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열한 살의 가방
황선미 지음, 김중석 옮김 / 조선북스 / 201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제목에서 무엇을 생각하셨나요? 이제 10대들의 이야기에도 귀 기울여야 할때가 되었더라구요. 큰아이가 10살 이제 내년에는 당당히 고학년이 된답니다. 유난히 책을 즐겨 읽는 아이랑 다양한 소통의 기회를 제공해준 이야기지요~ 우리집 아이들은 항상 생각하는걸 이야기 하게 대화를 자주 한답니다. 그리고 궁금한건 질문하기로 했지요~ 그래서 위탁되어지는것, 고아원,,, 이혼, 죽음 등에 대해서 간접 경험을 책을 통해 하고 있답니다. 이책은 조선북스에서 출간되엇고 황선미 글 김중석 그림이랍니다.
이책의 이야기는 믿음이의 이야기 랍니다. 열 살 믿음이의 부모님은 돈 많고 유명한 패션디자이너이지요. 도우미 아줌마까지 있는 좋은 집에서 승마, 골프, 원어민 영어회화까지 배우며 남부러울 것 없이 생활하지만 믿음이가 마음을 터놓는 대상은 비닐봉지 속에 들어 있는 떨어진 담요와 낡은 곰 인형뿐이랍니다. 하지만 디자인 엄마는 믿음이의 이런 마음을 이해하기 보다는 낡은 곰 인형 대신 비싸고 예쁜 테디베어를, 떨어진 담요 대신에 보드라운 이불을 사 주려고만 하지요. 믿음이는 이 집에 맡겨진 ‘위탁아동’이랍니다. 태어날 때부터 친부모도 모른 채 보육원에 맡겨져 몇 년 째 위탁가정에서 자라온 것이지요. 저도 주위에서 위탁맘으로 일하시는 분을 보아왔답니다. 일정기간동안 부모가 돌 볼 수 없는 아이들이 일반 가정에 맡겨져 사랑속에 아이를 키우는일... 정말 어렵더라구요. 가끔 떨어진 부모를 만나고 오면 아이는 더 힘들어 하고 영양적으로 항상 더 신경을 써도 아이는 아프거나 마르기 쉽더라구요.
믿음이는 두 번째 위탁엄마인 ‘멋진 디자인 엄마’도, 남들이 부러워하는 생활환경도, 자신이 가진 모든 걸 쓰레기 취급하는 도우미 아줌마도 불편하고 힘들기만 하답니다. 그러다가 믿음이에게 의지할것이 생겨요. 어느 봉사자가 선물해준 가방이랍니다.
튼튼한 자물쇠와 바퀴까지 달린 가방에 ‘바둑이’란 이름을 붙인 믿음이는 비닐봉지 속 보물들을 담아 가지고 학교든 학원이든 함께 다닌답니다.
어느날 믿음에게 친구가 허락도 받지않고 열어보자, 믿음이는 그친구를 때려 문제가 커지고, 디자인 엄마는 믿음이에게 실망을 하게되지요. 얼마 뒤 믿음이는 디자인 엄마 집을 떠나 같은 반 친구이자 위탁아동인 소망이의 집에 잠시 머물면서 소망이 엄마에 의해 곰인형의 팔을 뀌매어지고 어른도 아이처럼 실수하면서 배운다는 것을 알게되고 닫힌 마음을 열고 상처를 치료하고 극복하고자 한답니다. 디자인 엄마 역시 믿음이를 키우던 자신의 태도와 마음을 다시금 들여다보는 계기가 되었답니다.
가정위탁제도’는 친부모의 학대나 방임, 빈곤 등의 이유로 친가정에서 아동을 키울 수 없는 경우에 일정 기간 동안 위탁가정을 제공하여 아동을 보호하고 양육하는 아동복지서비스라고 한답니다. 현진이가 7살일때 같이 근무했던 직원이 이렇게 위탁 아동을 항상 어린이집에 데려다 주고 데리고 가는걸 보았답니다. 그리고 그 아이가 초등학교에 가면서 그 집을 떠날때 온 가족이 조카처럼 키웠기에 더 마음 아파하고 아이도 이 위탁 가정이 자신의 가정이 였으면 하고 바랬던 마음을 보았던 터라 이러한 이야기가 생소하지는 않았답니다.
초등학교 3학년인 현진이는 이 책을 읽고 이렇게 독서록을 작성했답니다.
믿음이와 도우미 아줌마에게...
믿음아 너 오줌을 많이 지리는 구나. 조금은 불쌍한것 같아. 너는 엄마가 없구나, 친엄마가.... 너는 무척 도우미 아줌마를 싫어 하는 것 같아. 더우미 아줌마! 믿음이를 맡앗으면은 자기 아들 처럼 더 사랑해 주고 아껴 주어야야줘!! 실수를 조금했다고 짜증을 많이 내고 화내고 혼내고 무시하잖아요. 앞으로는 믿음이와 사이 좋게~ 믿음이는 도우미 아줌마 말 잘 듣고.. 안녕~
책을 읽고 독서록을 쓴 현진이와 믿음이가 왜 낡은 이블과 곰인형을 가지고 다니게 되었을까.. 하고 질문을 해보았답니다. 현진이는 친부모님이 주신 물건이 아니까.... 그리고 내가 좋아하는 물건이 있잖아... 하더군요. 아직 믿음이의 마음이 왜 그리 힘들엇을까 하고 다 이해 하지는 못했지만 그런 상황속에서도 아이들이 자라고 있다라는 점을 아이가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답니다. 그리고 주변에 그러한 친구가 있다면 더 잘해주고 싶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