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수학을 못해요! 독깨비 (책콩 어린이) 31
엘리자베트 브라미 지음, 박선주 옮김, 레미 쿠르종 그림 / 책과콩나무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h1.jpg

2학년이 되면서 수학을 조금씩 어려워 하고 스토리텔링의 서술형 문제에 울 아이는 긴장을 했답니다. 단순 연산만 하다가 학교에 갔는데 이야기를 읽고 그속에서 문제를 만들고 풀어야 하는 서술형이 등장하니 아이도 긴장을 안할 수 없었답니다. 그나마 2학년이 디면서 조금 덜 힘들어 하지만 그래도 아이는 어려워 하더라구요. 우리 이책의 주인공은 어떻게 수학을 못하는걸까요?

h2.jpg

이책의 주인공은 타마라랍니다. 수학을 정말 못하는 여자 아이가 주인공이지요.

초등학교 3학년생으로 수학에 대해 거의 공포에 가까운 심리적 부담을 가지고 있답니다. 아이들이 자라듯 학년이 올라가면 수학실력도 쑥쑥 자랄것으로 생각했던 타마라는 무척 순진하답니다. 타마라의 숙제를 도와주려는 아빠와 20분이 2시간으로 늘어나고 온화한 웃음이 꾸중과

욕설로 뒤바뀌는 사태를 직면 하기도 하지만 타마라를 둘러싼 엄마, 아빠의 부부싸움은 서로를 닮았다는 것으로 이야기 한답니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우리도 그러고 있는건 아닐러지요.... "제는 누굴 닮은 거야....ㅎㅎㅎ"

타마라는 오빠의 말대로 수학을 잘하는 피는 아들에게 흘러가고 여자 아이들한테는 말이 흘러 간다는 이야기가 정말인지 궁금하기도 하기만 했답니다. 그렇다면 타마라는 자신이 멍청해도, 수학을 못해도 부끄럽지 않고 수학공부를 시키는것은 소용이 없다고 생각해 학교에서 수학 수업을 여자아이들은 전부빼 줘야 한다는 생각을 하였답니다. 수학시험지에 자신만의 답을 적은 타마라는 수학 선생님께 혼이나고 가정 통신문에까지

글을 써 스스로가 구제불능의 아이라고 낙인이 찍히더라구요. 수학보다는 문학에 재능을 가졌다고 생각하기에 타미라는 열이나고 온몸이 아팠으면 좋겠다는 소원을 갖지만 그 소원은 절대 이루어 지지 않는답니다.


h3.jpg

읽으면서 엄마로써 아이가 잘하는것과 못하는것을 조금은 이해해줘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더 들었답니다. 정말 아이가 하고픈 일을 찾게 해주는 부모라면 좋겠지만 지금의 초등교육이나 우리의 공교육에서는 골고루 다 해야만 한다는것이지요.

h4.jpg


초등학교 2학년인 찬영이는 이책을 읽고 이렇게 독서록을 작성했답니다.

애야! 넌 수학을 못하는 수학병이라고 했잖아. 정말 안좋겠다. 나도 수학을 조굼밖에 못하지만 우리누나는 너보단 나아~ 왜냐면...음.... 그건 말해 줄 수 없어. 말 안할꺼야~ 그럼 우리 누나만 창피하니까.!! 알겟지! 그래도 슬퍼하지마렴... 너는 특별한 제목을 만드는거 잖아. 참 축하애!

ㅎㅎㅎ 찬영이는 얼마전 누나가 수학시험을 엄청 못보았는데,,,, 입이 가변운 녀석이라 이 주인공 타마라에게도 그 점수를 이야기 해주고 싶었나 봅니다. 지도잘 못하면서 말이지요. 단순연산에는 자신감을 보이지만 스토리 부분에서는 많이 망설이는 아들이랍니다. 큰아이가 이내요을 알면화를 엄청 낼것 같은데요~ ㅎㅎ 아이들이 모두 다 잘하면 좋겠지만 조금더 관심이 있어 잘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이 있다고 생각해요. 앞으로 아이가 조금은 더 즐겁게 공부 할 수 있도록 좋은 책도 찾아보고 알아봐야 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