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학교의 눈물
SBS스페셜 제작팀 지음 / 프롬북스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학교의 눈물... 학교의 폭력과 그런 상활을 대처하는 아이들과 어른들,,,, 정말 많이 속이 상하는 방송과 이야기 더라구요. 현재 내 아이가 초등 1학년과 4학년이랍니다. 정말 그러한 피해를 내아이가 당하거나 가해자가 된다면 난 어떻게 받아들이고 행동할런지.... 큰아이가 여자 아이라서 몸가짐이나 놀이시 항상 더 신경이 쓰인다. 요즘은 내가 내 아이에 대해서 정확히 알아야 한다. 단지 말잘듣고 공부잘하는 그런 아이가 되어주기만을 강요하는 부모가 아니라 요즘 학교에서는 아이들과 이야기 거리가 무엇이고 무엇이 내 아이에게 힘든 상황을 제공하게 되는지에 대해서 아이와 대화를 해야만 한다는 생각이 더 많이 들었다. 아이가 10대가 되면 부모보다 더 중요한 것이 친구..... 정말 책을 읽어 내려가면서 답답함과 막막함이 밀려 들었다.
책속의 문제 아이의 부모.... 왜 그렇게 아이가 되었을런지 그러한 아이의 감정과 상황도 어른은 이해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일진 ,,, " 친구를 잘못 만나서 그런거지,,,,내 아이는 공부도 잘하고 성실하나라는 부모들의 이야기...." 정말 섬뜩하기도 했다. 또한 왕따를 당하던 아이가 결국에 그 학교내에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다른 학교로 가서 일진의 친구가 되어 더한 가해자로 변하는 모습의 이야이도 정말 가슴에 먹먹해 지기만 했다. 얼마나 무섭고 두려웠을까.....
엄마들은 내아이는 아니다... 라는 방식의 생각은 과감히 버려야 한다. 아이가 또래의 양육강식의 공식에서 살기 위해 가해자가 되기도 하고 결국에는 자살이라는 선택을 하게 되는 피해자가 되기도 한다. 그런함으로 내 아이가 어떻게 어떠한 생황에 놓여질지는 아무도 알 수 없는 것이다. 조금의 지혜를 엄마로써 더 알게 되었고 대처 하는 방법도 알려주어야 하겠다.
그리고 아이들의 10대의 특징과 성향을 엄마들은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서로가 조금은 덜 힘들고 덜 불행해 지지 않도록 아이도 나도 노력을 해야 하겠다. 우울감과 불안,,, 스트레스,,, 이러한 3종세트는 정말 아이에게나 어른에게나 다 올수 있다고 받아들여야 할것이다. 요즘은 소아 스트레스도 엄청나서 원형탈모증이 이를 반영하고 있는것이다. 그리고 학교의 눈물에서는 가해자도 또 다른 피해자일수 있다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었다. 특별히 가정에 문제가 없고, 학교에서는 임원을 하고 성적이 우수한 아이도 어느날 가해자나 피해자가 될수 있음을 인정하고 문제에 접근해야한다고 한다. 그러한 가운데 가해자가 되어도 반성이나 뉘우침은 전혀 찾아보기 힘들어 진다고 한다. 부모들은 아이에게 무슨 일이 생기면 모든 방법을 통해 지켜주리라 생각하지만 아이들이 문제에 대해 입을 열지 않고 속으로만 끙끙거린다면 그 어떤 능력이 출중한 부모라도 아이의 문제를 해결해줄 방법은 없다는것을 부모들은 항상 생각하고 아이에게 가까이 다가가고 서로 소통을 잘할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야겠다. 내아이가 잘하는것과 좋아하는것을 찬찬히 찾아보고 아이의 다름도 인정하게 된다면 조금은 달라지지 않을까?
저자는 책의 뒷부분에 내아이를 지키는 현명한 부모의 판단이란 단락을 만들어 주었다. 1. 아이에 대한 편견이 큰 상처를 준다. 2.내아이가 피해 학생이 되었을때... (맞지만 말고 때려 주라고 ㅁㄹ하지 마라!!!-보통 그렇게 이야기들 하시잖아요....)3. 내아이가 가해학생이 되었을때 정서는 감싸주되 책임은 가르쳐라.... 책임감이 정말 중요하지요~), 그리고 아이를 포기하지 마라,,,,!!!)
정말 책을 덮으면서 부모는 단순히 부모여서만이 되어서는 안된다란 생각이들었답니다. 정말 가해자도 피해자도 될 수 있는 내아이들이 조금은 더 학교란 시설에 가서 친구와 조금더 행복하고 즐거운 시간과 추억을 만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이 더 많이 들었다. 요즘은 청소년 10대가 더 무섭다고 한다. 아이들이 죄책감이나 죄의식이 없는 상태애서 그러한 행동을 하기 때문이다. 내 아이만 안그러면 된다는 생각보다는 우리 아이들, 내아이와 친구들까지 우리는 지켜보고 지켜 주어야 한다. 물론 힘들어지는 상황이 없을 수는 없겠지만 조금은 그러한아이들이 도움의 손과 이야기를 할 수 있는 부모로 이웃으로 살아가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