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는 대로 배우는 아이들 - 우리 아이, 도대체 왜 그럴까?
허영림 지음 / 아주좋은날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제목으로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부분이다. 정말 아이들은 어른을 그대로 모델링화 하여 배운다. 아기때 부터 보면 남자 아이들은 어찌나 아빠처럼만 하려고 하고 어느순간 소꿉놀이를 하는 딸아이를 보아도 내가 하는 말투나 어투를 그대로 흉내 내고 있기 때문이다. 내가 모범적인 행동을 보여야 아이들도 그러하게 성정 할것이다. 그러기에 어른들 부터 정신을 차려야 할것이다. 이책의 저자인 허영림은 총 5장으로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나는 그중 2장의 잘들어주는 것이 백마디 훈계보자 낫다... 라는 코너의 이야기를 열심히 살펴보았다.

그러고 보면 나는 과연 아이들의 이야기를 얼마나 들어주고 있는지 생각해 보았다. 방과후 주산 선생님이 교재의 답지를 띁어 놓지 말라고 하신 말이 생각이 난다. 아이들이 스스로 문제를 풀고 스스로 체점을 하면서 아이를 믿어 주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는 선생님의 말씀에 확 하고 와 닿는 뭔가가 있었답니다. 그러하듯이 부모가 먼저 아이들의 말에 귀기울이고 믿어주어야 함이 필요하겠지요. 그리고 부모가 공들인 만큼 성숙한다고 합니다. 잔소리 하지 않는 부모가 되기 위해 참기도 하고 공을 들이기는 하지만 그때그때마다 욱하는 상황을 매번 벗어나기란 생각처럼 쉽지가 않더라구요. 그러면서 또 한번 반성,,,, 스킨쉽은 아이의 "자극허기"를 채운다고 하네요. 정말 4학년인 딸아이와는 스퀸쉽이 생각보다는 적어지고 있더라구요. 1학년인 작은 아이는 아이의 성향이 제게 더 달라 붙는 경우라서,,, 큰 아이에게도 더더욱 공을 들여야 하겠어요.

칭찬은 귀로 먹는 보약이라고 합니다. 그러고 보면 저도 어릴적 칭찬보다는 꾸중을 더 먹으면서 자라서 그런지 칭찬에 인색한 엄마도라구요. 비타민이나 종합 영양제보다는 아이에게 칭찬 거리를 찾아서 칭찬해 주는것이 좋다고요. ㅎㅎㅎ좋은 부모가 되는 7가지 행동 원칙도 기역해 둘라구요. 1. 자녀를 하나의 독립족인 인격채로 대해야 한다. 2.자녀스스로 찾아서 하는 활동이 필요하다. 3.아이가 체계적인 생활습관과 규칙에 따른 행동을 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부모의 책임이다. 4. 자녀에게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분명한 경계가 있닫는 것을 알려 주어야 한다. 5. 자녀에게 정말 중요한 것은부모 자신을 사랑하고 부모 자신의 감정에 충실한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다. 6. 아이의 인생은 아이의 것이지 부모의 것이 아니다. . 부모는 좋은 부부관계를 만들 수 있을때 가능하다.


 

그리고 5장의 이야기는 정말 생각을 많이 하게 하는 파트였다. 부모의 욕심이 아이들을 병들게 하고 있다는것,,,, 그러고 보면 나는 우리 아이들에게 병을 주고 잇는것은 아닌지,,,, 항상 누나는 누나니깐,, 하는 이우로 나와 성향이 닮은 큰아이가 은근 얄밉고 짜증이 쉽게 난다. 아이에게 자기조절 능력과 자기 통제력을 키워 주어야 한다는데,, 생각처럼 쉽지는 않겠지만... 나름 여러 방면으로 노력을 하다 보면 서로가 좋아질 것이란 생각이 든다. 부모인 엄마의 욕심을 조금 내려 놓고 아이들의 시선으로 보아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