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마음자세가 아이의 인생을 결정한다 - 릴리스 콤플렉스 극복하기
한스 요아힘 마츠 지음, 이미옥 옮김 / 참솔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의 어른의 거울이라는 말이 있듯이..

이책에서 엄마의 모습이나 자세가 아이의 양육전반에 미친 영향을 이야기하고 있다.

 

릴리스콤플렉스?

구약인물이 릴리스는 아담과 동등하다고 생각한 인물로 나온다.

릴리스를 인정하지 않는 개인과 사회는 병적인 모습을 보이는데 릴리스를 억압하고 인정하지 않는 심리를 릴리스콤플렉스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렇다면 릴리스는 어떤 인물일까?

릴리스는 능동적이고, 자아존중감이 있는 인물로 나오는 반면, 신화에서의 이브처럼

어머니가 지녀야할 헌신, 복종이라는 단어와는 거리감이 있기에

항상 마녀나, 못된 여자로 등장해왔다. 하지만, 릴리스는 이러한 신화적인 기반에 둔 인물이 아니라

자아정체성을 지닌 인물로 현재사회의 모성애적인 병폐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현재사회는 거짓모성애라는 사회적인 굴레속에서 엄마가 아이한테 최선을 다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엄마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의도가 강하다고 말하고 있다. 그럼으로 아이를 엄마의 소유물로 인식하고 자기만족에 빠져서 진정으로 아이에게 사랑을 전하지 못하는 모성애결핍증을 앓게 한다고 말하고 있다.

실제로 그러한 사례들을 책에 등장시켜 이해를 돕고 있다.

 

이책을 읽으면서 실제로 부모가 된다는 것에 대해 두려워했던 지난날이 떠올랐다.

학교에서는 생물학적으로 부모가 되는 과정을 교육하기는 했지만,

정신적으로 어떻게 자식을 돌보아야하는지에 대해서는

그냥 엄마는 사랑으로 헌신으로 돌봐주면 된다는 사회적인 묵시만이 있었던거 같다.

책에서는 결국 엄마의 행복이 엄마의 자신감과 릴리스콤플렉스를 극복하고

자녀의 인생에게 결핍이 없으며, 바로설수 있는 자세를 갖는 것을 돕는다고 하고 있다.

 

나도 내 아이에게 내가 해보지 못한 것을 가르치면서 대리만족을 느끼고,

항상 아이를 위해서는 희생하고 도와주어야 한다는 생각을 들어서

어떤날은 피곤하고 힘들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는데

이책을 읽으면서 보다 객관적이고, 상호만족도가 높은 엄마로 내가 먼저 서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더불어서 어머니처럼의 좋은 태도, 사적이고 인간적인 관계, 상대방 말의 경청, 감정이입, 이해하고자 하는 마음, 자유로운 감정표현등을 지닌 참된 모성애를 지닌 진짜 엄마로 태어나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