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선생의 시끌벅적 한국사 9 - 일본의 지배에서 해방으로 용선생의 시끌벅적 한국사 9
금현진 지음, 이우일 그림, 배민재 정보글, 조고은 지도, 최병택 외 감수 / 사회평론 / 201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용선생의 시끌벅적 한국사

 

한국사에 관한 책들은 참 많이 출간되는데 어떤 관점과 형식을 취하느냐에 따라 관심과 흥미도가 내용의 진정성이 많이 달라지는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느끼는 점은 선생님과 아이들이 현장학습을 떠나면서 선생님이 역사적인 이야기를 해 주면 그것에 대한 아이들의 반응들과 생각들을 들을 수 있는 대화체적인 형태가 많아서 내용이 좀 쉽고 편안하게 느껴진다는 것과 현장감이 살아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중간에 나온 사진들은 우리가 흔히 교과서에서 볼 수 있는 사진들이 아니라 우리가 흥미 있어 하고 관심 있는 사실들이 많다. 예를 들어 인물사진들이 많다. 덕혜공주, 영친왕 데라우치 마사타케, 이광수 등이 있고 한자용어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주석처럼 개념 사전을 만들어 주어 이해를 돕고 있으며 교과서에 나오지 않은 사소한 일도 알려주고 있어 그 당시의 상황을 읽을 수 있게 만들어 주고 일제 강점기에 학교의 분위기, 농민들의 생활고와 그에 따른 항거와 일제 강점기에 있었던 많은 것들이 지금까지 학교 현장에서도 그대로 실행되고 있는 것을 보고서 놀라게 되었다. 그리고 한 단원이 끝나면 단원 평가처럼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만세 운동과 더불어 제암리 사건의 일본 만행을 읽고 격분하게 되고 일본의 인권 변호사, 후세 다츠지를 읽으면서는 그래도 양심적인 일본인도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리고 그 당시 소작료가 70%라니 농민들의 생활이 얼마나 궁핍했는지 알 수 있었다. 또한 민족자결주의 영향과 세계대전 등이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역사라는 것이 자국의 노력으로만 되는 것이 아니라 세계의 흐름 속에 휩쓸리고 영향을 받는 다는 사실을 많이 느끼게 되고 세계를 읽는 눈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사실도 느끼게 된다.

우리가 원하든 원하지 않던 영향을 받고 그것을 감지하지 못하면 피해를 볼 수 받게 없는 것이다. 나만 운전 잘 한다고 해서 사고가 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방어 운전도 필요하듯이 말이다. 우리가 일제 강점기를 원하지 않았지만 결과적으로 우리는 지배를 받았고 우리도 우리를 지킬 수 있는 힘이 필요함을 적실히 느끼게 된다.

이 책은 초등 고학년이나. 중학생정도가 읽으면 좋을 것 같은 생각을 하게 된다. 내용이 상당히 어렵지 않고 역사를 접근하는 방식인 체험 학습 현장에서 듣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 조금은 편안하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