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주도학습 - 대치동 샤론코치가 전하는 ‘강제적 공부 습관’의 힘
이미애 지음 / 센추리원 / 2013년 8월
평점 :
품절
아이마다 제각기 정말 달라도 너무나 다름을 알고는 있지만 그떄마다 대처하고 알고 지내고 현명한 엄마로 아이들의 자기주도학습을 알게ㅐ주고 싶지만 정말 쉬운 문제가 아니란 생각이 든다. 아이가 스스로 공부를 하면 좋겟지만 그러한 과정에 아이가 익숙해 지기까지 부모인 엄마의 노력이 정말 많이 필요하겠단 생각이 든다. 대치동 엄마들은 항상 뭔가 늘 새로운 시대적인 발거름을 가고 있다고 들리어 온다, 강제적 공부습관이 정말 필요한것일까? 우선 이책으로 공부습관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이책의 저자는 아이가 공부를 못하는건 엄마가 게으르기 때문이다. 정말 생각이 많이 들게 하는 문장이다. 엄마의 게으름으로 아이가 공부를 못하게되었다는것..... 사실 공부습관의 기초를 잡아주어야 하는것이 엄마란 생각은 하고 있지만 정말 생각처럼 쉽게 할 수 있는 말은 아니란 생각이 든다. 그리고 저자는 무것을 공부하는 가 보다 어떻게 공부하는가,,,를 더 중요시하다고 이야기 한다. 하루 공부 30분 또는 학습지 3장 풀기등이 아이가 스스로 실천할 수 있는 계획을 세우게 해야 한다는것이다. 저자는 엄마주도학습주도학습, 자기주도학습, 사교육의 학생의 특징을 구별해두었다. 그러면서 엄마 스스로가 어떤 부모형인지를 구별해 보라고 이야기 한다.
엄마의 유형
A 코치형 : 승리 전략을 제시한다.
B 교육형 : 아이 공부가 곧 나의 공부
C 통제형 : 무지막지한 잔소리꾼 엄마
D 자율형 : 선택과 책임을 동시에 부여하는 엄마
나는 두가지의 엄마인것 같다. 통제형이기도 하다가 자율형이 되기도 하는것....
엄마는 상황에 맞는 전략법을 수립해야 한다. 그리고 엄마의 대화법도 달라져야 한다. 코치형 대화기법으로 말이다.
<코치형 대화기법 예시>
" 그것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말해줄래 "
" 네가 절대 실패하지 않는다면 무엇을 해볼래? "
" 이것에 대해 어떤 느낌이 들지 "
" 다른 대안은 무엇일까? "
" 여기서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무엇일까? "
저자는 독서활동 상황을 주목하라고 이야기 한다. 우리 큰아이는 초등 4학년인데 이제 1000권의 독서록을 달성하는것을 눈앞에 두고 있다. 아이랑 나에게는 정말 많은 의미가 있는 독서활동이다. 초등 1학년때부터 쓰기 시작한 독서록은 나와 딸아이의 노력의 산물이다. 아직 아이가 작성한 독서록은 누구에게 인정받기 위해 작성한 것은 아이다. 단지 책을 읽고 읽은 기분을 정리해보기도 하고 만약 주인공이라면 하고 쓴글이 대부분이기 떄문이다. 독서인증제나 입학사정관제의 눈에는 정말 들기 미약한 내용이긴 하지만 아이랑 나에게는 의미가 참 많은 독서록이기 때문이다. 이제 그러한 단계의 발맞추어 독서록을 다듬어 가면서 작성해 볼 계획에 있다.
엄마의 정보력이 정말 필요하다고 이야기 한다, 아이를 성공으로 ㅇ끄는 부모의 힘은 무엇일까? 우선 아이와 성적을 미끼로 부모와 거래하는 것은 생각처럼 쉽고 단순한 것이 아님을 다시금 확인해 보게 되었다. 아이에게 잔소리가 아닌 엄마의 관심이 아이에게 있음을 이야기 해보라는 쳅터도 눈에 들어 왓다. 나는 학부모인가? 부모인가의 글에서도 많은 공감을 해보았기 때문이다. 아이랑 앞으로의 계획을 세우고 플래너를 짜보는것도 정말 필요함을 다시금 확인하게 되었다. 잔소리가 아닌 엄마의 사랑이 너에게 있다란 것을 아이도 느끼게 해주어야 한다.
아이에게 올바른 공부습관을 들이기 이전에 서로가 행복한 것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엄마의 계획성이 아니라 아이가 생각하고 계획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 내는 멘토의 능력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