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의 역설 - 모두가 원하지만 아무도 하고 싶지 않은
김준혁 지음 / 은행나무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돌봄의 역설
김준혁 지음 / 은행나무

*모두가 원하지만 아무도 하고 싶지 않은

"돌봄은 타인의 아픔을 알아차릴 때 시작된다"

저마다 돌봄의 공백을 한탄하는
각자도생의 사회에서

'함께-돌봄'의 사회로 나아가는
돌봄윤리를 제안하다

---------------------------------------------

돌봄이라는 단어를 들었을때
누군가가 누군가를 정성껏 보살피는
사랑 가득한 따스한 마음이 떠오른다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어린이집에서 일하며
돌봄이라는 말을 정말 많이 들었고
돌봄의 현장에서 정말 열심히 살았다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는 과연
돌봄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저자는 질문을 던지며 우리에게 돌봄에 대해
생각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이야기를 들려준다



1장. 돌봄은 서로 교환한다
2장. 돌봄은 의지를 갖고 실천하는 것이다
3장. 돌봄은 보살핌받는 이의 관점에서 이루어진다
4장. 돌봄은 피어나게 한다
5장. 돌봄은 구조 속에서 순환한다
6장. 나는 돌보며 돌봄받는다


6장으로 돌봄에 대해 이야기하는 이 책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점은

문학작품을 통해 우리에게 돌봄을 말한다는 점이다

그저 딱딱한 이론으로만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작품속의 인물들과 상황들을 통해
우리가 돌봄에 대해 마음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p23. <좋은 돌봄을 위한 돌봄윤리의 핵심>
1. 돌봄은 서로 교환한다.
2. 돌봄은 의지를 갖고 실천하는 것이다.
3. 돌봄은 보살핌받는 이의 관점에서 주어진다.
4. 돌봄은 피어남을 목표로 한다.
5. 돌봄은 구조 속에서 순환해야 한다.
6. 돌봄은 돌보는 이와 보살핌받는 이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음을 전제한다.

그저 누군가를 돌보겠다는 마음만으로는
제대로 된 돌봄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책을 통해 다시금 느낀다

아무래도 두 아이를 키우다보니
역시나 아이들에 대한 돌봄이 가장 크게 와닿았는데

일하면서 아이도 제대로 키울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의 현실은 멀기만 한거 같아
항상 아쉬움이 가득 남는다

그리고 점점 노령화인구가 늘어나는 우리의 현실을 생각할때
노인에 대한 돌봄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기술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에게는 편리하지만
핸드폰이나 키오스크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노인들에게는
식당에서 주문을 하거나 은행업무 하는 것도 너무나 버겁기만 하다

누구나 나이가 들어가고 노인이 되는것은 당연한 일이기에
그들에 대해 배려할 수 있는 마음과
필요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할것이다

저자가 이야기하는 돌봄은 피어남이다

*p228
그렇다면 피어남이란 각자의 의미와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바탕을 마련하는 시도이며, 피어남은 돌봄을 통해 이루어진다. 나와 너의 바탕을 만드는 작업이 돌봄이므로, 나는 피어나는 삶을 위한 돌봄을 다른 무엇보다 중요한 자리에 놓는다.

돌봄은 어느 누구 한 사람이 할 수 있는게 아니다

돌보는 이와 보살핌을 받는 이가 정해져있는게 아니고

언제는 내가 돌보는 이가 될 수도,
보살핌을 받는 이가 될 수도 있기에

다른 사람의 고통과 아픔에 관심을 가지고
마음을 기울일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

모든 사람이 함께 어우러져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따스함 가득한 사회가 되기를 진심으로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