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기업 홍보 마케팅 전략 커뮤니케이션 이해총서
김태욱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고 관심사가 비슷한 이웃들과 소통하며

내가 좋아하는 일들을 하나씩 발견하게 됩니다.

내가 잘 하는 일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되고

내가 좋아하고 관심 있어 했던 일들이 하나 둘 생겨나게 되지요.

그리고 무언가 새롭게 해보려고 도전하게 됩니다.

하고 싶은 일들이 너무 많아서 하나 둘 씩 하다보니

시간이 부족하고 시간관리도 하게 되고

미라클모닝으로 아침시간을 활용하게 되었죠.

블로그를 하며 키워드의 중요성에 대해 알게 되고

소비되는 글, 생산적인 글에 대해 고민하게 되다니 제 스스로도 놀라웠어요.

지금은 유행처럼 번져있는 디지털 노마드, 경제적 자유를 향한 욕망에

창업, 내가 팔 상품, 나 상품을 사줄 사람들, 소셜 미디어 바이럴 전략,

칼럼과 책 집필을 통한 전략 등에 관한 고민도 많아요.

그래서 그런지 마케팅, 홍보, 전략에 관심이 많아지고 관련 글들과 책도 찾아 읽게 됩니다.

1인 기업 창업 창직 홍보 마케팅 전략 더 알고 싶거든요.

<1인 기업 홍보 마케팅 전략>은 이러한 저의 니즈가 맞닿아 찾아 읽게된 책으로

은퇴한 50대 중년이라는 구체적인 타겟층을 독자로 겨냥해

1인 기업을 꾸려나가는지 간결하게 알려준답니다.

목차만 보아도 저자가 무엇을 이야기하고자 하는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어요.

10꼭지로 되어 있어요.


01. 1인 기업 상품 개발:

한 분야에서 이미 전문가가 된 이들이 자신만의 사업 상품으로 무엇을 찾게 될지 알려줍니다.

4C 기업, 경쟁사, 고객, 커뮤니케이션,

SWOT 강점, 약점, 기회 요인, 위협 요인 분석을 하지요.

경력 스토리로 정체성을 정립, 명확한 고객을 설정, 자신의 경력 스토리에서 강점찾기 과정입니다.


02. 상품 서비스 네이밍:

마케팅은 제품 싸움이 아니라 인식 싸움이라고 해요.

1인 기업 네이밍에는 정체성을 나타내는 아이덴티티, 고객이 사아하는 이유가 되는 핵심 메시지

온라인에 필요한도메인, 고객의 인식에 들어갈 한 마디 슬로건, 별명이 필요합니다.


03. 시장 창조와 창직

창직은 백지 상태에서 완전히 새롭게 창조되는 경우가 드물어요.

창직은 과거 10년 경험에서 정리하고 찾아내는 작업이고

자신만의 컨텐츠를 만들고 상품 서비스에 네이밍하는 작업입니다.

1. 자신의 경험에서 핵심 키워드를 찾고

2. 틈새시장이나 새로운 시장을 분석합니다.

3. 차별화되고 일반화된 직업명을 만들어

4. 고객과 연결합니다. 시장을 만들어냅니다.


04. 키워드 선점과 블로그 전략

블로그에 컨텐츠를 올리는 이유는 검색당하기 위해서입니다.

검색은 소비자와 컨텐츠의 키워드가 연결되어야해요.

검색 키워드 전략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블로그 안에서 키워드를 담은 컨텐츠를 만들어야합니다.

블로거로서 신뢰는 필수죠.


05. 소셜 미디어 바이럴 전략

블로그는 이용자가 입력할 키워드를 선정하고 (컨텐츠가 존재합니다.)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은 미리 확보한 팔로워에게 내 컨텐츠를 보게 해야합니다.

소셜 미디어 홍보는 퍼뜨리기 위해서임을 잊지 말아야합니다.

소셜 컨텐츠는 유익하거나 재미있고, 컨텐츠는 비주얼화해하며 순간 포착 비트 이미지,

은근히 브랜드 메세지를 담아야합니다.

댓글을 달 수 있게 열어놓아야합니다.

컨텐츠는 매일 올려야하므로 양적으로 많아야해요.


06. 포털 사이트 공략

파워링크, 블로그, 카페, 동영상, 포스트, 웹사이트, 지식인, 뉴스, 이미지, 지도 , 실시간 검색등 이 있는 포털 사이틀를 활용 홍보 마케팅을 위해 어느 영역에 어떤 컨텐츠를 만들어 어떻게 공략할지 생각해야합니다.


07. 명함 전략

1인 기업 명함은 가성비 최고의 홍보물이라고 합니다.

압축된 사업 전략서이자 세상의 가장 작은 카달로그로

브랜드 전략, 퍼스널 브랜드, 사업 아이템, 키워드 전략을 제대로 담아야할 거예요.

무엇보다 나를 쉽게 알려야해요. 상품 서비스는 명확하게 전달해야합니다.

물론 연락처, 회사명은 기본이구요.

뒷면 나만의 강점을 넣어요. 전문성을 좀 더 강조, 차별화된 세부 서비스를 상세히 보여주면 좋습니다.


08. 칼럼과 책 집필 전략

1인 기업가 책 집필은 전문가의 증표로

퍼스널 스토리텔링 활동, 책쓰기는 영업을 위한 홍보 마케팅 활용됩니다.

미래 상품 전략입니다.

뉴스에 검색되는 칼럼이나 온라인 글쓰기를 시대해보세요.


09. 문의 대응과 협의

강의는 엄연한 상품이므로 의뢰자의 교육기획의도를 파악 강의를 준비해야합니다.

강의 대상자 인원, 강의 일정, 장소, 강의료는 꼭 들어가야합니다.

문의, 협의에 현명하게 대응해야합니다.


10. 상품 리뉴얼과 외연 확장

1인 기업가로 컨텐츠를 팔고

상품에 수명주기가 있으므로 끊임없는 상품 개발 기존 컨텐츠를 리뉴얼 상품 외연을 확장해야합니다.


<1인 기업 홍보 마케팅 전략>은 이러한 저의 니즈가 맞닿아 찾아 읽게된 책으로

은퇴한 50대 중년이라는 구체적인 타겟층을 독자로 겨냥해

1인 기업을 꾸려나가는지 간결하게 알려준답니다.

목차만 보아도 저자가 무엇을 이야기하고자 하는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어요.

10꼭지로 되어 있어요.


01. 1인 기업 상품 개발:

한 분야에서 이미 전문가가 된 이들이 자신만의 사업 상품으로 무엇을 찾게 될지 알려줍니다.

4C 기업, 경쟁사, 고객, 커뮤니케이션,

SWOT 강점, 약점, 기회 요인, 위협 요인 분석을 하지요.

경력 스토리로 정체성을 정립, 명확한 고객을 설정, 자신의 경력 스토리에서 강점찾기 과정입니다.


02. 상품 서비스 네이밍:

마케팅은 제품 싸움이 아니라 인식 싸움이라고 해요.

1인 기업 네이밍에는 정체성을 나타내는 아이덴티티, 고객이 사아하는 이유가 되는 핵심 메시지

온라인에 필요한도메인, 고객의 인식에 들어갈 한 마디 슬로건, 별명이 필요합니다.


03. 시장 창조와 창직

창직은 백지 상태에서 완전히 새롭게 창조되는 경우가 드물어요.

창직은 과거 10년 경험에서 정리하고 찾아내는 작업이고

자신만의 컨텐츠를 만들고 상품 서비스에 네이밍하는 작업입니다.

1. 자신의 경험에서 핵심 키워드를 찾고

2. 틈새시장이나 새로운 시장을 분석합니다.

3. 차별화되고 일반화된 직업명을 만들어

4. 고객과 연결합니다. 시장을 만들어냅니다.


04. 키워드 선점과 블로그 전략

블로그에 컨텐츠를 올리는 이유는 검색당하기 위해서입니다.

검색은 소비자와 컨텐츠의 키워드가 연결되어야해요.

검색 키워드 전략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블로그 안에서 키워드를 담은 컨텐츠를 만들어야합니다.

블로거로서 신뢰는 필수죠.


05. 소셜 미디어 바이럴 전략

블로그는 이용자가 입력할 키워드를 선정하고 (컨텐츠가 존재합니다.)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은 미리 확보한 팔로워에게 내 컨텐츠를 보게 해야합니다.

소셜 미디어 홍보는 퍼뜨리기 위해서임을 잊지 말아야합니다.

소셜 컨텐츠는 유익하거나 재미있고, 컨텐츠는 비주얼화해하며 순간 포착 비트 이미지,

은근히 브랜드 메세지를 담아야합니다.

댓글을 달 수 있게 열어놓아야합니다.

컨텐츠는 매일 올려야하므로 양적으로 많아야해요.


06. 포털 사이트 공략

파워링크, 블로그, 카페, 동영상, 포스트, 웹사이트, 지식인, 뉴스, 이미지, 지도 , 실시간 검색등 이 있는 포털 사이틀를 활용 홍보 마케팅을 위해 어느 영역에 어떤 컨텐츠를 만들어 어떻게 공략할지 생각해야합니다.


07. 명함 전략

1인 기업 명함은 가성비 최고의 홍보물이라고 합니다.

압축된 사업 전략서이자 세상의 가장 작은 카달로그로

브랜드 전략, 퍼스널 브랜드, 사업 아이템, 키워드 전략을 제대로 담아야할 거예요.

무엇보다 나를 쉽게 알려야해요. 상품 서비스는 명확하게 전달해야합니다.

물론 연락처, 회사명은 기본이구요.

뒷면 나만의 강점을 넣어요. 전문성을 좀 더 강조, 차별화된 세부 서비스를 상세히 보여주면 좋습니다.


08. 칼럼과 책 집필 전략

1인 기업가 책 집필은 전문가의 증표로

퍼스널 스토리텔링 활동, 책쓰기는 영업을 위한 홍보 마케팅 활용됩니다.

미래 상품 전략입니다.

뉴스에 검색되는 칼럼이나 온라인 글쓰기를 시대해보세요.


09. 문의 대응과 협의

강의는 엄연한 상품이므로 의뢰자의 교육기획의도를 파악 강의를 준비해야합니다.

강의 대상자 인원, 강의 일정, 장소, 강의료는 꼭 들어가야합니다.

문의, 협의에 현명하게 대응해야합니다.


10. 상품 리뉴얼과 외연 확장

1인 기업가로 컨텐츠를 팔고

상품에 수명주기가 있으므로 끊임없는 상품 개발 기존 컨텐츠를 리뉴얼 상품 외연을 확장해야합니다.


<1인 기업 홍보 마케팅 전략>은 이러한 저의 니즈가 맞닿아 찾아 읽게된 책으로

은퇴한 50대 중년이라는 구체적인 타겟층을 독자로 겨냥해

1인 기업을 꾸려나가는지 간결하게 알려준답니다.

목차만 보아도 저자가 무엇을 이야기하고자 하는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어요.

10꼭지로 되어 있어요.


01. 1인 기업 상품 개발:

한 분야에서 이미 전문가가 된 이들이 자신만의 사업 상품으로 무엇을 찾게 될지 알려줍니다.

4C 기업, 경쟁사, 고객, 커뮤니케이션,

SWOT 강점, 약점, 기회 요인, 위협 요인 분석을 하지요.

경력 스토리로 정체성을 정립, 명확한 고객을 설정, 자신의 경력 스토리에서 강점찾기 과정입니다.


02. 상품 서비스 네이밍:

마케팅은 제품 싸움이 아니라 인식 싸움이라고 해요.

1인 기업 네이밍에는 정체성을 나타내는 아이덴티티, 고객이 사아하는 이유가 되는 핵심 메시지

온라인에 필요한도메인, 고객의 인식에 들어갈 한 마디 슬로건, 별명이 필요합니다.


03. 시장 창조와 창직

창직은 백지 상태에서 완전히 새롭게 창조되는 경우가 드물어요.

창직은 과거 10년 경험에서 정리하고 찾아내는 작업이고

자신만의 컨텐츠를 만들고 상품 서비스에 네이밍하는 작업입니다.

1. 자신의 경험에서 핵심 키워드를 찾고

2. 틈새시장이나 새로운 시장을 분석합니다.

3. 차별화되고 일반화된 직업명을 만들어

4. 고객과 연결합니다. 시장을 만들어냅니다.


04. 키워드 선점과 블로그 전략

블로그에 컨텐츠를 올리는 이유는 검색당하기 위해서입니다.

검색은 소비자와 컨텐츠의 키워드가 연결되어야해요.

검색 키워드 전략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블로그 안에서 키워드를 담은 컨텐츠를 만들어야합니다.

블로거로서 신뢰는 필수죠.


05. 소셜 미디어 바이럴 전략

블로그는 이용자가 입력할 키워드를 선정하고 (컨텐츠가 존재합니다.)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은 미리 확보한 팔로워에게 내 컨텐츠를 보게 해야합니다.

소셜 미디어 홍보는 퍼뜨리기 위해서임을 잊지 말아야합니다.

소셜 컨텐츠는 유익하거나 재미있고, 컨텐츠는 비주얼화해하며 순간 포착 비트 이미지,

은근히 브랜드 메세지를 담아야합니다.

댓글을 달 수 있게 열어놓아야합니다.

컨텐츠는 매일 올려야하므로 양적으로 많아야해요.


06. 포털 사이트 공략

파워링크, 블로그, 카페, 동영상, 포스트, 웹사이트, 지식인, 뉴스, 이미지, 지도 , 실시간 검색등 이 있는 포털 사이틀를 활용 홍보 마케팅을 위해 어느 영역에 어떤 컨텐츠를 만들어 어떻게 공략할지 생각해야합니다.


07. 명함 전략

1인 기업 명함은 가성비 최고의 홍보물이라고 합니다.

압축된 사업 전략서이자 세상의 가장 작은 카달로그로

브랜드 전략, 퍼스널 브랜드, 사업 아이템, 키워드 전략을 제대로 담아야할 거예요.

무엇보다 나를 쉽게 알려야해요. 상품 서비스는 명확하게 전달해야합니다.

물론 연락처, 회사명은 기본이구요.

뒷면 나만의 강점을 넣어요. 전문성을 좀 더 강조, 차별화된 세부 서비스를 상세히 보여주면 좋습니다.


08. 칼럼과 책 집필 전략

1인 기업가 책 집필은 전문가의 증표로

퍼스널 스토리텔링 활동, 책쓰기는 영업을 위한 홍보 마케팅 활용됩니다.

미래 상품 전략입니다.

뉴스에 검색되는 칼럼이나 온라인 글쓰기를 시대해보세요.


09. 문의 대응과 협의

강의는 엄연한 상품이므로 의뢰자의 교육기획의도를 파악 강의를 준비해야합니다.

강의 대상자 인원, 강의 일정, 장소, 강의료는 꼭 들어가야합니다.

문의, 협의에 현명하게 대응해야합니다.


10. 상품 리뉴얼과 외연 확장

1인 기업가로 컨텐츠를 팔고

상품에 수명주기가 있으므로 끊임없는 상품 개발 기존 컨텐츠를 리뉴얼 상품 외연을 확장해야합니다.


 

 

마지막 상품 개발을 위해 끊이 없이 노력해야하는 일에 대해 말하며

저자의 습관을 소개해주는데

의무적으로 글을 쓰고 (생산자)

읽었으면 뽑아내고

새로운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블로그와 페이스북은 무조건 하라고 합니다.

저도 많이 동의하고 있어요. 자신의 컨텐츠를 쌓고 퍼트릴 수 있는 매개체는 꼭 필요해요.

1인 기업 홍보 마케팅 전략을 저자의 경험에 기반하여

설명해주어 지식 기반 창업자에게는 (유형 상품 부분은 살짝 아쉽지만)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어요.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