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답게 삽시다 - 미운 백 살이 되고 싶지 않은 어른들을 위하여
이시형 지음 / 특별한서재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시형 박사님의 글을 좋아해 읽게 되었네요. 요즘 나이듦에 대한 책을 읽게 되는 듯 해요. 마음 수양이 필요한 걸까요?

미운 백 살이 되고 싶지 않은 어른들을 위하여

이시형

미운 일곱 살 많이 들어보았는데 미운 백 살은 얼마나?

이시형 박사님은 마음에 맺힌 울화통 설명할 수 없는 그 무언가를 화병이라 명하며 세계 최초로 정신의학 용어로 만드신 분이예요. 육체적 건강 못지 않게 건강한 정신에 주목하며 어떻게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지 전하고 있어요. 올 해 86세라니 여전히 왕성한 활동을 하고 계셔서 이시형 박사님이 들려주는 나이듦, 어른답게 사는 이야기에 대해 읽었습니다.

에세이라 눈가는대로 술술 읽히고 아직 그 나이에 이르지 않았는데도 공감했네요. 생각할 거리를 줍니다. 100세 시대라는데 나는 그 나이가 되면 어떨까 상상도 해보고 미리미리 준비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시형 박사님의 실화 에피소드를 따라 읽으며 지금 어른에 대해 생각하게 됩니다. 속되게 말하면 어떻게 곱게 늙을지, 나이먹으면서 아이 같아지지는 않는지, 나잇값에 대해 생각하게 하네요. 지금도 과거를 돌아보지만 정적 이시형 박사님 나이가 되면 얼마나 더 많은 생각이 들지. 미래를 엿보며 지금을 더 잘 준비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결국 자존감인것 같아요. 지금의 제 나이에도 움츠려드는 건 자존감. 나이들어 육체적으로 과거와 다르고 사회적, 경제적으로 이전과 다르니 자존감 문제에 이를 수 있다 봅니다. 나 자신을 바로 이해하고 스스로에게 예의를 갖추라는 저자의 조언이 와닿네요.

나이를 먹는다고 어른이 될까요?

이시형

그때는 인생이 이렇게 길 줄 모르셨다며, 살아갈 날이 짧아서가 아니라 생각보다 길어서 지금의 삶 이후를 더 준비해야하지 않나 합니다. 스스로를 높일 줄 아는 자존감에 대해 말씀하시지만 그 나이가 되어서도 그에 못지 않은 경제적 자립과 여유에 대해 생각하게 만드네요.

86세 여전히 현역인 이시형 박사가 들려주는 지금을 현명하게 살아가는 방법, 미운 백살이 되기 전이라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합니다. 존경받는 나잇값하는 어른이 되기위해 우리가 지켜야할 것이 무엇인지 돌아보는 시간이 될 것 같네요. 저자의 깊이있는 글 뿐만 아니라 책 곳곳에 저자의 그림 보는 즐거움도 더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