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만한 눈사람 ㅣ 생각하는 분홍고래 3
세예드 알리 쇼자에 글, 엘라헤 타헤리얀 그림, 김시형 옮김 / 분홍고래 / 2013년 12월
평점 :
아이랑 이책을 읽기 전에 거만함이 무엇인지 질문하더라구요~ 거만함 -잘난 체하며 남을 업신여기는 데가 있다. 라는 뜻을 알려 주었답니다. 그랬더니 우리반 이승철이란 친구가 그런다고 이야기 하더라구요. ㅎㅎㅎ 그럼 눈사람이 왜 거만함 이란 단어가 붙게 되었는지 알아보고 싶어지네요~
이책의 이야기는 어느 날 마을 전체에 하얀 눈이 내렸습니다. 눈이 오기를 손꼽아 기다리던 아이들이 마을 중앙 공터에 모여 눈사람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아이들은 세상에서 가장 큰 눈사람을 만들기 시작하죠. 아이들은 밥도 먹지 않고 거대한 눈사람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배가 고프고 손이 시리고, 무척이나 힘들어도.... 드디어 세상에서 가장 큰 눈사람을 만듭니다. 눈사람을 완성하고 아이들은 뿌듯해합니다. 각자 집으로 달려가 가장 아끼고 좋은 물건을 하나씩 들고 나와 눈사람을 치장해 줍니다. 아이들의 기대와 달리, 다음 날 눈사람은 이 마을의 왕으로 군림하게 됩니다. 누가 자신을 만들었는지 생각도 않고 사람들에게 투정하고 명령하기 시작합니다. 눈사람은 폭군으로 변했답니다. 절대 녹아 없어지지 않으려는 거만한 눈사람은 봄이 오는 걸 억지로 막기도 하고 , 나무와 풀꽃까지 모두 베어 없애라고 명령합니다. 오직 태양만이 마을 사람들을 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누구도 태양에게 겨울이 싫다는 말을 못 합니다. 봄을 데리고 온 따스한 해님도 눈사람에게 밀려 마을을 떠나고 마을에는 추운 겨울만 계속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오랫동안 사람들은 추위에 떨어야 했고, 결국 눈사람은 녹아 없어집니다.그리고 마을 사람들은 다시는 그런 일을 되풀이하지 않겠다고 다짐하게 된답니다.
이책에는 밑에 테헤란의 글이 나와 있답니다. 초등학교 1학년인 찬영이는 세상에 이런 글씨도 잇구나,... 마치 지렁이가 기어다니는것 같다고 하더라구요. 이책의 저자는 이란의 정서와 부조리 앞에서도 당당함을 연상하자는 의미를 글에 담아두었답니다. 권력과 복종... 아직은 그런 뜻을 정확히 느끼지 않고 있더라구요.
초등학교 1학년인 찬영이는 이책을 읽고 이렇게 독서록을 작성했답니다.
아이들아 그렇게 크게 만들다가 무너지면 니네 마을이 파괴될지도 몰라. 그런데 그 눈사람이 사람들한테 명령하고 협박했지? 그다음 무조건 겨울만 되야 된다고 말해서 사람들이 추워하고 있잖아. 나는 눈사람, 눈싸움, 성탄정, 등 만 좋아. 나는 내 키만한 눈사람은 못만들어. 그다음 무너지면 사람들도 깔려서 다 죽고 니 마을이 파괴 되잖아! 그럼 좋아? 좋겠냐고 눌어보잖아. 아니면 니네 엄마, 아빠도 죽으면 좋겠어? 물어보잖아. 20초만에 안 말하면 혼나.....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 어머나! 아니지 나도 마찬가지야. 다음부터 크게 만들지 않기 ! 이야속 꼭 ~~지키자!!
찬영이는 눈사람이 어떻게 이렇게 자기를 만들어 준 사람들에게 그렇게 행동하는지,,,, 그런 눈사람을 만든 아이들이 잘못이란 생각이 들었나 봅니다. 다시는 그렇게 큰 눈 사람을 만들지 말아달라고 하네요. 아이가 아직 눈을 많이 만나 자신만한 눈사람을 만들어 보지 않아서 은근 눈이 많이 왔으면 하고 항상 이야기 한답니다. 아마도 자신과 같은 크기의 눈사람을 만들면 이것 저것 다 이 책속의 아이들처럼 꾸며 줄것 같아요. 항상 작은 눈사람을 만들고 녹아버리면 속상해 하거든요. 은근 성행이 강한 편이라 부정적인 부분을 보면 자기 하고픈 말을 다하는 성격이라서,,,, 부조리한 상황에 당당히 이야기 할 수 있는 아이들로 성장했으면 한답니다. 약자를 보살펴 주고 남을 배려하는 사람으로 말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