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꿈을 키우는 아이 VS. 공부만 잘하는 아이
김소영 지음 / 아주좋은날 / 2013년 5월
평점 :
두아이를 키우면서 어떻게 하면 내가 하기 싫어 했던 공부를 아이들이 조금은 덜 힘들게 그리고 자신의 꿈을 꾸며 멋진 한포기의 그림을 그리듯이 아이들이 성장할 수 있을까 고민을 한답니다. 물론 저 어릴적 어른들이 항상 하시는 말씀이 .. " 다 너 잘되라고 하는거야..... " 그런 말보다는 아이가 생각이란것을 하고 고민이란 것을 한 뒤 자신이 정한 일이나 행동에 책임을 지는 그런 사람이 되었으면 한답니다. 그러기엔 부모가 아이가 그런한 꿈을 꿀 수 있는 아이로 성장 할 수 있도록 리더해주고 멘토가 되어주아야 겠더라구요.
그러면서 접하게 된책이랍니다. 내아이가 꿈을 꾸는 아이로 성장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러기엔 현실이 녹녹치 않는 우리 아이들의 교육현실에 다만 엄마로써 답답하더라구요. 남들과 다른 교육관을 갖는다는건 대한민국현실에선 쉽지 않지요. 하지만 요즘 아이들의 행복을 위해 과감한 도전을 하시는 분들이 참으러 많더라구요.
그리고 책에서는 왜 아이들이 꿈을 꾸지 않게 되었는가? 바로, 부모들이 아이의 생각보다는 유명한 강사가 있는 과열된 행위로 돌리는 과도한 학원, 놀 시간 부족, 혼자 생각할 시간이 부족해서 꿈을 꾸지 않게 되었다고 저자는 말합니다. 문과, 이과를 선택할 때, 수학성적이 아닌, 본인의 적성에 맞겨야한다는 어찌보면 너무나 당연하고, 누구나 아는 이야기를 쓰고 있는데, 막상 아이를 키우다보면 이렇게 해주는 게 쉽지만은 않죠. 아직 초등학생인 우리집 남매들을 보면서 과연 내가 현재 고3들의 엄마라면 하고 생각을 해보았답니다.
아이가 스스로 자기주도학습을 하고, 꿈을 갖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도록 하려면, 엄마는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답니다.
한구절 한구절이 옳은 내용이고 공감가는 내용입니다 . 하지만 엄마로 소신과 강한 나만의 교육관을 가져야만 우리 현실에서 아이랑 같은 꿈을 꾸는 부모가 될수 있겠다란 생각입니다. 직업은 꿈이 될 수 없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내가 원하는 일을 하고 살아간다면 더 없이 행복해 질 수 있지 않을까요?
부모는 꿈을 꾸라고 하고 학부모는 꿈끌 시간을 주지 않는다고 합니다. 정말 나는 부모인지 학부모인지를 다시한번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답니다.다양한 양육서를 읽으면서 부모가 되려고 마음의 다스리는데, 욱하는 성격상,,,, 쉽게 학부모가 되어 버리더라구요. 저자의 핵심은 아이가 자신만의 꿈을 갖고, 자기주도적으로 능력을 발휘하며, 통합적.융합적 사고를 할 줄 아는 아이로 자랄 수 있도록 아이들의 인성을 키우는 일에 힘을 실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무슨 일을 할때 목적을 알게 해 의미있는 일이 되도록 목적을 발견하는 질문을 합니다. 세대가 바뀌면서 성공에 대한 개념이 바뀌었으니 부모들의 교육전략도 바뀌어야한다고 한다. 내가ㅓ 내 부모님으로 부터 받아왔던 모습을 생각하지 말고 우리 아이들의 시대는 변화와 그 흐름이 다르니깐요. 그리고 아이의 꿈과 연결된 체험을 직접 경험해볼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많은 실패와 성공의 경험을 쌓게 해줘야 한다고 한답니다.
책을 덮으면서 정말 내가 부모로써 아이들과 논논의하는 부모인지,,, 아니면 정말 학부모로 내가 이렇게 코디해 주엇으니 너는 내가 하라는 대로만 하면 된다고 이야기 하는 학부모의 모습인지를 항상 반성하려 합니다. 아이랑 같은 꿈을 꾸며 생각하고 행동하고 이야기 한다면 정말 좋을 것 같네요. 그리고 나는 할 수 없어가 아닌,,,, 나도 한번 해볼까? 하는 습관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는 점 다심 되새겨 봅니다. 엄마인나도 아이랑 같이 한번 해볼까... 하는 마음으로 살아간다면 짜증 나는 일도 덜 할것이니깐요~ 남의 시선보나는 내 아이의 마음을 알아부는 부모가 되어주고 싶네요~