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가까운 사이일수록 더 상처받는가 - 사랑한다면, 지스폿(G-spot)보다 브이스폿(V-spot)을 찾아라
조앤 래커 지음, 김현정 옮김 / 전나무숲 / 2013년 4월
평점 :
사람이 살아가다 보면 정말 가까운 사람들에게 더 잘하고 이해하고 공감해야 하는데 가깝다는 이유로 그냥 무심하고 배려보다는 당연히 이해해 줄꺼란 생각으로 상처를 주시 쉬운것 같네요. 그래서 책을 읽기전에는 상처받는 나의 심리나 상대에게 상처 주지 않는 이야기가 들어 있을 꺼란 생각에 책을 폇지만 책을 읽으면서 심리 상담한 이야기를 읽으면서 조금은 나에게 어려운 이야기 였답니다.
이 책의 내용은 지스풋과 브이스풋에 관한 풀이로 심리학적인 이야기 이다. 사람이 어릴때 받았던 충격들, 기억속에서 지워지지 않는 아픈 과거들, 이러한것들을 지우지 않은채 성장하다보면 결국엔 자기 자신을 병들게 하고 아프게 하고 지치게 하고 결국엔 스스로를 무너뜨리는 장본인이 바로 자신일수도 있다는 엄청난 심리학적인 이야기 엿다. 저자는 각각의 심리상담 사례를 나열해 놓고 있다. 배우자나, 내 주변에 친구들, 그리고 내가 믿는 사람들, 이러한 사람들로부터 상처를 받을수있다고 늘 생각했었지만. 나 자신으로부터 배신을 받을수있다는 생각은 한번도 해본적이 없었기 때문이랍니다.
그리고 책의 이야기 중에는 트라우마의 영향으로 학대받는 것을 당연하다고 받아들이면서 사랑과 고통을 혼동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네요. 그러다 나중엔 자신의 부정적인 느낌을 상대방에게 투사하며 상대를 공격하지만 그것은 결국 자기 상처를 자기가 건드리는 꼴이 되고 만답니다. 과거의 경험 때문에 자신의 가치와 자격을 의심한다면 앞으로 나아갈 수 없는 법이지요. 드러나지 않는 자신의 상처를 제대로 찾고 치료해야 한다고 이야기 합니다.
그다지 저자의 말이 어려운것은 아니였지만 내가 생각했던 이야기와는 차이가 있어서 책의 진도가 빨리 나가지 못한 부분이 있어 조금은 아쉬웠답니다.
결론을 생각해보면 나의 트라우나가 무엇인지 나의 브이스풋을 가면히 들어야 보아야 한다는것이랍니다. 브이스풋은 감정적으로 가장 상처받기 쉬운 부분이라고 해요. 나도 그러고 보면 신체적인 콤플렉스가 있고 그걸 해결해 보고 싶었지만 쉽지 않았답니다. 그래서 조금은 남들보다 둔해서 느리다는 이야기를 들을까봐 무던히 재빠르게 행동했지요. 그러면서 그러한 부분을 알고 대처하는 나의 상태... ㅎㅎㅎ 외국의 사례가 주다 보니 조금은 이해가 쉽지는 않았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우리가까은 사람들의 이야기 였다면 하는 마음이 남으며 책을 덮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