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육사유 - 실천하는 교사, 깨어있는 시민을 위한
함영기 지음 / 바로세움 / 2014년 1월
평점 :
두아이의 엄마로 아이들이 둘다 초등학교에 다니면서 정말 참 교육이
무엇인지,,,, 그리고 내 아이를 어떻게 즐겁게 공부 할 ㅜㅅ 있는 분위기와 그러한 즐거움을 알게 해 줄 수 있는지 정말 많은 생각을 하고
다양한 책도 살펴 본다. 그러면서 학교 엄마들과 아이들의 참 교육과 공부의 참됨을 느끼게 해주려고 작은 모임도 가지면서 우리아이가 다니는 학교가
혁신학교로 갈 수 있도록 노력하는 엄마 이기도 하다. 하지만 학교의 변화는 참으로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것도 알게된 엄마이기도 하다. 아이들이
즐거운 분위기와 친구들간에 협동하고 나누고 평화로음을 알게하는것이 생각보다 참으로 많은 사회의 분위기와 교가, 학교, 부모의 노력이 참으로 많이
필요함도 느낀다. 이번에 이책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교육의 현 시점을 다시금 확인해 보는 시간이 되기도 했다.
누구나 다 옳다고 할때 아님을 느낀다면 아니라고 이야기 할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교육현실도 이와 마찬가지란 생각이 든다. 옳지 않음을 보고 다수가 옳다고만 하니 모드 현실에서는 다수의 의견을
따라간다. 하지만 끝내 우리 교사건, 학부모이건, 학생이건, 옳지 않음을 아니라고 이야기 하고 말할 수 있는 힘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책의
저자인 함기영 선생인도 그러한 분이란 생각이 든다. 책의 이야기는 쉽지 않다. 읽으면서 내가 알고 느끼고 있는 것이 다가 아니란 현실과 그러한
교육현실에 답답함이 느껴지고 과연 학부모로써 내가 내아이들의 교육을 이렇게만 손 놓고 있으면 안된다는 생각을 하지만 당장 뭔가를 바꾸기는 쉽지가
않음을 다시금 확인하는 시간이 되기도 했다.
저자느 총 9장의 단락으로 책을 전개해 놓고 있다. 그중 내가 가장 관심있게 읽은 부분은 제5장
"아이들이 구성해야 할 많은 지식 중에는 바로 기억해 두어야 할 것도 있고, 두고 두고 음미해야 할 것들도 있지만 이 모든 지식들은 아이들의
사유와 연결될 때만 가치를 지닌다. 아이들에게서 상상과 사유가 멈추면 교육도 끝이다." 학생 제6장 "중요한 것은 얼마나 강한 동기를 가지고
있느냐가 아니라, 그 동기가 어떤 것이냐이다. 잘못된 동기는 강할수록 큰 문제를 야기한다. 외적 보상을 강조하는 것이냐, 실패했을 때 닥칠
두려움을 조장하는 것은 종종 잘못된 동기로 이끄는 요인이다. 동기가 얼마나 강한가를 보기 이전에 그 동기가 어디를 향하는지 보는 것이 교사와
부모의 중요한 역할이다."
수업 제8장 혁신의 이야기를 더 관심을 가지고 읽었다. 당장에 해결되는 부분은 없지만 아이들의
올바른 교육을 위해서 조금이라도 노력하고 관심을 가지고 있을을 사회에 제안하고 알려야 함을 더 확신하게 되었다. "혁신 교육에 적용되는
교육방법들을 낱낱의 분절된 개념으로 이해하기 보다 그것을 관통하는 교육철학을 세울 때, 혁신교육 과정에서 유려되는 두 가지 측면 즉 수업방법의
혁신에 매몰되는 것, 정치경제적 논리에 휘말리는 것을 근원적으로 극복해 갈 수 있다."라고 이야기 하는 저자의 말에 동의 한다. 교육은 정치적
수단에 이용됨은 안된다는 생각이다.
나는 아직도 교육의 열졍에 목마르다. 내가 받고 자란 교육은 지시적이고 획일적인 교육을 받았고
나와 다름을 이상하게만 생각하는 그러한 생각의 자대가 서버린 엄마이다. 그러함에 아니란 생각으로 우리 아이는 분명 나와는 다른 교육을 받아야
하는데 아직도 현실에서는 그러한 획일적이고 지시적인 교육을 받은 교사가 그러한 사회인을 만들고 찍어내고 있다란 생각이도. 요즘 아이들은 스마트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데 구시대적인 생각과 사고를 가지라고 말하면 시대에 뒤 떨어진 사람이다. 옛것을 전부다 버릴 필요는 없지만 발빠르게 변화하는
아이의 시대에는 창의적인고 보는 시각이 달라야 할것이다. 나와 조금은 다르고 다름을 인정하는 사회가 되어야 할것이란 생각이다. 학교에서의
장학생이 사회에서 장학생이나 리더가 될 수 없음을 알고 있으니 그러한 아이도 자라지 않고 윌 아이가 받는 교육은 더 변화하고 진전되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책장을 덮었다. 한방울의 작지만 그러한 물방울들이 모이면 바위도 뚫어버린다는 지혜를 알고 더 좋은 변화를 위한 외침의 소리를 높여야
할떄란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