 것 같습니다.

:)


--


* 이 글은 위 도서 추천을 목적으로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 제공받아

주관적 견해로 작성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