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4.19 혁명이 일어났을까? - 장면 vs 이승만 ㅣ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57
박은화 지음, 이남고 그림 / 자음과모음 / 2012년 12월
평점 :
왜 혁명이 4.19 일어났을까?
역사 전집 책들을 보면 크게 시대 순으로 해서 배우는 방법과 인물을 중심으로 해서 나오는 책들이 많은 것 같다. 시대 순으로 배우는 방법은 지식을 습득하는 방법으로 흐름을 파악하고 역사 연계를 하는데 좋은 방면 현실감이 좀 떨어지고 먼 나라 이야기 같은 생각이 들어서 인간적인 면보다는 지식적인 면이 강해서 어려운 느낌이 든다. 인물로 접근하는 역사는 좀 인간적이라서 친근감이 있으나 지식적인 면이 좀 덜한 것 같은 생각이 드는데 이 책은 고학년부터 논술 준비 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역사의 정점에 있는 대립되는 두 사람들을 법정에 세우고 왜 그들이 그럴 수밖에 없었는지 자신을 충분히 대변하는 모습 속에서 우리가 나쁜 사람들이라고 생각했던 사람들도 시대적으로 그럴 수밖에 없었는지 공감도 가고 두 인물을 중심으로 그들과 함께 했던 다른 주변인들도 만나게 되어 그 당시 시대상을 알 수 있어 매우 좋다. 역사적인 지식과 그들의 고민 그 당시의 사람들이 잘 재현되어 있다.
원고 장면 씨와 그의 증인 신익희, 조병옥, 조봉암, 김주열, 윤보선 VS 피고 이승만, 장택상, 갈 흥기, 송요찬, 이기붕, 허정들이 나와 있다.
장면 씨는 4.19 혁명의 의미를 재확인하고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자 이승만을 법정에 세우고 그들의 증인들이 나와 그 때의 사건의 전말을 알 수 있다.
이승만은 정읍에서 남한 만의 단독 정부를 수립하자고 했고 독립운동자들이 참여하지 않은 상태에 국회의원들은 이승만 씨를 대통령 선출했고 1952년에는 독립 운동가들이 국회의원이 대거 당선이 되자 이승만은 대통령 선거를 직선제로 바꿔서 선거 10일 만에 대통령이 된다. 1956년 3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2번 밖에 대통령이 될 수 없는 법 제한을 초대 대통령이 한해서 없앤다. 것을 만들기 위해 국회의원 203명에서 3분의 2인 135.333을 통과해야 하는데 135명만이 찬성해서 사사오입 개헌이 이뤄지게 되고 이승만, 장면 대 신익희, 조봉암 대결 구도에서 신익희 씨가 죽는 바람에 후보가 없어 이승만대통령이 된다.
1960년 3.15 부정선거와 시위 도중 김주열 학생의 죽음 1.18 서울 대학생 시위와 독재 정권 반대와 4.19 혁명 이뤄지게 되었다.
이 책은 역사적인 지식을 배울 수 있고 역사적으로 대립 구도에 있는 두 인물들이 법정에서 자신을 변호하고 그들의 증인인물을 보면서 그 당시를 생생하게 그려나가고 있어 역사라는 것이 인간이 만들이 가는 것이고 그 역사 속에서 민중이 깨여있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